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봉 유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대표명칭= 학봉 유서 |한자명칭= 鶴峯 諭書 |로마자명칭= |영문명칭= |작자= 선조 |작성시기= 1592 |간행시기=...)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문헌정보 | ||
+ | |사진=한글팀 학봉 유서 01 표지.jpg | ||
+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학봉 유서 | ||
+ | |한자표기=鶴峯 諭書 | ||
+ | |영문명칭= | ||
+ | |이칭= | ||
+ | |유형=고문서 | ||
+ | |저자=[[조선 선조]] | ||
+ | |역자= | ||
+ | |편자= | ||
+ | |저술시기=1592년 | ||
+ | |간행시기=1592년 | ||
+ | |간행처=[[승정원]] | ||
+ | |간행지= | ||
+ | |간행인= | ||
+ | |시대= | ||
+ | |수량= | ||
+ | |크기= | ||
+ | |판본=필사본 | ||
+ | |판사항= | ||
+ | |형태사항= | ||
+ | |표기문자= | ||
+ | |소장처=[[의성김씨 학봉종택]] | ||
+ | |청구기호= | ||
+ | |지정번호= | ||
+ | |지정일= | ||
+ | }} | ||
+ | <!-- | ||
{{한글고문헌 샘플 | {{한글고문헌 샘플 | ||
− | |이미지= | + | |이미지= 한글팀 학봉 유서 01 표지.jpg |
|대표명칭= 학봉 유서 | |대표명칭= 학봉 유서 | ||
|한자명칭= 鶴峯 諭書 | |한자명칭= 鶴峯 諭書 | ||
10번째 줄: | 39번째 줄: | ||
|간행처= 승정원 | |간행처= 승정원 | ||
|기탁처= | |기탁처= | ||
− | |소장처= | + | |소장처= 의성김씨 학봉종택 |
|청구기호= | |청구기호= | ||
|유형= 고문서 | |유형= 고문서 | ||
17번째 줄: | 46번째 줄: | ||
|수량= | |수량= | ||
|표기문자= | |표기문자= | ||
− | |필드수= | + | |필드수= 10 |
}} | }} | ||
− | + | --> | |
==정의== | ==정의== | ||
+ | 1592년(선조 25) [[김성일|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을 경상우도 병마절도사로 임명하고 밀부(密符) 제26부와 함께 내린 유서를 말한다. | ||
==내용== | ==내용== | ||
+ | 이 [[학봉 유서]]는 1592년(선조 25) 4월 11일에 [[선조|선조(宣祖)]]가 [[김성일]]에게 경상우도 병마절도사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 ||
+ | 김성일 유서의 문서 양식은 『[[전율통보|전율통보(典律通補)]]』의 유서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즉, 문서 첫 부분에‘유수경상우도 병마절도사 김성일(諭守慶尙右道兵馬節度使金誠一)’이라고 써서 당해 관원의 직함과 성명을 기입하였고, 본문에 제26부라는 밀부번호를 명기하였다. 문서 말미에는 만력 20년 4월 11일이라는 발급된 연, 월, 일 등을 적었고, 유서지보(諭書之寶)를 날인하였다. | ||
+ | 1987년 3월 7일에 보물 제906호로 지정되었다. 김성일 종가 고문서 일괄 17종 242점 가운데에 하나로, 2008년에 학봉 김성일의 14대 종손 김시인이 별세하면서 아들 김종길이 안동에 거주하며 소장, 관리하고 있다. | ||
+ | <ref>최승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9487 김성일유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ref> | ||
+ | |||
+ | [[세종]]시기 이전 내전소식(內傳消息)이라는 왕명을 쓰고 있었는데, 이는 국왕이 신속하게 처리해야 할 사안이 있을시 [[승정원|승정원(承政院)]]을 통해 내리는 간단한 왕명이었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ca_11612002_001 이방간의 공신 녹권과 직첩 및 이맹중의 직첩을 회수하다]", 「태종실록」 32권, 1416년(태종 16) 12월 2일 기미 1번째 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ref> | ||
+ | 이같은 서식은 고려의 선전소식(宣傳消息)에서 유래하였다. 선전소식은 충렬왕대에 만든 왕명으로, 당시에 몽골과의 관계로 인해 국정에 긴급하게 처리해야 할 사안이 많았는데, 왕명을 받은 사신이 지방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데 있어 선지(宣旨)를 반포하였을 경우에 의례 절차가 매우 번거로웠다. 그래서 승선이 국왕의 명령을 받들어 작성하고 서명하는 선전소식이라는 간단한 왕명을 만들었다. | ||
+ | <ref>"[http://db.history.go.kr/id/kr_123r_0010_0090_0030_0010 이습이 응방 오숙부가 안찰사를 참소한 일을 논박하다]", 「열전(폐행)」 123권,<html><online style="color:purple">『고려사』<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ref> | ||
+ | 이것이 기원이 된 조선의 내전소식은 국왕의 명령 가운데 정식 행정 절차를 거쳐 공문을 보내는 것이 시간적으로 여의치 않거나 사안이 중요하지 않은 잡사(雜事)일 경우에, 비교적 형식에 매이지 않고 어보(御寶)나 담당 관청의 인신이 없이 승지 한 사람의 서명만으로 시행하였던 왕명이었다. 하지만 이같은 문서 서식은 어보나 승정원의 인신이 찍히지 않았기에 위조 가능성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 문제를 [[세종]]이 제기하였고 | ||
