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불정수능엄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시각자료) |
|||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5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한글고문헌 샘플 | {{한글고문헌 샘플 | ||
− | |이미지= | + | |이미지= 한글팀 대불정 수능엄경 장서각 06.jpg |
|대표명칭= 대불정수능엄경 | |대표명칭= 대불정수능엄경 | ||
|한자명칭= 大佛頂首楞嚴經 | |한자명칭= 大佛頂首楞嚴經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수량= 2책 | |수량= 2책 | ||
|표기문자= 한자, 한글 | |표기문자= 한자, 한글 | ||
− | |해독문= | + | |해독문= |
− | |기획기사= | + | |기획기사= |
|필드수= 16 | |필드수= 16 | ||
}} | }} | ||
</noinclude> | </noinclude> | ||
− | ==정의== | + | =='''정의'''== |
− | 불교 근본 경전 중 하나인 『대불정수능엄경』을 한글로 번역한 | + | 불교 근본 경전 중 하나인 『대불정수능엄경』을 한글로 번역한 책이다. |
+ | =='''내용'''== | ||
+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
+ | 책의 본래 명칭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이며, 줄여서 ‘능엄경’이라 한다.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장서각]] 소장본은 1462년(세조 8)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국역본의 완성본으로, 전체 10권의 능엄경언해 중 권 2와 권 10에 해당한다. | ||
+ | 이 경전은 1449년(세종 31) [[조선 세종|세종]]의 명에 따라 [[조선 세조|수양대군]]이 능엄경 번역에 착수했으나, 완수하지 못하였다. 1461년(세조 7) [[효령대군]]의 요청으로 그해 10월 [[교서관]]에서 간행했으나, 오류가 많은 탓에 이듬해인 1462년 [[간경도감]]에서 다시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 ||
+ | 이 책은 다른 언해본의 번역 양식과 정서법의 규범이 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번역 양식은 철저한 직역이다. 원문은 큰 활자를 쓰고 한글 구결을 달았으며, 번역은 작은 글자를 써서 나란히 실었다. 글자는 세조의 친필을 바탕으로 한 해서체이며, 한글은 정방형의 고딕체 소자이다. 특히 한글에 성조를 표시하는 방점(傍點)이 있어 한글 창제 무렵의 국어 연구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34쪽.</REF> | ||
− | + | ===장서각 금요강독회 내용=== | |
− | + | 활자본 [[능엄경언해]] 권10 끝에 있는 [[조선 세조]]의 어제 [[능엄경언해]] 발문에 따르면 [[세종]]은 1438년(세종 20) [[능엄경]]을 읽고 난 후 이를 널리 펴고자 하는 의도로 1449년(세종 31)에 [[조선 세조|수양대군]]에게 이 경전을 언해하라 명하였다. 당시 [[조선 세조]]는 불완전한 번역과 표기하기 어려운 음 때문에 이를 제대로 완수하지 못하였다고 토로하였다. 이때까지 한글 문법이 정립되지 않아 [[능엄경]]과 같은 긴 경전을 번역하기에는 여러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461년(세조 7) [[효령대군]]의 요청으로 그해 10월에 [[교서관]]에서 활자본으로 간행했으나 오류가 많아 이듬해인 1462년에 [[간경도감]]에서 다시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 |
− | + | [[세조]]대에 [[능엄경언해]]를 발간한 직접적인 계기는 1464년(세조 10) [[효령대군]]이 [[양주 회암사|회암사]]에서 불사를 벌이던 중 [[석가모니]]의 [[사리]]가 분신하고 또 궁으로 들여온 [[사리]]가 저절로 늘어나는 등 여러 신이한 이적들이 발생했기 때문이었다. [[효령대군]]은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조]]에게 [[능엄경]]과 [[영가집]]의 번역을 청하였고 이에 [[조선 세조|세조]]가 [[한계희]] 등에게 경의 번역을 명하였다. | |
− | [[ | + | 한글 번역 과정을 보면 [[조선 세조|세조]]가 먼저 토를 달고, [[신미]]가 이를 확인한 다음 [[소혜왕후]](후일 인수대비)가 창준하였다. 이어 공조참판 [[한계희]], 전 상주목사 [[김수온]], 의정부 검상 [[박건]], 호군신 [[윤필상]], 세자문학 [[노사신]], 이조좌랑 [[정효상]]이 상고하고, 영순군 [[이부]]가 예를 일정하였다. 사섬시윤 신조변한 감찰 [[조지]]가 국운(동국정운 한자음)을 쓰고 혜각존자 [[신미]], 입선 사지 [[학열]], [[학조]]가 번역을 바르게 고친 후에 다시 [[조선 세조]]가 최종적으로 어람하였다. [[능엄경언해]]는 한글에 성조를 표시하는 방점이 표기된 것이 특징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2017년 1월 20일에 진행한 금요강독회 '[http://jsg.aks.ac.kr/home/event/conferenceView.do?searchCondition=&searchWord=&page=1&idx=42 발표내용]'(탁효정)에서 발췌. 회암사 불사 관련 사건은 실질적으로는 1461년(세조 7)부터 시작되어서 1464년(세조 10)경까지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ref> |
− | |||
− | 이 | ||
− | + | {{연계자원정보 | |
− | + | |연계자원1=[[대불정수능엄경 권2]](해독) | |
− | + | |연계자원2=[[수능엄경]] | |
− | + | |연계자원3= | |
− | = | + | |연계자원4= |
− | + | |연계자원5=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대불정수능엄경 지식관계망'''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html>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A009/A00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세종]]||[[ | + | | [[대불정수능엄경]] || [[수능엄경]]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대불정수능엄경]] || [[능엄경언해]]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 | ||
