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가사(장서각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잔글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로마자명칭= Songganggasa
 
|로마자명칭= Songganggasa
 
|영문명칭= Jeong Cheol's prose and poetry book
 
|영문명칭= Jeong Cheol's prose and poetry book
|작자= 정철
+
|작자= [[정철]]
 
|작성시기= 조선중기
 
|작성시기= 조선중기
 
|간행시기= 조선후기
 
|간행시기= 조선후기
 
|간행처=  
 
|간행처=  
 
|기탁처=
 
|기탁처=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D6B-36
 
|청구기호=D6B-36
 
|유형= 고서
 
|유형= 고서
20번째 줄: 20번째 줄:
 
}}
 
}}
 
</noinclude>
 
</noinclude>
 
 
=='''정의'''==
 
=='''정의'''==
송강(松江) [[정철]](鄭澈, 1536-1593)의 가사(歌辭)와 시조(時調)를 수록한 필사본 가사집이다.
+
송강 [[정철]]의 [[가사]][[시조]]를 수록한 필사본 가사집이다.
  
 
=='''내용'''==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관동별곡]](關東別曲)>, <[[사미인곡]](思美人曲)>, <[[속미인곡]](續美人曲)>, <[[성산별곡]](星山別曲)>정철의 단가(短歌)를 수록하였다. 목판본을 베껴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관동별곡]]>은 강원도 원주 관찰사로 부임해 금강산 일대의 절경을 둘러보고 감흥을 읊은 것이며 <[[사미인곡]]><[[속미인곡]]>은 이별한 여인의 심정에 의탁해 임금과 멀어진 자신의 심경을 읊은 것이다. <[[성산별곡]]>은 전라도 성산에 있는 [[식영정]](息影亭)을 찾아 정자의 주인 [[김성원]](金成遠)의 인품을 칭송한 작품이다. 어느 작품이나 여러 형태의 선행 작품을 받아들여 형태적 완성도를 높이면서도 새로운 시험을 한 문제작들이다. 필사시기는 미상이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4쪽.</REF>
+
송강(松江) [[정철|정철(鄭澈, 1536-1593)]]의 가사(歌辭) [[관동별곡|관동별곡(關東別曲)]], [[사미인곡|사미인곡(思美人曲)]], [[속미인곡|속미인곡(續美人曲)]], [[성산별곡|성산별곡(星山別曲)]][[단가|단가(短歌)]]를 수록하였다. 목판본을 베껴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관동별곡]]은 강원도 원주 관찰사로 부임해 금강산 일대의 절경을 둘러보고 감흥을 읊은 것이며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은 이별한 여인의 심정에 빗대어 임금과 멀어진 자신의 심경을 읊은 것이다. [[성산별곡]]은 전라도 성산에 있는 [[식영정|식영정(息影亭)]]을 찾아 계절마다 다른 경치를 읊은 작품이다. 어느 작품이나 우리말의 아름다움이 두드러지며, 한시에 밀려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던 국문시가의 표현 능력을 보여주는 독보적 작품들이다. 필사시기는 미상이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4쪽.</REF>
  
==={{PAGENAME}}의 판본에 대해서===  
+
===[[송강가사]]의 판본에 대해서===  
필사본으로 전하는 것도 있으나 내용이 온전하지 못한다. 목판본으로는 [[송강가사 황주본|황주본(黃州本)]],  [[송강가사 의성본|의성본(義城本)]], [[송강가사 관북본|관북본(關北本)]], [[송강가사 성주본|성주본(星主本)]], [[송강가사 관서본|관서본(關西本)]]등 5 종류가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송강가사 의성본]]과 [[송강가사 관북본]]은 전하지 않는다.
+
필사본으로 전하는 것은 그 내용이 온전하지 않다.<!-- : 앞의 문장만 일단 (외주교열자의 내용까지 포함해서) 서동신이 교정함. --> 목판본으로는 [[송강가사 황주본|황주본(黃州本)]],  [[송강가사 의성본|의성본(義城本)]], [[송강가사 관북본|관북본(關北本)]], [[송강가사 성주본|성주본(星主本)]], [[송강가사 관서본|관서본(關西本)]] 등 5 종류가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송강가사 의성본]]과 [[송강가사 관북본]]은 전하지 않는다.
<ref>권두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615 송강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4일</ref>
+
<!--ref>권두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615 송강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송강가사 황주본|황주본]]은 1690년-1696년 사이에 [[이계상]]이 [[황주]]에서 간행한 책이다. 모두 26장의 완책으로,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의 순서로 가사 5편이 수록되어 있다.
 
