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민심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문헌정보 |
− | | | + | |사진=민족기록화 문헌 목민심서 01.jpg |
− | | | + | |사진출처=김성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631 목민심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대표명칭= 목민심서 | + | |대표명칭=목민심서 |
− | | | + | |한자표기=牧民心書 |
− | | | + | |영문명칭=Mokminsimseo |
− | | | + | |이칭= |
− | | | + | |유형= |
− | | | + | |저자=[[정약용]] |
− | |역자= 민족문화추진회 외 | + | |역자=민족문화추진회 외 |
− | |편자= | + | |편자= |
− | |간행시기= 광문사(1901), 민족문화추진회(1969), 대양서적(1977), 다산연구회(1981) | + | |저술시기=1818년 |
− | |간행처= 광문사, 민족문화추진회, 대양서적, 다산연구회 | + | |간행시기=광문사(1901), 민족문화추진회(1969), 대양서적(1977), 다산연구회(1981) |
− | |간행지= | + | |간행처=광문사, 민족문화추진회, 대양서적, 다산연구회 |
− | |간행인= | + | |간행지= |
− | | | + | |간행인= |
− | | | + | |시대=조선 |
− | + | |수량=48권 16책 | |
− | + | |크기= | |
− | + | |판본=필사본 | |
− | + | |판사항= | |
− | + | |형태사항= | |
− | |크기 | + | |표기문자=한자 |
− | |판본= 필사본 | + | |소장처= |
− | |판사항= | + | |청구기호= |
− | |형태사항= | + | |지정번호= |
− | + | |지정일= | |
− | |표기문자= 한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의'''== |
− | + | 조선후기의 문신이며 실학자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치민(治民)에 대한 도리(道理)를 논술한 책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1239 목민심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 | |||
− | == | + | =='''내용'''== |
+ | 『목민심서(牧民心書)』는 1818년 [[정약용]](丁若鏞)이 집필한 책으로, 48권 16책으로 된 필사본이다. 이 책은 고금(古今)의 여러 책에서 지방관의 사적을 가려 뽑은 내용을 담았으며, 부임(赴任)·율기(律己 : 자기 자신을 다스림)·봉공(奉公)·애민(愛民)·이전(吏典)·호전(戶典)·예전(禮典)·병전(兵典)·형전(刑典)·공전(工典)·진황(賑荒)·해관(解官 : 관원을 면직함) 등 모두 12편으로 구성되었다. 각 편은 다시 6조로 나누어 모두 72조로 편제되었다.<br/> | ||
+ | 『목민심서』를 비롯해 조선 초기의 『목민심감(牧民心鑑)』, 후기의 『거관요람(居官要覽)』·『거관대요(居官大要)』·『임관정요(臨官政要)』(안정복) 등 여러 목민서가 지향한 가장 중요한 특징은 목민관의 정기(正己 : 자기 자신을 바르게 함)와 청백 사상이 전편에 걸쳐 강하게 흐르고 있는 점이다. 또한, 청렴은 수령의 본무이며 모든 선(善)의 원천이자 덕의 근본이니, 청렴하지 않고 능히 수령 노릇할 수 있는 자는 없을 것이라고 말하였다.<br/> | ||
+ | 1901년 광문사에서 인간(印刊)하였고 1969년 민족문화추진회와 1977년 대양서적(大洋書籍), 1981년 다산연구회(茶山硏究會)에서 각각 국역으로 간행되었다.<ref>김성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631 목민심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9/C039.htm "정약용과 저술"(정창섭)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39/C03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class="wikitable | + | ===관계정보===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 [[목민심서]] || [[정약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목민심서]] || [[경세유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목민심서]] || [[흠흠신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1818년 || [[정약용]]이 [[목민심서]]를 저술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 | =='''시각자료'''==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9/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39/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 | |||
+ | |||
+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민족기록화 문헌 목민심서 01.jpg|목민심서.<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631 목민심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
+ | </gallery> | ||
+ | |||
+ | ===영상=== | ||
+ | |||
+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민족기록화]] | + | =='''참고문헌'''== |
− | [[분류:문헌]] | + | ===인용 및 참조=== |
+ | #웹 자원 | ||
+ | #*김성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631 목민심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1239 목민심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헌]] |
2017년 12월 26일 (화) 23:51 기준 최신판
목민심서(牧民心書) | |
대표명칭 | 목민심서 |
---|---|
한자표기 | 牧民心書 |
영문명칭 | Mokminsimseo |
저자 | 정약용 |
역자 | 민족문화추진회 외 |
저술시기 | 1818년 |
간행시기 | 광문사(1901), 민족문화추진회(1969), 대양서적(1977), 다산연구회(1981) |
간행처 | 광문사, 민족문화추진회, 대양서적, 다산연구회 |
시대 | 조선 |
수량 | 48권 16책 |
판본 | 필사본 |
표기문자 | 한자 |
정의
조선후기의 문신이며 실학자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치민(治民)에 대한 도리(道理)를 논술한 책이다.[1]
내용
『목민심서(牧民心書)』는 1818년 정약용(丁若鏞)이 집필한 책으로, 48권 16책으로 된 필사본이다. 이 책은 고금(古今)의 여러 책에서 지방관의 사적을 가려 뽑은 내용을 담았으며, 부임(赴任)·율기(律己 : 자기 자신을 다스림)·봉공(奉公)·애민(愛民)·이전(吏典)·호전(戶典)·예전(禮典)·병전(兵典)·형전(刑典)·공전(工典)·진황(賑荒)·해관(解官 : 관원을 면직함) 등 모두 12편으로 구성되었다. 각 편은 다시 6조로 나누어 모두 72조로 편제되었다.
『목민심서』를 비롯해 조선 초기의 『목민심감(牧民心鑑)』, 후기의 『거관요람(居官要覽)』·『거관대요(居官大要)』·『임관정요(臨官政要)』(안정복) 등 여러 목민서가 지향한 가장 중요한 특징은 목민관의 정기(正己 : 자기 자신을 바르게 함)와 청백 사상이 전편에 걸쳐 강하게 흐르고 있는 점이다. 또한, 청렴은 수령의 본무이며 모든 선(善)의 원천이자 덕의 근본이니, 청렴하지 않고 능히 수령 노릇할 수 있는 자는 없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1901년 광문사에서 인간(印刊)하였고 1969년 민족문화추진회와 1977년 대양서적(大洋書籍), 1981년 다산연구회(茶山硏究會)에서 각각 국역으로 간행되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목민심서 | 정약용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목민심서 | 경세유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목민심서 | 흠흠신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18년 | 정약용이 목민심서를 저술하였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목민심서.[3]
영상
주석
- ↑ "목민심서",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김성곤, "목민심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목민심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