+ | <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10711022_002 승정원에서 사용하는 내전과 첩자에 대해 대신들과 논의하다]", 「세종실록」 30권, 1425년(세종 7) 11월 22일 정사 2번째 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ref> 논의가 진행되어 1443년(세종 25)에 최종적으로 내전소식을 유서로 개편 하였다. | ||
+ | <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12508006_001 내전을 고쳐서 유서라 하고 승정원에서는 관직과 이름을 써서 이에 동봉하여 내리게 하다]", 「세종실록」 101권, 1443년(세종 25) 8월 6일 무자 1번째 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ref> | ||
− | == | + | ==지식 관계망== |
+ | *학봉 김성일가의 한글 고문서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1/A2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학봉 유서]]||[[선조]]||A는 B예 의해 저술되었다||A dcterms:creator B | ||
+ | |- | ||
+ | |[[학봉 유서]]||[[김성일]]||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 |[[학봉 유서]]||[[전율통보]]||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 |[[김시인]]||[[김성일]]||A는 B의 후손이다||A ekc:hasncestor B | ||
+ | |- | ||
+ | |[[김종길]]||[[김시인]]||A는 B의 아들이다||A ekc:hasFather B | ||
+ | |- | ||
+ | |[[유서]]||[[학봉 유서]]||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승정원]]||[[유서]]||A는 B에서 간행되었다||A dcterms:publisher B | ||
+ | |- | ||
+ | |[[내전소식]]||[[선전소식]]||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 |[[유서]]||[[내전소식]]||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 |[[충렬왕]]||[[선전소식]]||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 |[[세종]]||[[유서]]||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 |[[학봉 유서]]||[[의성김씨 학봉종택]]||A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1443||[[세종]]이 [[내전소식]]을 [[유서]]로 개편하였다 | ||
+ | |- | ||
+ | |1592||[[선조]]가 [[학봉 유서]]을 [[김성일]]에게 내렸다 | ||
+ | |- | ||
+ | |2008||[[의성김씨 학봉종택]]에서 [[학봉 유서]]를 소장한다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36.614925||128.668291||[[학봉 유서]]는 [[의성김씨 학봉종택]]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사진==== | ||
+ | <gallery> | ||
+ | 파일: 한글팀_학봉_유서_01_표지.jpg| 학봉 유서의 표지 | ||
+ | </gallery> | ||
− | == | + | ==주석== |
+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더 읽을 거리==== | ||
+ | *단행본 | ||
+ |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1989. | ||
+ | *사료 | ||
+ | **「열전 폐행」 123권, 온라인 참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고려사』<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태종실록」 32권, 온라인 참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세종실록」 30권, 온라인 참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세종실록」 32권, 온라인 참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전율통보(典律通補)』 | ||
+ | **『대전회통(大典會通)』 | ||
+ | |||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문헌]] |
2017년 11월 24일 (금) 21:04 기준 최신판
학봉 유서(鶴峯 諭書) | |
대표명칭 | 학봉 유서 |
---|---|
한자표기 | 鶴峯 諭書 |
유형 | 고문서 |
저자 | 조선 선조 |
저술시기 | 1592년 |
간행시기 | 1592년 |
간행처 | 승정원 |
판본 | 필사본 |
소장처 | 의성김씨 학봉종택 |
정의
1592년(선조 25)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을 경상우도 병마절도사로 임명하고 밀부(密符) 제26부와 함께 내린 유서를 말한다.
