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강진 무위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정보
+
{{사찰사지정보
|사진 = muwisa.jpg
+
|사진=  
|대표명칭 = 강진 무위사
+
|사진출처=
|한자 = 康津 無爲寺
+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영문 =
+
|영문명칭= Muwisa Temple, Gangjin
|이칭 = 관음사, 갈옥사, 모옥사, 무위갑사
+
|한자= 康津 無爲寺
|지정번호 =  
+
|이칭= 관음사, 갈옥사, 모옥사, 무위갑사
|지정일 =
+
|지정번호=
|주소 =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94번지
+
|지정일=
|위도 = 34.738758
+
|주소=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94번지
|경도 = 126.686809
+
|위도= 34.738758
|웹사이트 =  
+
|경도= 126.686809
 +
|소유자=
 +
|관리자=
 +
|교구정보=
 +
|건립시기= 7세기
 +
|창건자= [[원효|원효(元曉)]]
 +
|경내문화재=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
 
}}
  
=='''소개'''==
+
=='''정의'''==
전남 강진군 성전면(城田面) 월출산(月出山) 남동쪽에 있는 고찰이다. 617년(신라 진평왕 39)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
+
전남 강진군 성전면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절.
  
경내에는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국보 제13호),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부도비]](보물 제507호), 미륵전과 산신각, 천불전, 삼층석탑 등의 불교문화재가 있다.<ref>무위사,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5000&cid=40942&categoryId=39201, 2016년 12월 26일 확인</ref>
+
=='''내용'''==
 +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해남 대흥사|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역사===
+
신라 때 [[원효|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고, 875년([[신라 헌강왕|헌강왕]] 1)에 [[도선|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고 개칭한 뒤, 많은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905년([[신라 효공왕|효공왕]] 9) [[혜근|선각(禪覺)]]이 3창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신라 진평왕 39년(617)에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절 이름을 관음사라고 했고 그후 헌강왕 원년(875)에 [[도선국사]]가 중창하고 갈옥사(葛屋寺)로 바꿨으며 고려 정종 원년(946)선각(先覺)대사가 3창하고 모옥사(茅屋寺)로 개명, 조선 명종 10년(1555)에 태감(太甘)선사가 4창하고 비로소 절 이름을 무위사로 고쳤다는 내용이 『무위사 사적기』에 나온다. 이 사적기는 영조 15년(1739)에 당시 주지였던 극잠이 절을 보수하면서 쓴 것인데, 당시까지 전해 오던 이야기를 그대로 받아 적은 듯, 믿기 어려운 점이 많다.
 
