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영선-인천판유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필드수=7
 
|필드수=7
 
}}
 
}}
=='''개요'''==
+
=='''정의'''==
[[한국유리|인천 판유리 공장]]전경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
[[인천판유리]] 공장의 전경을 그린 [[박영선]]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한국유리|인천 판유리 공장]]1956년 2월 14일 운크라<ref>U.N.K.R.A, 국제연합한국재건단(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1950년 12월 1일 국제연합 총회 결의 410(V)에 따라 한국의 부흥과 재건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던 기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1951&cid=46627&categoryId=46627 국제연합한국재건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5월 08일.</ref>의 지원으로 인천 만석동에 세워졌다. 이후 [[충주비료공장]], [[문경시멘트]]와 함께 3대 기간산업으로서 성장하였다. 1957년 대한유리공업기성회에서 인천 판유리 공장을 인수한 후 인천유리공업을 설립하였고, 이어서 [[한국유리|한국유리공업]]으로 상호를 바꾸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
[[인천판유리]] 공장은 1956년 2월 14일 [[국제연합한국재건단|유엔한국재건단]]<ref>U.N.K.R.A, 국제연합한국재건단(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1950년 12월 1일 국제연합 총회 결의 410(V)에 따라 한국의 부흥과 재건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던 기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1951&cid=46627&categoryId=46627 국제연합한국재건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의 지원으로 인천 만석동에 세워졌다. 이후 [[충주비료공장]], [[쌍용양회 문경공장|문경시멘트]]와 함께 3대 기간산업으로 성장하였다. 1957년 대한유리공업기성회에서 인천 판유리 공장을 인수한 후 인천유리공업을 설립하였고, 이어서 [[한국유리공업]]으로 상호를 바꾸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
 
 
===작품 배경===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이 되는 인천 판유리 공장은 1950년대 초기 한반도 유리 산업을 태동시킨 유일의 판유리 공장이었다. 1997년 6월 공장이 군산으로 이전되면서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
작품의 배경이 되는 인천 판유리 공장은 1950년대 초기한국의 유리 산업을 태동한 유일한 판유리 공장이었다.<br/>
 +
1956년 2월 14일 오후 2시에 열린 [[인천판유리]] 기공식에는 [[이승만]]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였을 정도로 국가적 관심이 쏠린 사업이었다.<br/>
 +
1957년 9월 30일 준공된 후 국내 최초로 한국 원료와 기술로 만든 판유리를 생산했다. 판유리공장의 급수탑은 당시 만석동 공장 지대의 상징물이기도 하였다.<br/>
 +
1957년 대한유리공업기성회에서 인천 판유리 공장을 인수한 후 인천유리공업을 설립하였고, 이후 [[한국유리공업]]으로 이름을 바꾸었다.<br/>
 +
1997년 6월 공장을 군산으로 이전하면서 한국 초기 유리산업을 이끌었던 [[인천판유리]] 공장은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시각적 안내'''==
+
===그림 읽기===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월 9일부터 1992년 1월 8일까지 [[안동문화원]]에 대여되었습니다.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imagemap>Image:박영선-인천판유리-1975s.jpg|center|900px|
+
<imagemap>Image:박영선-인천판유리-1975s.jpg|center|800px|
 
</imagemap>
 
</imagemap>
<gallery mode=packed caption="운크라 제공 사진"  heights=200px>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제연합한국재건단|운크라]] 제공 사진"  heights=200px>
파일:민족기록화 공간 인천판유리 1957년사진.jpg|<center>인천 판유리 공장 1957년 당시 모습</center><ref>KKKK8155, "[http://blog.naver.com/kkkk8155/220807377641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공간 인천판유리 1957년사진.jpg|<center>인천 판유리 공장 1957년 당시 모습</center><ref>KKKK8155, "[http://blog.naver.com/kkkk8155/220807377641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ref>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인천판유리 준공식01.jpg|1956년 2월 14일 인천판유리 준공식 현장<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31461&cid=57618&categoryId=57621 전후복구와 재건기]", 국가기록원 - 한국과 유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인천판유리 준공식02.jpg|1956년 2월 14일 인천판유리 준공식 현장<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9&detl_PhotoDTL=387 인천판유리 공장 준공기념식]",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gallery>
 
</gallery>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87/C08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박영선-인천판유리]] || [[박영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박영선-인천판유리]] ||[[안동문화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 [[박영선-인천판유리]]  ||[[인천판유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5년 || [[박영선]]이 [[박영선-인천판유리]]를 그렸다.
 +
|-
 +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 [[안동문화원]]이 [[박영선-인천판유리]]를 대여하였다.
 +
|-
 +
|1957년 || [[한국유리]]가 [[인천판유리]]를 인수하였다.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36.566253 || 128.734146 || [[박영선-인천판유리]]가 [[안동문화원]]에 대여되었다.
 +
|-
 +
| 37.4899232 || 126.6128083 || 인천 동구 만석동에 [[인천판유리]] 공장이 설립되었다
 +
|}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10/C010.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련 민족기록화===
 
<gallery mode=packed caption="광공업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gallery mode=packed caption="광공업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파일: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문학진-강원탄광]]
 
파일: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문학진-강원탄광]]
53번째 줄: 106번째 줄:
 