[[송강가사 황주본|황주본]]은 1690년-1696년 사이에 [[이계상]]이 [[황주]]에서 간행한 책이다. 모두 26장의 완책으로,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의 순서로 가사 5편이 수록되어 있다.
<ref>권두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615 송강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4일</ref>
+
<!--ref>권두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615 송강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송강가사 성주본|성주본]] [[정철]]의 5대손인 [[정관하]]가 성주목사를 지내던 1747년에 [[성주]]에서 간행한 책이다. 총 44장이며 상, 하권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권에는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 등 [[송강가사 황주본|황주본]]과 같은 5편이 수록되어 있다. 반면 하권에는 단가 79수와 [[정철]]의 현손인 [[정천]]과 그의 아들 [[정관하]]의 발문이 실려 있다.
+
[[송강가사 성주본|성주본]][[정철]]의 5대손인 [[정관하]]가 성주목사를 지내던 1747년에 [[성주]]에서 간행한 책이다. 총 44장이며 상, 하권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권에는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 등 [[송강가사 황주본|황주본]]과 같은 5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어 하권에는 단가 79수와 [[정철]]의 현손인 [[정천]]과 그의 아들 [[정관하]]의 발문이 실려 있다.
<ref>권두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615 송강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4일</ref>  
+
<!--ref>권두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615 송강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송강가사 관서본|관서본]]은 [[송강가사 의성본|의성본]]과 [[송강가사 관북본|관북본]]을 간행한 사람의 손자인 [[정실]]이 [[관서지방]]에서 간행한 책이다. 총 23장에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 및 단가 5수와 [[이선]]의 발문, 정실의 후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송강가사 관서본|관서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송강가사 관서본|관서본]]은 [[정호]]손자인 [[정실]]이 관서지방에서 간행한 책이다. 총 23장에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 및 단가 5수와 [[이선]]의 발문, 정실의 후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송강가사 관서본|관서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ref>권두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615 송강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4일</ref>
+
<ref>권두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615 송강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조선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시가에 관한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html>
{|class="wikitable sortabl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7/A20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관동별곡]]||A는 B를 포함한다||
+
| [[송강가사]] || [[정철]]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사미인곡]]||A는 B를 포함한다||
+
| [[송강가사(장서각본)]] || [[송강가사]] || A는 B를 담아냈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속미인곡]]||A는 B를 포함한다||
+
| [[송강가사 황주본]] || [[송강가사]] || A는 B를 담아냈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성산별곡]]||A는 B를 포함한다||
+
| [[송강가사 의성본]] || [[송강가사]] || A는 B를 담아냈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장진주사]]||A는 B를 포함한다||
+
| [[송강가사 관북본]] || [[송강가사]] || A는 B를 담아냈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송강가사 황주본]]||A는 B와 관련이 있다||1690년-1696년
+
| [[송강가사 성주본]] || [[송강가사]] || A는 B를 담아냈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송강가사 의성본]]||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송강가사 관서본]] || [[송강가사]] || A는 B를 담아냈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송강가사 관북본]]||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송강가사(장서각본)]] || [[관동별곡]]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PAGENAME}}||[[송강가사 성주본]]||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송강가사(장서각본)]] || [[사미인곡]]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PAGENAME}}||[[송강가사 관서본]]||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송강가사(장서각본)]] || [[속미인곡]]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이계상]]||[[송강가사 황주본]]||A는 B를 간행하였다||1690년-1696년
+
| [[송강가사(장서각본)]] || [[성산별곡]]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이계상]]||[[황주]]||A는 B에 있었다||
+
| [[송강가사 황주본]] || [[이계상]]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정철]]||{{PAGENAME}}||A는 B를 저술하였다||
+
| [[정관하]] || [[송강가사 성주본]]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정철]]||[[정천]]||A는 B의 조상이다||
+
| [[정철]] || [[정천]]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정천]]||[[정관하]]||A는 B의 어버이다||
+
| [[정천]] || [[정관하]]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정천]]||[[송강가사 발문]]||A는 B를 저술하였다||
+
| [[송강가사 성주본 발문]] || [[정천]]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정관하]]||[[송강가사 발문]]||A는 B를 저술하였다||
+
| [[송강가사 성주본 발문]] || [[정관하]]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송강가사 발문]]||[[송강가사 성주본]]||A는 B에 포함된다||
+
| [[송강가사 성주본 발문]] || [[송강가사 성주본]]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
|[[정관하]]||[[성주]]||A는 B에 있었다||
+
| [[송강가사 관서본]] || [[정실]]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정관하]]||[[송강가사 성주본]]||A는 B를 간행하였다||
+
| [[송강가사 관서본]] || [[국립중앙도서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정실]]||[[송강가사 관서본]]||A는 B를 간행하였다||
+
| [[송강가사(장서각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정실]]||[[관서지방]]||A는 B에 있었다||
 