+ | | [[조선 세종]]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A는 B를 명령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수양대군 | + | | [[조선 세조|수양대군]]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세종]] || [[세조|수양대군]] || A는 | + | | [[조선 세종]] || [[조선 세조|수양대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효령대군]] || | + | | [[효령대군]] || [[대불정수능엄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한계희]]||[[ | + | |[[한계희]]||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신미]] || [[ | + | | [[신미]]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소혜왕후]]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김수온]] || [[ | + | | [[김수온]]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박건]] || [[ | + | | [[박건]]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윤필상]] || [[ | + | | [[윤필상]]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노사신]] || [[ | + | | [[노사신]]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정효상]] || [[ | + | | [[정효상]]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이부]] || [[ | + | | [[이부]]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조지]] || [[ | + | | [[조지]]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학열]] || [[ | + | | [[학열]]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학조]] || [[ | + | | [[학조]]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대불정수능엄경]] || [[양주 회암사|회암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대불정수능엄경]] || [[교서관]]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 |- | ||
− | | [[ | + | | [[대불정수능엄경]] || [[간경도감]]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 |- |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 | [[대불정수능엄경]]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1449년 || [[수양대군]]이 | + | |1449년 || [[조선 세조|수양대군]]이 [[대불정수능엄경]]의 번역에 착수하였다 |
|- | |- | ||
− | |1461년 || [[세조]] 때에 [[교서관]]에서 | + | |1461년 || [[조선 세조]] 때에 [[교서관]]에서 [[대불정수능엄경]]을 간행하였다 |
|- | |- | ||
− | |1462년 || [[세조]] 때에 [[간경도감]]에서 | + | |1462년 || [[조선 세조]] 때에 [[간경도감]]에서 [[대불정수능엄경]]을 간행하였다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37.39197||127.054387 || | + | |37.39197||127.054387 || [[대불정수능엄경]]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37.570270||126.970514 || | + | |37.570270||126.970514 || [[대불정수능엄경]]이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 ===갤러리=== | |
− | + | <gallery> | |
− | + | 파일:한글팀 대불정 수능엄경 장서각 06.jpg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0 | |
− | + | 파일:한글팀 대불정 수능엄경 장서각 04.jpg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0 본문 | |
− | + | 파일:한글팀 대불정 수능엄경 장서각 03.jpg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0 본문 | |
− | + | 파일:한글팀 대불정수능엄경 01 대불정수능엄경 권2.jpg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 | |
− | + | </gallery> | |
− | |||
− | |||
− | |||
− | ==주석==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단행본 | ||
+ | ** 이운허 역, 『능엄경』, 법보원, 1963. | ||
+ | ** 이지관, 『한국불교소의경전연구』, 보련각, 1973. | ||
+ | ** 일귀 역주, 『수능엄경』, 샘이깊은물, 2003. | ||
+ | ** 천혜봉, 『成達生書 大佛頂首楞嚴經 初刊本』, 서울역사박물관, 2006. | ||
+ | ** 이건표, 『수능엄경』, 보문각, 2009. | ||
+ | ** 통화불교 전강원, 『대불정여래밀인 수정요의 제보살만행 수능엄경강해 소고』, 경서원, 2010. | ||
+ | ** 천명일 (해설), 『수능엄경: 대불정여래밀인수중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지혜의 나무, 2013. | ||
+ | *웹자원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5150000,31&flag=Y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 | [[분류:전시자료]] [[분류:문헌]] |
2024년 4월 12일 (금) 09:32 기준 최신판
대불정수능엄경 | |
한자명칭 | 大佛頂首楞嚴經 |
---|---|
영문명칭 | Sutra of Virtuous Behaviors of Bodhisattva |
간행시기 | 1462년 |
소장처 | 장서각 |
청구기호 | C4-42E |
문화재지정사항 | 보물 제1515호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32.5×22.8㎝ |
판본 | 목판본 |
수량 | 2책 |
표기문자 | 한자, 한글 |
목차
정의