  
우선 진평왕 39년에는 이 부근이 백제의 영토였고 또 [[원효]]는 바로 그해에 겨우 태어났을 뿐이었다. [[도선국사]]가 중창한 후 얼마 지나지 않은 효공왕 9년(905)부터 [[선각대사 형미|선각대사]]가 주석했다는 것으로 보아 도선의 중창설도 의문시되고 있다. 도선국사는 [[동리산문]]에 속하며 선각대사는 [[가지산문]]에 속하는데, 사찰의 소속이 그렇게 짧은 기간에 바뀌는 일은 드물기 때문이다. 또 정종 원년은 선각대사 부도비가 세워진 해이고 선각대사가 죽은 지 이미 28년이 지난 때이므로 그 해에 그가 절을 중창했다는 것은 맞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절 이름에 대해서도, 지금 절 안에 있는 선각대사 부도비의 제목에 ‘무위갑사’(無爲岬寺)라고 적혀 있고 비문 속에도 신라 효공왕 9년(905)에 왕건이 선각대사를 무위갑사에 머물도록 청했다는 내용이 있으므로, 그 이전부터 계속 무위사로 불려 왔음을 알 수 있다.
+
[[형미|형미(逈微, 864-917)]]는 891년, 당에 가서 선법(禪法)을 전해 받고, 905년에 귀국하여 무위사에 머물며 선풍(禪風)을 일으켰다.<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5872&cid=50763&categoryId=50784 형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어쨌든 무위사는 무위갑사라는 이름으로 10세기 초 이전에 창건되었고 신라 말에 [[고려 태조|왕건]]과 가까웠던 [[선각대사 형미|선각대사]]가 머물던 기간에 사세를 키웠다. 조선 시대 들어와 태종 7년(1407)에는 각지의 명찰을 골라 여러 고을의 자복(資福) 사찰로 지정하는 가운데 [[천태종]] [[자복사]]의 하나로 꼽혔다. 이전에 [[선종]] 사찰이었던 무위사가 어느 때부터인가 [[천태종]] 절이 된 데는 고려 후기에 [[백련사]]에서 [[천태종]] [[백련결사]]가 활발히 활동했던 것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한다.
+
1407년([[조선 태종|태종]] 7) 무위사가 [[천태종|천태종(天台宗)]] 17개의 [[자복사찰|자복사(資福寺)]] 중 하나가 되었다. 1430년([[조선 세종|세종]] 12) [[강진 무위사 극락전|극락전]]을 지었는데, 이 건물은 지금도 남아 있다. 1555년([[조선 명종|명종]] 10)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無爲寺)'라 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세종 12년(1430)에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모시는 [[극락전]]이 지어지고 성종 7년(1476)에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극락전]] 안에 [[아미타삼존도]], [[아미타여래내영도]]를 비롯한 벽화가 그려졌다. 이는 당시 무위사가 [[수륙사(水陸寺)]]로 지정되었던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수륙사]]로 지정된 무위사에서는 죽어서 제 갈 길로 가지 못하고 떠도는 망령들을 불력으로 거두는 [[수륙재]]를 자주 지냈을 것이고, [[아미타불]]은 [[서방정토]]를 주관하는 부처이기 때문이다.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극락보전]] 앞 좌우에 벌여 선 괘불 걸이는 [[수륙재]] 야단법석(野壇法席)을 펼 괘불을 걸었던 자취이리라.<ref>'''무위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161&cid=42840&categoryId=42849, 2016년 12월 26일 확인.''' 이 서비스는 (무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돌베개, 초판 1995, 23쇄 2010.)를 원본으로 한다.</ref>
+
당시 무위사는 본절이 23동, 암자가 35개로 모두 58동에 이르는 대찰이었으나, 이후 화재 등으로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극락보전]]을 제외하고는, 당시 지어진 건축물 대부분이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635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ref>
  
===절의 특징===
+
=='''지식관계망'''==
강진 무위사는 수륙재와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와 선각대사 형미 지식관계망'''
 
+
<html>
「신증동국여지승람」 권 37 <강진현 불우조>에는 '세월이 오래되어 퇴락했던 무위사를 이제 중수하고 이로 인해 수륙사(水陸社)로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무위사가 수륙사로 지정된 것과 극락보전의 건립, [[아미타삼존도]] · [[아미타여래도]]등의 벽화 조성은 그 조성 시기 및 신앙 배경 등에 있어서 상호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왜냐하면 [[수륙사]]로 지정된 무위사는 수륙재(水陸齎)를 빈번하게 행하였을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수륙재는 지상에 떠도는 망령을 부처님에 의하여 환생케 하는 재생 의식으로서 적을 포함한 전사자를 위로하는 불교 의식이다. 죽은 영혼을 달래려는 수륙재는 곧 살아 있는 자들의 애도와 복수심가지 포용하려는 차원에서 거행된 불교 의식인 것이다. 수륙사로 지정된 무위사에 [[극락보전]]이 건립되고 [[아미타불]]의 벽화가 조성되는 것은 이와 같은 신앙 구조 속에서 가능한 것이라 여겨진다. <ref>무위사 소개, 대한불교조계종 월출산 무위사, http://www.muwisa.com/maha/introduce/introduce_02.html, 2016년 12월 27일 확인</ref>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17/monk_hyeongm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경내 문화재'''==
+
===관계정보===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
| [[강진 무위사]] || [[원효]]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무위사극락전백의관음도]]
+
|-
*[[무위사극락전내벽사면벽화]]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무위사삼층석탑]]
+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형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관련 지식정보 노드'''==
+
|-
{| class="wikitable"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노드 || 관계 || 노드 || 설명
 
 
|-
 
|-
|| [[강진 무위사]] || ~를 포함한다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강진 무위사는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을 포함한다.
+
|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강진 무위사]] || ~를 포함한다 ||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강진 무위사는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를 포함한다.
+
|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강진 무위사]] || ~를 포함한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강진 무위사는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를 포함한다
+
| [[강진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강진 무위사]] || ~를 포함한다 ||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 강진 무위사는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를 포함한다
+
|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강진 무위사]] || ~를 포함한다 || [[무위사극락전백의관음도]] || 강진 무위사는 무위사극락전백의관음도를 포함한다.
+
| 7세기|| [[원효]][[강진 무위사|무위사]]를 창건하였다
 