|-
 
|[[송강가사 성주본]]||[[국립중앙도서관]]||A는 B에 소장되어있다||
 
|-
 
|{{PAGENAME}}||[[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A는 B에 소장되어있다||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
|1690년-1696년 사이|| [[이계상]]이 [[송강가사 황주본]]을 간행하였다.
 
|-
 
|-
|{{PAGENAME}} ||간행시기||조선 후기
+
|1747년|| [[정관하]]가 [[송강가사 성주본]]을 간행하였다.
 
|}
 
|}
 
+
<!-- |-
 +
|18세기||[[송강가사]]가 간행되었다 -->
 
===공간정보===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521185||126.98094||[[송강가사 관서본]]은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PAGENAME}}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37.39197||127.054387
+
|37.39197||127.054387||[[송강가사(장서각본)]]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한글팀 송강가사 01 내용.jpg | 송강가사 내용
 +
</gallery>
  
 
=='''주석'''==
 
=='''주석'''==
114번째 줄: 122번째 줄:
 
===더 읽을 거리===
 
===더 읽을 거리===
 
*논문
 
*논문
**최상은, 「송강가사에 있어서의 자연과 현실 」, 『새국어교육』, Vol 50, 1993, 179-196쪽
+
**최상은, 「송강가사에 있어서의 자연과 현실 」, 『새국어교육』, Vol 50, 한국국어교육학회, 1993, 179-196쪽
**김진희, 「송강가사의 시간성과 극적 구조」, 『古典文學硏究』, Vol 46, 2014, 3-37쪽.  
+
**김진희, 「송강가사의 시간성과 극적 구조」, 『古典文學硏究』, Vol 46, 한국고전문학회, 2014, 3-37쪽.  
**이현주, 「송강가사(松江歌辭)의 형성과 변모 양상」, 『한국고시가문화연구』, Vol2, 3, 1995, 107-132쪽.  
+
**이현주, 「송강가사(松江歌辭)의 형성과 변모 양상」, 『한국고시가문화연구』, Vol2, 3, 한국고시가문학회, 1995, 107-132쪽.  
[[분류:한글고문서]]
+
 
 +
[[분류:한글고문서]][[분류:전시자료]] [[분류:문헌]]

