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오천축국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기록물정보 |대표명칭= 왕오천축국전 |DB유형 = 민족기록화 |한글표기 = 왕오천축국전 |한자표기 = 往五天竺國傳 |시대 = 신라 |분야 = 기...) |
(→참고문헌)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문헌정보 |
− | | | + | |사진=왕오천축국전.JPG |
− | | | + | |사진출처="[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9126 왕오천축국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대표명칭=왕오천축국전 |
− | |한자표기 = 往五天竺國傳 | + | |한자표기=往五天竺國傳 |
− | | | + | |영문명칭= |
− | | | + | |이칭= |
− | | | + | |유형=기행록 |
− | | | + | |저자=[[혜초|혜초(慧超)]] |
− | | | + | |역자= |
+ | |편자= | ||
+ | |저술시기=727년 | ||
+ | |간행시기= | ||
+ | |간행처= | ||
+ | |간행지= | ||
+ | |간행인= | ||
+ | |시대=신라 | ||
+ | |수량=1권 1책 | ||
+ | |크기= | ||
+ | |판본= | ||
+ | |판사항= | ||
+ | |형태사항= | ||
+ | |표기문자= | ||
+ | |소장처= | ||
+ | |청구기호= | ||
+ | |지정번호= | ||
+ | |지정일= | ||
}} | }} | ||
− | == | + | =='''정의'''== |
− | 신라시대 승려 [[혜초 | + | 신라시대 승려 [[혜초]](慧超)가 지은 인도 여행기이다. <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3963 왕오천축국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 |||
− | |||
− | |||
− | == | + | =='''내용'''== |
+ | 완질은 남아 있지 않고, 일부분만이 현존한다. 1908년 3월 프랑스의 탐험가였던 [[폴 펠리오|펠리오(Pelliot,P.)]]가 중국 [[돈황석굴|돈황(敦煌)의 천불동(千佛洞)]]에서 발견하였다. 원래는 3권이었던 듯하나 현존본은 그 약본(略本)이며, 앞뒤 부분이 떨어져 나갔다. 카슈미르(Kashmir)·아프가니스탄·중앙아시아 일대까지 여행한 [[혜초]]의 경험을 토대로 당시 인도 및 서역(西域) 각국의 종교와 풍속·문화 등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다. 현재 [[파리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9126 왕오천축국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사료적 가치=== | ||
+ | [[현장]](玄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나 [[법현]](法顯) 『[[불국기]](佛國記)』 등의 인도 여행기들은 육로기행이거나 해로기행(海路紀行)인 데 비하여 이 책은 육로와 해로가 같이 언급되고 있다는 점, 앞서 말한 여행기가 6세기와 7세기의 인도 정세를 말해 주는 자료라면 이 책은 8세기의 사료라는 점, 일반적인 정치 정세 이외에 사회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기록이라는 점 등이 이 책의 사료적 가치를 말해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9126 왕오천축국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내용적 특징=== | ||
+ | 『왕오천축국전』은 노정, 자연지리 및 인문지리와 풍습, 불교의 성황 정도를 산문 양식에 한문으로 적었다. 직접 경유한 곳은 '종(從)-지명', '행(行)-방향', '경(經)-숫자-일(日)[월月]', '지(至)-지명'의 형식으로 적었다. | ||
+ | {{Blockquote|우종차도란달라국(又從此闍蘭達羅國), 서행(西行), 경일월(經一月), 지일사탁국(至一社吒國).<br/> | ||
+ | (다시 사란달라국에서 서쪽으로 한 달을 가서 탁사국[원문의 사탁국은 탁사국의 오기로 본다]에 이르렀다.) | ||
+ | |출처=조현설 외,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2033&cid=41708&categoryId=41736 왕오천축국전 - 우리나라 기행문학의 효시, 노정기와 서정시의 만남]",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또한 『왕오천축국전』에는 다섯 수의 한시가 들어 있는데 형식이 완정할 뿐 아니라 서정적인 것들이 많다. 주제는 원만한 여행의 기쁨과 기대감, 고국에 대한 그리움, 구도에의 불안감과 험난함 등 다양하다. 개중 신두고라국(新頭故羅國)에서 한 승려의 죽음을 목도하고 지은 시는 다음과 같다. | ||
+ | {{Blockquote|고향의 등불은 주인을 잃고 객지의 보배나무는 꺾이고 말았구나.<br/>신령스런 그대 영혼은 어디로 갔는가 옥 같은 용모가 재가 되다니.<br/>생각하면 슬픈 마음 간절하거니, 그대 소원 못 이룸이 못내 섧구나.<br/>누가 고향 가는 길을 알리오 돌아가는 흰 구름만 부질없이 바라보네. | ||
+ | |출처=조현설 외,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2033&cid=41708&categoryId=41736 왕오천축국전 - 우리나라 기행문학의 효시, 노정기와 서정시의 만남]",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14/C014.htm "혜초의 천축구법 활동"(김충선) 지식관계망] |
− | {| class="wikitable" | + | <html> |
− |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14/C01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왕오천축국전]] || [[혜초]]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폴 펠리오]] || [[왕오천축국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왕오천축국전]] || [[돈황석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 |[[ | + | | [[왕오천축국전]] || [[파리국립도서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 | + | | 727년 || [[혜초]]가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하였다. |
|- | |- | ||
+ | | 1908년 || [[폴 펠리오]]가 [[돈황석굴]]에서 [[왕오천축국전]]을 발견하였다. | ||
|} | |} | ||
− | ==참조== | + | ===공간정보===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48.833549 || 2.375798 ||[[왕오천축국전]]은 [[다산초당]]에 위치한다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