|-
 
|-
| [[강진 무위사]] || ~를 포함한다 || [[무위사극락전내벽사면벽화]] || 강진 무위사는 무위사극락전내벽사면벽화를 포함한다.
+
| 875년|| [[도선]][[강진 무위사|무위사]]를 중건하여 '갈옥사'라고 개칭하였다
 
|-
 
|-
| [[강진 무위사]] || ~를 포함한다 || [[무위사삼층석탑]] || 강진 무위사 극락전는 무위사삼층석탑를 포함한다.
+
| 905년|| [[혜근]]이 3창하였다
 
|-
 
|-
| [[강진 무위사]] || ~가 창건하였다 || [[선각국사 형미]] || 강진 무위사는 선각국사 형미가 창건하였다.
+
| 905년|| [[형미]]가 당에서 귀국하여 무위사에 머물면서 선풍을 일으켰다
 
|-
 
|-
| [[강진 무위사]] || ~의 이칭을 가진다 || [[무위갑사]] || 강진 무위사는 무위갑사의 이칭을 가진다.
+
| 1407년|| [[강진 무위사|무위사]][[천태종]] 17개의 [[자복사찰|자복사(資福寺)]] 중의 하나가 되었다
 
|-
 
|-
| [[강진 무위사]] || ~의 역할을 하다 || [[수륙사]] || 강진 무위사는 수륙사의 역할을 하였다.
+
| 1430년|| [[강진 무위사 극락전|극락전]]을 지었다
 
|-
 
|-
 +
| 1555년||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라 하였다
 
|}
 
|}
  
==기여자==
+
=='''시각자료'''==
[[김사현]]: 최초 작성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17/Muwi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17/Muwi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영상===
 +
* treasure Namdo, "[https://www.youtube.com/watch?v=mZCp0ifhNBk '남도의보물100선' 62회 - 흐르는 영혼 '강진 무위사']", YouTube, 게시일: 2016년 4월 17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mZCp0ifhNBk?ecver=1"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사찰]] [[분류:강진 무위사와 선각대사 형미 이야기]] [[분류:강진군]]
+
=='''참고문헌'''==
 +
* 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5872&cid=50763&categoryId=50784 형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635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
 +
 +
{{승탑비문 Top icon}}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2024년 3월 29일 (금) 10:51 기준 최신판

강진 무위사
(康津 無爲寺)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영문명칭 Muwisa Temple, Gangjin
한자 康津 無爲寺
이칭 관음사, 갈옥사, 모옥사, 무위갑사
주소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94번지
건립시기 7세기
창건자 원효(元曉)
경내문화재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정의

전남 강진군 성전면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절.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1]

신라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고, 875년(헌강왕 1)에 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고 개칭한 뒤, 많은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905년(효공왕 9) 선각(禪覺)이 3창하였다.[2]

형미(逈微, 864-917)는 891년, 당에 가서 선법(禪法)을 전해 받고, 905년에 귀국하여 무위사에 머물며 선풍(禪風)을 일으켰다.[3]

1407년(태종 7) 무위사가 천태종(天台宗) 17개의 자복사(資福寺) 중 하나가 되었다. 1430년(세종 12) 극락전을 지었는데, 이 건물은 지금도 남아 있다. 1555년(명종 10)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無爲寺)'라 하였다.[4]

당시 무위사는 본절이 23동, 암자가 35개로 모두 58동에 이르는 대찰이었으나, 이후 화재 등으로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다.[5] 극락보전을 제외하고는, 당시 지어진 건축물 대부분이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6]

지식관계망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와 선각대사 형미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진 무위사 원효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형미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강진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7세기 원효무위사를 창건하였다
875년 도선무위사를 중건하여 '갈옥사'라고 개칭하였다
905년 혜근이 3창하였다
905년 형미가 당에서 귀국하여 무위사에 머물면서 선풍을 일으켰다
1407년 무위사천태종 17개의 자복사(資福寺) 중의 하나가 되었다
1430년 극락전을 지었다
1555년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라 하였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영상

주석

  1.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형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무위사",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참고문헌

  •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형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무위사",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