불교 근본 경전 중 하나인 『대불정수능엄경』을 한글로 번역한 책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책의 본래 명칭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이며, 줄여서 ‘능엄경’이라 한다. 장서각 소장본은 1462년(세조 8)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국역본의 완성본으로, 전체 10권의 능엄경언해 중 권 2와 권 10에 해당한다. 이 경전은 1449년(세종 31) 세종의 명에 따라 수양대군이 능엄경 번역에 착수했으나, 완수하지 못하였다. 1461년(세조 7) 효령대군의 요청으로 그해 10월 교서관에서 간행했으나, 오류가 많은 탓에 이듬해인 1462년 간경도감에서 다시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이 책은 다른 언해본의 번역 양식과 정서법의 규범이 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번역 양식은 철저한 직역이다. 원문은 큰 활자를 쓰고 한글 구결을 달았으며, 번역은 작은 글자를 써서 나란히 실었다. 글자는 세조의 친필을 바탕으로 한 해서체이며, 한글은 정방형의 고딕체 소자이다. 특히 한글에 성조를 표시하는 방점(傍點)이 있어 한글 창제 무렵의 국어 연구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1]
장서각 금요강독회 내용
활자본 능엄경언해 권10 끝에 있는 조선 세조의 어제 능엄경언해 발문에 따르면 세종은 1438년(세종 20) 능엄경을 읽고 난 후 이를 널리 펴고자 하는 의도로 1449년(세종 31)에 수양대군에게 이 경전을 언해하라 명하였다. 당시 조선 세조는 불완전한 번역과 표기하기 어려운 음 때문에 이를 제대로 완수하지 못하였다고 토로하였다. 이때까지 한글 문법이 정립되지 않아 능엄경과 같은 긴 경전을 번역하기에는 여러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461년(세조 7) 효령대군의 요청으로 그해 10월에 교서관에서 활자본으로 간행했으나 오류가 많아 이듬해인 1462년에 간경도감에서 다시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세조대에 능엄경언해를 발간한 직접적인 계기는 1464년(세조 10) 효령대군이 회암사에서 불사를 벌이던 중 석가모니의 사리가 분신하고 또 궁으로 들여온 사리가 저절로 늘어나는 등 여러 신이한 이적들이 발생했기 때문이었다. 효령대군은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조에게 능엄경과 영가집의 번역을 청하였고 이에 세조가 한계희 등에게 경의 번역을 명하였다. 한글 번역 과정을 보면 세조가 먼저 토를 달고, 신미가 이를 확인한 다음 소혜왕후(후일 인수대비)가 창준하였다. 이어 공조참판 한계희, 전 상주목사 김수온, 의정부 검상 박건, 호군신 윤필상, 세자문학 노사신, 이조좌랑 정효상이 상고하고, 영순군 이부가 예를 일정하였다. 사섬시윤 신조변한 감찰 조지가 국운(동국정운 한자음)을 쓰고 혜각존자 신미, 입선 사지 학열, 학조가 번역을 바르게 고친 후에 다시 조선 세조가 최종적으로 어람하였다. 능엄경언해는 한글에 성조를 표시하는 방점이 표기된 것이 특징이다.[2]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대불정수능엄경 권2(해독) |
• 수능엄경 |
지식 관계망
- 대불정수능엄경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대불정수능엄경 | 수능엄경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대불정수능엄경 | 능엄경언해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조선 세종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수양대군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세종 | 수양대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효령대군 | 대불정수능엄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한계희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신미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소혜왕후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김수온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박건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윤필상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노사신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정효상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부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조지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학열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학조 | 대불정수능엄경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대불정수능엄경 | 회암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대불정수능엄경 | 교서관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대불정수능엄경 | 간경도감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대불정수능엄경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449년 | 수양대군이 대불정수능엄경의 번역에 착수하였다 |
1461년 | 조선 세조 때에 교서관에서 대불정수능엄경을 간행하였다 |
1462년 | 조선 세조 때에 간경도감에서 대불정수능엄경을 간행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대불정수능엄경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37.570270 | 126.970514 | 대불정수능엄경이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34쪽.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2017년 1월 20일에 진행한 금요강독회 '발표내용'(탁효정)에서 발췌. 회암사 불사 관련 사건은 실질적으로는 1461년(세조 7)부터 시작되어서 1464년(세조 10)경까지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 단행본
- 이운허 역, 『능엄경』, 법보원, 1963.
- 이지관, 『한국불교소의경전연구』, 보련각, 1973.
- 일귀 역주, 『수능엄경』, 샘이깊은물, 2003.
- 천혜봉, 『成達生書 大佛頂首楞嚴經 初刊本』, 서울역사박물관, 2006.
- 이건표, 『수능엄경』, 보문각, 2009.
- 통화불교 전강원, 『대불정여래밀인 수정요의 제보살만행 수능엄경강해 소고』, 경서원, 2010.
- 천명일 (해설), 『수능엄경: 대불정여래밀인수중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지혜의 나무, 2013.
- 웹자원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문화재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