내용
이 학봉 유서는 1592년(선조 25) 4월 11일에 선조(宣祖)가 김성일에게 경상우도 병마절도사로 임명하는 문서이다. 김성일 유서의 문서 양식은 『전율통보(典律通補)』의 유서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즉, 문서 첫 부분에‘유수경상우도 병마절도사 김성일(諭守慶尙右道兵馬節度使金誠一)’이라고 써서 당해 관원의 직함과 성명을 기입하였고, 본문에 제26부라는 밀부번호를 명기하였다. 문서 말미에는 만력 20년 4월 11일이라는 발급된 연, 월, 일 등을 적었고, 유서지보(諭書之寶)를 날인하였다. 1987년 3월 7일에 보물 제906호로 지정되었다. 김성일 종가 고문서 일괄 17종 242점 가운데에 하나로, 2008년에 학봉 김성일의 14대 종손 김시인이 별세하면서 아들 김종길이 안동에 거주하며 소장, 관리하고 있다. [1]
세종시기 이전 내전소식(內傳消息)이라는 왕명을 쓰고 있었는데, 이는 국왕이 신속하게 처리해야 할 사안이 있을시 승정원(承政院)을 통해 내리는 간단한 왕명이었다.[2] 이같은 서식은 고려의 선전소식(宣傳消息)에서 유래하였다. 선전소식은 충렬왕대에 만든 왕명으로, 당시에 몽골과의 관계로 인해 국정에 긴급하게 처리해야 할 사안이 많았는데, 왕명을 받은 사신이 지방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데 있어 선지(宣旨)를 반포하였을 경우에 의례 절차가 매우 번거로웠다. 그래서 승선이 국왕의 명령을 받들어 작성하고 서명하는 선전소식이라는 간단한 왕명을 만들었다. [3] 이것이 기원이 된 조선의 내전소식은 국왕의 명령 가운데 정식 행정 절차를 거쳐 공문을 보내는 것이 시간적으로 여의치 않거나 사안이 중요하지 않은 잡사(雜事)일 경우에, 비교적 형식에 매이지 않고 어보(御寶)나 담당 관청의 인신이 없이 승지 한 사람의 서명만으로 시행하였던 왕명이었다. 하지만 이같은 문서 서식은 어보나 승정원의 인신이 찍히지 않았기에 위조 가능성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 문제를 세종이 제기하였고 [4] 논의가 진행되어 1443년(세종 25)에 최종적으로 내전소식을 유서로 개편 하였다. [5]
지식 관계망
- 학봉 김성일가의 한글 고문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학봉 유서 | 선조 | A는 B예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학봉 유서 | 김성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학봉 유서 | 전율통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시인 | 김성일 | A는 B의 후손이다 | A ekc:hasncestor B |
김종길 | 김시인 | A는 B의 아들이다 | A ekc:hasFather B |
유서 | 학봉 유서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승정원 | 유서 | A는 B에서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내전소식 | 선전소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유서 | 내전소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충렬왕 | 선전소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세종 | 유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학봉 유서 | 의성김씨 학봉종택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443 | 세종이 내전소식을 유서로 개편하였다 |
1592 | 선조가 학봉 유서을 김성일에게 내렸다 |
2008 | 의성김씨 학봉종택에서 학봉 유서를 소장한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614925 | 128.668291 | 학봉 유서는 의성김씨 학봉종택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사진
주석
- ↑ 최승희, 김성일유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 "이방간의 공신 녹권과 직첩 및 이맹중의 직첩을 회수하다", 「태종실록」 32권, 1416년(태종 16) 12월 2일 기미 1번째 기사,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이습이 응방 오숙부가 안찰사를 참소한 일을 논박하다", 「열전(폐행)」 123권,
『고려사』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승정원에서 사용하는 내전과 첩자에 대해 대신들과 논의하다", 「세종실록」 30권, 1425년(세종 7) 11월 22일 정사 2번째 기사,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내전을 고쳐서 유서라 하고 승정원에서는 관직과 이름을 써서 이에 동봉하여 내리게 하다", 「세종실록」 101권, 1443년(세종 25) 8월 6일 무자 1번째 기사,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1989.
- 사료
- 「열전 폐행」 123권, 온라인 참조:
『고려사』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태종실록」 32권, 온라인 참조: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실록」 30권, 온라인 참조: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세종실록」 32권, 온라인 참조: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전율통보(典律通補)』
- 『대전회통(大典會通)』
- 「열전 폐행」 123권, 온라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