"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갤러리) |
(→지식관계망)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승탑정보 | {{승탑정보 | ||
− | |사진= | + | |사진=BHST_Borimsa_Bojo_stupa.jp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대표명칭=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관련승려=[[체징|체징(體澄)]] | |관련승려=[[체징|체징(體澄)]] | ||
|관련탑비=[[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 |관련탑비=[[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 ||
− | |||
}} | }} | ||
=='''정의'''== | =='''정의'''== | ||
− |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장흥 보림사|보림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 + |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장흥 보림사|보림사(寶林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체징|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 體澄)]]의 [[승탑]]. |
=='''내용'''== | =='''내용'''== | ||
− | + | [[장흥 보림사|보림사(寶林寺)]] 명부전(冥府殿) 우측의 구릉에 세워져 있으며,<ref>김광호, 『문화유산을 찾아서』, 혜성출판사, 2013, 187쪽.</ref> 이 승탑의 앞쪽에 [[체징|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 體澄)]]의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탑비]]가 함께 서 있다.<ref>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309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보조선사가 입적(入寂)한 880년의 4년 후인 884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2493&cid=40942&categoryId=33380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가장 주목되는 것은 탑신에 새겨진 | + | 이 탑은 [[팔각원당형 승탑|팔각원당형]]을 따른 신라 전형의 부도로 높직한 기단 위에 탑신(塔身)<ref>탑기단과 상륜(相輪) 사이의 탑의 몸</ref>과 옥개(屋蓋)<ref>빗돌이나 석등을 세운 위에 지붕 모양으로 만들어 덮어 얹는 돌</ref>, 상륜부(相輪部)로 이루어졌다. 상·중·하대석의 각 부에는 구름과 안상(眼象)<ref>안상연에 새겨진 눈 모양의 장식</ref>, 연화문(蓮花文) 등을 장식하고 탑신에는 문비(門扉)와 [[사천왕|사천왕상(四天王象)]]을 조각하였으며 옥개석은 기왓골이 표현되었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487&cid=42840&categoryId=42849 보림사 보조선사 창성탑]",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가장 주목되는 것은 탑신에 새겨진 [[사천왕|사천왕상]]으로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염거화상탑(廉居和尙塔, 국보 제104호)]]에서 [[사천왕]]이 처음 등장한 이후로 고려 초까지 대부분의 탑신에 [[사천왕|사천왕상]]이 표현되고 있다. [[사천왕]]은 부처님을 호위하는 신중(神衆)<ref>화엄신장(華嚴神將)과 같은 뜻으로 화엄경을 보호하는 신장</ref>으로, 선사의 묘탑(墓塔)에 [[사천왕]]이 표현된 것은 선사를 부처와 같이 동등하게 생각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309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보조선사 체징의 지식관계망'''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0/monk_chejing.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html>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D010/stele_chejing_borimsa.htm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지식관계망] | ||
− |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장흥 보림사]] || A는 B에 있다 ||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장흥 보림사]] || A는 B에 있다 || |
+ | |- |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체징]]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884년 | ||
|- | |- |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 [[체징]]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884년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 [[체징]]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884년 |
|- | |- |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사천왕]] || A는 B와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사천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50번째 줄: | 57번째 줄: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
파일:BHST_Borimsa_Chejing.jpg|[[체징|보조선사 체징 진영]] | 파일:BHST_Borimsa_Chejing.jpg|[[체징|보조선사 체징 진영]] | ||
+ | 파일:BHST_Borimsa_Bojo_stele.jpg|[[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보조선사탑비]] | ||
파일:BHST Borimsa Bojo stupa-lotus.jpg|중대석과 상대석 연화문 | 파일:BHST Borimsa Bojo stupa-lotus.jpg|중대석과 상대석 연화문 | ||
파일:BHST Borimsa Bojo stupa-lion.jpg|기단부 하대석 상단 사자상 | 파일:BHST Borimsa Bojo stupa-lion.jpg|기단부 하대석 상단 사자상 | ||
62번째 줄: | 70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김광호, 『문화유산을 찾아서』, 혜성출판사, 2013, 187쪽. |
+ | *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309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487&cid=42840&categoryId=42849 보림사 보조선사 창성탑]",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570000,36&flag=Y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2493&cid=40942&categoryId=33380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 [[분류:보물]] [[분류:승탑/교열완료]] |
− | [[분류:승탑]] | ||
− | [[분류: | ||
− | [[분류: |
2017년 11월 21일 (화) 22:38 기준 최신판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 |
|
대표명칭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
영문명칭 | Stupa of Master Bojo at Borimsa Temple, Jangheung |
한자 | 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 |
이칭 | 보조선사창성탑(普照禪師彰聖塔) |
주소 |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산10-1번지 보림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157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01월 21일 |
소유자 | 장흥 보림사 |
관리자 | 장흥 보림사 |
크기 | 높이 4.1m |
건립시대 | 통일신라 |
관련승려 | 체징(體澄) |
관련탑비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
|
정의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寶林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 體澄)의 승탑.
내용
보림사(寶林寺) 명부전(冥府殿) 우측의 구릉에 세워져 있으며,[1] 이 승탑의 앞쪽에 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 體澄)의 탑비가 함께 서 있다.[2] 보조선사가 입적(入寂)한 880년의 4년 후인 884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3]
이 탑은 팔각원당형을 따른 신라 전형의 부도로 높직한 기단 위에 탑신(塔身)[4]과 옥개(屋蓋)[5], 상륜부(相輪部)로 이루어졌다. 상·중·하대석의 각 부에는 구름과 안상(眼象)[6], 연화문(蓮花文) 등을 장식하고 탑신에는 문비(門扉)와 사천왕상(四天王象)을 조각하였으며 옥개석은 기왓골이 표현되었다.[7]
가장 주목되는 것은 탑신에 새겨진 사천왕상으로 염거화상탑(廉居和尙塔, 국보 제104호)에서 사천왕이 처음 등장한 이후로 고려 초까지 대부분의 탑신에 사천왕상이 표현되고 있다. 사천왕은 부처님을 호위하는 신중(神衆)[8]으로, 선사의 묘탑(墓塔)에 사천왕이 표현된 것은 선사를 부처와 같이 동등하게 생각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9]
지식관계망
- 보조선사 체징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장흥 보림사 | A는 B에 있다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체징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884년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 체징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884년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사천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탑신석 사천왕상[10]
주석
- ↑ 김광호, 『문화유산을 찾아서』, 혜성출판사, 2013, 187쪽.
- ↑ 정영호,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탑기단과 상륜(相輪) 사이의 탑의 몸
- ↑ 빗돌이나 석등을 세운 위에 지붕 모양으로 만들어 덮어 얹는 돌
- ↑ 안상연에 새겨진 눈 모양의 장식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보림사 보조선사 창성탑",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화엄신장(華嚴神將)과 같은 뜻으로 화엄경을 보호하는 신장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 김광호, 『문화유산을 찾아서』, 혜성출판사, 2013, 187쪽.
- 정영호,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돌베개, 2010. 온라인 참조: "보림사 보조선사 창성탑", 답사여행의 길잡이: 전남,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