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참고문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 유물정보
+
{{유물유적정보
|사진= Seonamsa uicheon.jpg
+
|사진=BHST_Seonamsa uicheon.jpg
|사진출처=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順天 仙巖寺 大覺國師 義天 眞影)<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0440000,36&flag=Y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최종확인: 2017년 4월 26일.</ref>
+
|사진출처="[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0440000,36&flag=Y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대표명칭=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
|대표명칭=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영문명칭= Portrait of State Preceptor Daegak in Seonamsa Temple, Suncheon
+
|한자표기=順天 仙巖寺 大覺國師 義天 眞影
|한자= 順天 仙巖寺 大覺國師 義天 眞影
+
|영문명칭=Portrait of State Preceptor Daegak in Seonamsa Temple, Suncheon
|문화재지정= 보물 제1044호
+
|이칭=
|문화재지정일= 1990년 9월 20일
+
|유형=
|분류= 유물 / 불교회화/ 탱화/ 나한조사도
+
|시대=조선
|소장처= 선암사 성보박물관
+
|지정번호=보물 제1044호
|경도= 127.331199
+
|지정일=1990년 9월 20일
|위도= 34.995988
+
|소장처=선암사 성보박물관
|소유자= 선암사
+
|경도=127.331199
|관리자= 선암사성보박물관
+
|위도=34.995988
|시대= 조선
+
|수량=1점
|제작시기= 1805년
+
|관련인물=[[의천]]
|수량= 1점
+
|관련단체=
|필드수= 14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순천 선암사]]
 
}}
 
}}
 
  
 
=='''정의'''==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순천 선암사|선암사]]에 있는 고려 중기의 승려 [[의천|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의 초상화.<ref>문명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3978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순천 선암사|선암사]]에 있는 고려 중기의 승려 [[의천|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의 초상화.<ref>문명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3978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용'''==
 
=='''내용'''==
1805년(순조 5) [[도일|도일(道日)]]이 제작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3890 선암사대각국사의천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앞 시대의 양식적 특징을 알 수 있는 당대의 대표작이며, [[혜근|혜근(惠勤)]]의 글이 있어 더욱 가치가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0440000,36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 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1805년(순조 5) [[도일(화승)|도일(道日)]]이 제작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3890 선암사대각국사의천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앞 시대의 양식적 특징을 알 수 있는 당대의 대표작이며, [[혜근|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의 글이 있어 더욱 가치가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0440000,36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 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그림에서 의천은 장식적인 의자에 앉아 오른쪽으로 몸을 틀고 있는데, 이 자세는 당시 보편적인 영정의 구도법을 보여준다. 오른손으로 의자 손잡이를 잡고, 왼손으로 긴 주장자를 살짝 잡으면서 의젓하게 앉아 있는 모습에서 대각국사의 내면세계를 적절히 묘사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점은 영롱한 눈매, 듬직한 주먹코, 꽉 다문 입, 여기에 이마와 입가의 주름살을 그려, 학식과 수행이 높은 경지에 이르렀던 초로의 고승의 풍모를 잘 나타내고 있는 데서도 알 수 있다.<ref>문명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3978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그림에서 [[의천]]은 장식적인 의자에 앉아 오른쪽으로 몸을 틀고 있는데, 이 자세는 당시 보편적인 영정(影幀)<ref>그림으로 나타낸 어떤 사람의 얼굴 모습이나 용태. 특히 조선시대 이전에 그려진 옛 사람의 초상화를 가리킴</ref>의 구도법을 보여준다. 오른손으로 의자 손잡이를 잡고, 왼손으로 긴 주장자를 살짝 잡으면서 의젓하게 앉아 있는 모습에서 대각국사의 내면세계를 적절히 묘사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점은 영롱한 눈매, 듬직한 주먹코, 꽉 다문 입, 여기에 이마와 입가의 주름살을 그려, 학식과 수행이 높은 경지에 이르렀던 초로의 고승의 풍모를 잘 나타내고 있는 데서도 알 수 있다.<ref>문명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3978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시각자료'''==
 
=='''시각자료'''==
40번째 줄: 40번째 줄: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 [[의천]] || A는 B를 위한 진영이다 ||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 [[의천]] || A는 B를 위한 진영이다 ||
 
|-
 
|-
|[[도일]] ||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 A는 B를 그렸다 || 1805년
+
|[[도일(화승)]] ||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A는 B를 그렸다 || 1805년
 
|-
 
|-
|[[혜근]] ||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 A는 B와 관련있다 ||
+
|[[혜근]] ||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 A는 B와 관련있다 ||
 
|}
 
|}
 +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49번째 줄: 52번째 줄: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3890 선암사대각국사의천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3890 선암사대각국사의천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0440000,36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0440000,36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주석'''==
 
<references/>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보물]]
 
[[분류:보물]]
 +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0월 9일 (월) 19:37 기준 최신판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順天 仙巖寺 大覺國師 義天 眞影)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대표명칭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한자표기 順天 仙巖寺 大覺國師 義天 眞影
영문명칭 Portrait of State Preceptor Daegak in Seonamsa Temple, Suncheon
시대 조선
지정번호 보물 제1044호
지정일 1990년 9월 20일
소장처 선암사 성보박물관
수량 1점
관련인물 의천
관련유물유적 순천 선암사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고려 중기의 승려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의 초상화.[1]

내용

1805년(순조 5) 도일(道日)이 제작하였다.[2]앞 시대의 양식적 특징을 알 수 있는 당대의 대표작이며, 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의 글이 있어 더욱 가치가 있다.[3]

그림에서 의천은 장식적인 의자에 앉아 오른쪽으로 몸을 틀고 있는데, 이 자세는 당시 보편적인 영정(影幀)[4]의 구도법을 보여준다. 오른손으로 의자 손잡이를 잡고, 왼손으로 긴 주장자를 살짝 잡으면서 의젓하게 앉아 있는 모습에서 대각국사의 내면세계를 적절히 묘사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점은 영롱한 눈매, 듬직한 주먹코, 꽉 다문 입, 여기에 이마와 입가의 주름살을 그려, 학식과 수행이 높은 경지에 이르렀던 초로의 고승의 풍모를 잘 나타내고 있는 데서도 알 수 있다.[5]

시각자료

갤러리

답사 이후 추가 예정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의천 A는 B를 위한 진영이다
도일(화승)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A는 B를 그렸다 1805년
혜근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A는 B와 관련있다

주석

  1. 문명대,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선암사대각국사의천진영", 『두산백과』online.
  3.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문화재 검색』online, 문화재청.
  4. 그림으로 나타낸 어떤 사람의 얼굴 모습이나 용태. 특히 조선시대 이전에 그려진 옛 사람의 초상화를 가리킴
  5. 문명대,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