</gallery>
 
</gallery>
  
==='''관련항목'''===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가상현실===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박영선]]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PAGENAME}} ||[[안동문화원]] || A는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
 
|{{PAGENAME}} ||[[인천판유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인천판유리]] || [[한국유리]] || A는 B를 인수하였다 ||1957년
 
|-
 
|[[인천판유리]] || [[충주비료공장]]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인천판유리]] || [[문경시멘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1975년 || [[박영선]]이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 [[안동문화원]]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957년 || [[한국유리]]가 [[인천판유리]]를 인수하였다.
 
|}
 
  
==='''공간정보'''===
+
===갤러리===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파일:민족기록화 공간 인천판유리 1957년사진.jpg|<center>인천 판유리 공장 1957년 당시 모습</center><ref>KKKK8155, "[http://blog.naver.com/kkkk8155/220807377641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ref>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인천판유리 준공식01.jpg|1956년 2월 14일 인천판유리 준공식 현장<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31461&cid=57618&categoryId=57621 전후복구와 재건기]", 국가기록원 - 한국과 유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36.566477 || 128.734167||{{PAGENAME}}이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 대여되었다.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인천판유리 준공식02.jpg|1956년 2월 14일 인천판유리 준공식 현장<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9&detl_PhotoDTL=387 인천판유리 공장 준공기념식]",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영상===
 +
*'''대한뉴스 제 146호-인천 판유리 공장(게시일: 2016년 10월 18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fITPujdg4V8"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그래프'''==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1992년
+
===인용 및 참조===
*KKKK8155, "[http://blog.naver.com/kkkk8155/220807377641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
+
#단행본
*겨울아이, "[http://blog.naver.com/glassshop/50000631885 한국유리산업의 뿌리-3대 기간산업으로 출발, 초고속 성장]", 『네이버 블로그 - 겨울아이의 블로그』, 작성일: 2006년 01월 03일.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1992, 43쪽.
 +
#웹 자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31461&cid=57618&categoryId=57621 전후복구와 재건기]", 국가기록원 - 한국과 유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45223&cid=43126&categoryId=43126 국제연합한국재건단]",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KKKK8155, "[http://blog.naver.com/kkkk8155/220807377641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
 +
#*겨울아이, "[http://blog.naver.com/glassshop/50000631885 한국유리산업의 뿌리-3대 기간산업으로 출발, 초고속 성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겨울아이의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06년 01월 03일.
 +
#신문
 +
#*"[http://www.joongdo.co.kr/jsp/article/article_view.jsp?pq=201708031432 '한국 최초, 인천 최고 100선’을 통한 인천 가치 재창조 판유리 공장의 출발지 인천]", 『중도일보』, 2017년 8월 3일.
 +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331397 한국최초 판유리 공장의 출발지 인천, 국가기간산업의 근원지]", 『매일일보』, 2017년 8월 2일.
  
=='''주석'''==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현대]][[분류:광공업]]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51 기준 최신판


박영선-인천판유리
박영선-인천판유리-1975s.jpg
작가 박영선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290.9x197cm)
유형 광공업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인천판유리 공장의 전경을 그린 박영선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인천판유리 공장은 1956년 2월 14일 유엔한국재건단[1]의 지원으로 인천 만석동에 세워졌다. 이후 충주비료공장, 문경시멘트와 함께 3대 기간산업으로 성장하였다. 1957년 대한유리공업기성회에서 인천 판유리 공장을 인수한 후 인천유리공업을 설립하였고, 이어서 한국유리공업으로 상호를 바꾸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이 되는 인천 판유리 공장은 1950년대 초기한국의 유리 산업을 태동한 유일한 판유리 공장이었다.
1956년 2월 14일 오후 2시에 열린 인천판유리 기공식에는 이승만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였을 정도로 국가적 관심이 쏠린 사업이었다.
1957년 9월 30일 준공된 후 국내 최초로 한국 원료와 기술로 만든 판유리를 생산했다. 판유리공장의 급수탑은 당시 만석동 공장 지대의 상징물이기도 하였다.
1957년 대한유리공업기성회에서 인천 판유리 공장을 인수한 후 인천유리공업을 설립하였고, 이후 한국유리공업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97년 6월 공장을 군산으로 이전하면서 한국 초기 유리산업을 이끌었던 인천판유리 공장은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그림 읽기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월 9일부터 1992년 1월 8일까지 안동문화원에 대여되었습니다.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박영선-인천판유리-1975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영선-인천판유리 박영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영선-인천판유리 안동문화원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박영선-인천판유리 인천판유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박영선박영선-인천판유리를 그렸다.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안동문화원박영선-인천판유리를 대여하였다.
1957년 한국유리인천판유리를 인수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566253 128.734146 박영선-인천판유리안동문화원에 대여되었다.
37.4899232 126.6128083 인천 동구 만석동에 인천판유리 공장이 설립되었다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 146호-인천 판유리 공장(게시일: 2016년 10월 18일)

주석

  1. U.N.K.R.A, 국제연합한국재건단(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1950년 12월 1일 국제연합 총회 결의 410(V)에 따라 한국의 부흥과 재건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던 기구. *"국제연합한국재건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KKKK8155,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online,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
  3. "전후복구와 재건기", 국가기록원 - 한국과 유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인천판유리 공장 준공기념식",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5. KKKK8155,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online,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
  6. "전후복구와 재건기", 국가기록원 - 한국과 유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7. "인천판유리 공장 준공기념식",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1992, 43쪽.
  2. 웹 자원
  3. 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