2017년 12월 12일 (화) 23:52 기준 최신판

송강가사
한글팀 송강가사.png
한자명칭 松江歌辭
영문명칭 Jeong Cheol's prose and poetry book
작자 정철
작성시기 조선중기
간행시기 조선후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D6B-36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2.9×23.0㎝
판본 필사본
수량 1책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송강 정철가사시조를 수록한 필사본 가사집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송강(松江) 정철(鄭澈, 1536-1593)의 가사(歌辭) 관동별곡(關東別曲), 사미인곡(思美人曲), 속미인곡(續美人曲), 성산별곡(星山別曲)단가(短歌)를 수록하였다. 목판본을 베껴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관동별곡은 강원도 원주 관찰사로 부임해 금강산 일대의 절경을 둘러보고 감흥을 읊은 것이며 사미인곡속미인곡은 이별한 여인의 심정에 빗대어 임금과 멀어진 자신의 심경을 읊은 것이다. 성산별곡은 전라도 성산에 있는 식영정(息影亭)을 찾아 계절마다 다른 경치를 읊은 작품이다. 어느 작품이나 우리말의 아름다움이 두드러지며, 한시에 밀려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던 국문시가의 표현 능력을 보여주는 독보적 작품들이다. 필사시기는 미상이다. [1]

송강가사의 판본에 대해서

필사본으로 전하는 것은 그 내용이 온전하지 않다. 목판본으로는 황주본(黃州本), 의성본(義城本), 관북본(關北本), 성주본(星主本), 관서본(關西本) 등 5 종류가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송강가사 의성본송강가사 관북본은 전하지 않는다. 황주본은 1690년-1696년 사이에 이계상황주에서 간행한 책이다. 모두 26장의 완책으로,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의 순서로 가사 5편이 수록되어 있다. 성주본정철의 5대손인 정관하가 성주목사를 지내던 1747년에 성주에서 간행한 책이다. 총 44장이며 상, 하권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권에는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 등 황주본과 같은 5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어 하권에는 단가 79수와 정철의 현손인 정천과 그의 아들 정관하의 발문이 실려 있다. 관서본정호의 손자인 정실이 관서지방에서 간행한 책이다. 총 23장에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 및 단가 5수와 이선의 발문, 정실의 후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관서본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2]

지식 관계망

  • 조선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시가에 관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송강가사 정철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송강가사(장서각본) 송강가사 A는 B를 담아냈다 A ekc:depicts B
송강가사 황주본 송강가사 A는 B를 담아냈다 A ekc:depicts B
송강가사 의성본 송강가사 A는 B를 담아냈다 A ekc:depicts B
송강가사 관북본 송강가사 A는 B를 담아냈다 A ekc:depicts B
송강가사 성주본 송강가사 A는 B를 담아냈다 A ekc:depicts B
송강가사 관서본 송강가사 A는 B를 담아냈다 A ekc:depicts B
송강가사(장서각본) 관동별곡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송강가사(장서각본) 사미인곡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송강가사(장서각본) 속미인곡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송강가사(장서각본) 성산별곡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송강가사 황주본 이계상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정관하 송강가사 성주본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정철 정천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정천 정관하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송강가사 성주본 발문 정천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송강가사 성주본 발문 정관하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송강가사 성주본 발문 송강가사 성주본 A는 B에 포함된다 A dcterms:isPartOf B
송강가사 관서본 정실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송강가사 관서본 국립중앙도서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송강가사(장서각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90년-1696년 사이 이계상송강가사 황주본을 간행하였다.
1747년 정관하송강가사 성주본을 간행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1185 126.98094 송강가사 관서본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37.39197 127.054387 송강가사(장서각본)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44쪽.
  2. 권두환, "송강가사",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최상은, 「송강가사에 있어서의 자연과 현실 」, 『새국어교육』, Vol 50, 한국국어교육학회, 1993, 179-196쪽
    • 김진희, 「송강가사의 시간성과 극적 구조」, 『古典文學硏究』, Vol 46, 한국고전문학회, 2014, 3-37쪽.
    • 이현주, 「송강가사(松江歌辭)의 형성과 변모 양상」, 『한국고시가문화연구』, Vol2, 3, 한국고시가문학회, 1995, 107-13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