+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김충선 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3d혜초.JPG|혜초 3D 복원도<ref>"[http://portal.kocca.kr/portal/bbs/view/B0000204/1309908.do?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0253&categorys=4&subcate=67&cateCode=0&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option1=&option2=&pageIndex=25 세계 여행 문화원형의 효시, 혜초의 대여행기 왕오천축국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콘텐츠산업정보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김충선 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혜초지도.JPG|혜초 3D 복원도<ref>"[http://portal.kocca.kr/portal/bbs/view/B0000204/1309908.do?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0253&categorys=4&subcate=67&cateCode=0&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option1=&option2=&pageIndex=25 세계 여행 문화원형의 효시, 혜초의 대여행기 왕오천축국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콘텐츠산업정보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ref> | ||
+ | </gallery> | ||
+ | |||
+ | ===영상===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웹 자원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9126 왕오천축국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3963 왕오천축국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조현설 외,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2033&cid=41708&categoryId=41736 왕오천축국전 - 우리나라 기행문학의 효시, 노정기와 서정시의 만남]",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헌]] |
2017년 12월 26일 (화) 23:52 기준 최신판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 |
대표명칭 | 왕오천축국전 |
---|---|
한자표기 | 往五天竺國傳 |
유형 | 기행록 |
저자 | 혜초(慧超) |
저술시기 | 727년 |
시대 | 신라 |
수량 | 1권 1책 |
목차
정의
신라시대 승려 혜초(慧超)가 지은 인도 여행기이다. [1]
내용
완질은 남아 있지 않고, 일부분만이 현존한다. 1908년 3월 프랑스의 탐험가였던 펠리오(Pelliot,P.)가 중국 돈황(敦煌)의 천불동(千佛洞)에서 발견하였다. 원래는 3권이었던 듯하나 현존본은 그 약본(略本)이며, 앞뒤 부분이 떨어져 나갔다. 카슈미르(Kashmir)·아프가니스탄·중앙아시아 일대까지 여행한 혜초의 경험을 토대로 당시 인도 및 서역(西域) 각국의 종교와 풍속·문화 등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다. 현재 파리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2]
사료적 가치
현장(玄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나 법현(法顯) 『불국기(佛國記)』 등의 인도 여행기들은 육로기행이거나 해로기행(海路紀行)인 데 비하여 이 책은 육로와 해로가 같이 언급되고 있다는 점, 앞서 말한 여행기가 6세기와 7세기의 인도 정세를 말해 주는 자료라면 이 책은 8세기의 사료라는 점, 일반적인 정치 정세 이외에 사회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기록이라는 점 등이 이 책의 사료적 가치를 말해준다.[3]
내용적 특징
『왕오천축국전』은 노정, 자연지리 및 인문지리와 풍습, 불교의 성황 정도를 산문 양식에 한문으로 적었다. 직접 경유한 곳은 '종(從)-지명', '행(行)-방향', '경(經)-숫자-일(日)[월月]', '지(至)-지명'의 형식으로 적었다.
우종차도란달라국(又從此闍蘭達羅國), 서행(西行), 경일월(經一月), 지일사탁국(至一社吒國). (다시 사란달라국에서 서쪽으로 한 달을 가서 탁사국[원문의 사탁국은 탁사국의 오기로 본다]에 이르렀다.) |
||
출처: 조현설 외,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온라인 참조: "왕오천축국전 - 우리나라 기행문학의 효시, 노정기와 서정시의 만남",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
또한 『왕오천축국전』에는 다섯 수의 한시가 들어 있는데 형식이 완정할 뿐 아니라 서정적인 것들이 많다. 주제는 원만한 여행의 기쁨과 기대감, 고국에 대한 그리움, 구도에의 불안감과 험난함 등 다양하다. 개중 신두고라국(新頭故羅國)에서 한 승려의 죽음을 목도하고 지은 시는 다음과 같다.
고향의 등불은 주인을 잃고 객지의 보배나무는 꺾이고 말았구나. 신령스런 그대 영혼은 어디로 갔는가 옥 같은 용모가 재가 되다니. 생각하면 슬픈 마음 간절하거니, 그대 소원 못 이룸이 못내 섧구나. 누가 고향 가는 길을 알리오 돌아가는 흰 구름만 부질없이 바라보네. |
||
출처: 조현설 외,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온라인 참조: "왕오천축국전 - 우리나라 기행문학의 효시, 노정기와 서정시의 만남",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오천축국전 | 혜초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폴 펠리오 | 왕오천축국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왕오천축국전 | 돈황석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왕오천축국전 | 파리국립도서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727년 | 혜초가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하였다. |
1908년 | 폴 펠리오가 돈황석굴에서 왕오천축국전을 발견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48.833549 | 2.375798 | 왕오천축국전은 다산초당에 위치한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왕오천축국전",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왕오천축국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왕오천축국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세계 여행 문화원형의 효시, 혜초의 대여행기 왕오천축국전",
『콘텐츠산업정보포털』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세계 여행 문화원형의 효시, 혜초의 대여행기 왕오천축국전",
『콘텐츠산업정보포털』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왕오천축국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왕오천축국전",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조현설 외,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6. 온라인 참조: "왕오천축국전 - 우리나라 기행문학의 효시, 노정기와 서정시의 만남",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왕오천축국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