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화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공간정보 |대표명칭 = 양화진 |DB유형 = |명칭 = 양화진 楊花津 , Yanghwajin |이칭/별칭 = 양화도(楊花渡) |유형 = 한강 북안(北岸)에 있던 나루...) |
잔글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 ||
|관련 문화재 = 한국기독교선교기념관,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 양화진성지공원, 천주교꾸르실료교육관, 절두산순교성지, 절두산순교성지기념관, 김대건신부 동상 | |관련 문화재 = 한국기독교선교기념관,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 양화진성지공원, 천주교꾸르실료교육관, 절두산순교성지, 절두산순교성지기념관, 김대건신부 동상 | ||
− | |image = | + | |image = 양화진_묘지.JPG |
}} | }} | ||
=='''개관'''== | =='''개관'''== | ||
−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한강 북안(北岸)에 있던 나루터. 일명 양화도(楊花渡).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는 한양과 강화, 한양과 삼남(三南) 지방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며 전략 요충지로서 진대(鎭臺)가 있었다. 조선 말기에는 천주교의 박해 현장으로서 1866년 10월 22일 최초의 순교자가 나면서부터 병인교난(丙寅敎難, 병인년에 일어난 천주교 박해) 6년 동안 이곳 양화진에서 참수(斬首)당한 자의 수가 수천 명(천주교 집계로는 약 1만 명)에 이를 정도였다. 이곳이 '절두산'(切頭山)으로 불린 이면에는 이런 배경이 있었다. | +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한강 북안(北岸)에 있던 나루터. 일명 양화도(楊花渡).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는 한양과 강화, 한양과 삼남(三南) 지방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며 전략 요충지로서 진대(鎭臺)가 있었다. 조선 말기에는 천주교의 박해 현장으로서 1866년 10월 22일 최초의 순교자가 나면서부터 [[병인양요|병인교난(丙寅敎難, 병인년에 일어난 천주교 박해)]] 6년 동안 이곳 양화진에서 참수(斬首)당한 자의 수가 수천 명(천주교 집계로는 약 1만 명)에 이를 정도였다. 이곳이 '절두산'(切頭山)으로 불린 이면에는 이런 배경이 있었다. |
− | 1966년 천주교에서는 병인교난 100주년을 기념하여 순교자 | + | 1966년 천주교에서는 병인교난 100주년을 기념하여 [[순교자 기념관|절두산순교성지기념관]]을 지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편, 양화진은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이 상해에서 살해된 후 이곳으로 시신이 옮겨져 효수(梟首)된 곳으로도 유명하다. 현재 이곳에는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이 조성되어 있다.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지도'''== | =='''지도'''== | ||
+ | <googlemap height="300" lat="37.546928" lon="126.911413"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37.546928, 126.911413, [[양화진 성지공원]] | ||
+ | </googlemap> | ||
2016년 12월 28일 (수) 10:29 기준 최신판
개관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한강 북안(北岸)에 있던 나루터. 일명 양화도(楊花渡).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는 한양과 강화, 한양과 삼남(三南) 지방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며 전략 요충지로서 진대(鎭臺)가 있었다. 조선 말기에는 천주교의 박해 현장으로서 1866년 10월 22일 최초의 순교자가 나면서부터 병인교난(丙寅敎難, 병인년에 일어난 천주교 박해) 6년 동안 이곳 양화진에서 참수(斬首)당한 자의 수가 수천 명(천주교 집계로는 약 1만 명)에 이를 정도였다. 이곳이 '절두산'(切頭山)으로 불린 이면에는 이런 배경이 있었다.
1966년 천주교에서는 병인교난 100주년을 기념하여 절두산순교성지기념관을 지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편, 양화진은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이 상해에서 살해된 후 이곳으로 시신이 옮겨져 효수(梟首)된 곳으로도 유명하다. 현재 이곳에는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이 조성되어 있다.
[1]
클래스
- 사건
지도
기여
- 장원석: 처음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