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4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로마자명칭= Gojong Yuneum | |로마자명칭= Gojong Yuneum | ||
|영문명칭= King Gojong's royal message to the officials and ordinary people of Seoul and other provinces | |영문명칭= King Gojong's royal message to the officials and ordinary people of Seoul and other provinces | ||
− | |작자= 고종 | + | |작자= [[조선 고종|고종]] |
|작성시기= 1881년 | |작성시기= 1881년 | ||
|간행시기= | |간행시기= | ||
|간행처= | |간행처= | ||
|기탁처= | |기탁처= | ||
−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2-1867 | |청구기호= 2-1867 | ||
|유형= 고서 | |유형= 고서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 }} | ||
</noinclude> | </noinclude> | ||
+ | =='''정의'''== | ||
+ | [[조선 고종|고종]]이 1881년 대소 관료와 서울과 지방의 백성들에게 내린 [[척사윤음]]이다. | ||
+ | =='''내용'''== | ||
+ |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 ||
+ | 이 윤음에는 한문본과 언해본이 함께 실려 있다. | ||
+ | [[천주교]]에 대한 척사로 발생한 사옥(邪獄)은 1801년 (순조 1) [[신유사옥]]을 기화로 헌종대 [[기해박해|기해사옥]], [[병오사옥]] 그리고 고종 대 [[병인사옥]]이 대표적이다. 그 중 가장 큰 것은 [[병인사옥]]이었다. 1866년(고종 3)에 시작된 [[병인사옥]]은 다른 사옥과는 달리 6년 동안 지속되어 약 8,000명의 [[천주교인]]이 순교하였다.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등 열강의 침입을 경험하면서, [[흥선대원군]]은 서구 열강에 대한 국가적 위기의식과 정치적 반대세력의 비난을 피하기 위하여 [[천주교인]]에 대한 박해를 지속하였다. | ||
+ | 1881년 [[조선 고종|고종]]이 내린 윤음은 사실상 마지막 [[척사윤음]]이었다. 이 [[윤음]]의 내용은 이전의 다른 윤음보다 좀 더 강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전에는 [[천주교]] 교리를 반박하고, 백성들에게 [[천주교]]에 현혹되지 말라고 권고하는 취지로 [[윤음]]을 내렸다. 이번 윤음에서 [[조선 고종|고종]]은 [[조선 정조|정조]] 이후로 [[천주교인]]을 여러 번 징계했으나, 소멸되지 않았다고 전제하였다. 이어 [[천주교인]]이 사회에 미치는 악영향을 설명하고, 유학 사상을 실생활에서 실천함으로써 순박한 풍속을 회복하고 사당(私黨)인 [[천주교인]]들을 소멸시키자고 역설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96쪽.</REF> | ||
− | == | + | ===[[척사윤음]]에 대해서=== |
− | [[고종]] | + | [[조선 고종|고종]]시기 내려진 [[척사윤음]]은 2건이 있었는데, 하나는 1866년에 내려진 것이고<ref>『고종실록』3권, 고종 3년(1866) 8월 3일(기축), [http://sillok.history.go.kr/id/kza_10308003_001 척사 윤음을 내리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하나는 1881년에 내려진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이다.<ref>『고종실록』 18권, 고종 18년(1881), 5월 15일(병자), [http://sillok.history.go.kr/id/kza_11805015_002 척사 윤음을 팔도와 사도에 내려 보내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이전 [[조선 헌종|헌종]] 시기와 마찬가지로 유교적 입장에서 [[천주교]]를 사교(邪敎)로 규정하고 비판하고 있으며, 백성들을 회유하는 내용이다. 1866년에 내려진 [[척사윤음]] 직후 무려 7년동안 [[천주교]] 박해가 일어나 엄청난 수의 [[천주교인]]들이 순교하였는데, 15년이 지나서도 강도 높은 어조로 [[척사윤음]]을 반포하는 것을 보면 조선 조정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천주교인]]들이 소멸하지 않았고 오히려 더 늘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f>인원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139 병인박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0월 30일.</ref> |
− | = | + | {{연계자원정보 |
− | [[ | + | |연계자원1=[[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
− | + | |연계자원2= | |
− | + | |연계자원3= | |
− | + | |연계자원4= | |
− | + | |연계자원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2/A2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40/A040.htm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지식관계망]'''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조선 고종]]||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A dcterms:creator B |
+ | |- | ||
+ | |[[조선 고종]]||[[흥선대원군]]||A는 B의 아들이다||A ekc:hasFather B | ||
|- | |- | ||
− | |고종|| | + | |[[조선 고종]]||[[조선 순조]]||A는 B의 후손이다||A ekc:hasAncestor B |
|- | |- | ||
− | | | + | |[[조선 순조]]||[[조선 정조]]||A는 B의 아들이다||A ekc:hasFather B |
|- | |- | ||
− | |고종|| | + | |[[조선 고종]]||[[신미양요]]||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조선 고종]]||[[병인양요]]||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유교]]||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천주교]]||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 |[[척사윤음]]||[[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
+ | |- | ||
+ | |[[척사윤음]]||[[신유사옥]]||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 |[[척사윤음]]||[[기해박해]]||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 |[[척사윤음]]||[[병오사옥]]||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 |[[척사윤음]]||[[병인사옥]]||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A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59번째 줄: | 84번째 줄: | ||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 !중심||width="33%"|연결정보||width="33%"|대상 |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인물||고종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사건||신유사옥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사건||기해박해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사건||병오사옥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사건||병인사옥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사건||병인양요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사건||신미양요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인물||흥선대원군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인물||정조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개념||유교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개념||천주교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1881년|| | + | |1801년||[[신유사옥]]이 일어났다 |
+ | |- | ||
+ | |1839년||[[기해박해]]가 일어났다 | ||
+ | |- | ||
+ | |1846년||[[병오사옥]]이 일어났다 | ||
+ | |- | ||
+ | |1866년||[[병인사옥]]이 일어났다 | ||
+ | |- | ||
+ | |1866년||[[병인양요]]가 일어났다 | ||
+ | |- | ||
+ | |1871년||[[신미양요]]가 일어났다 | ||
+ | |- | ||
+ | |1881년||[[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이 간행되었다 | ||
|} | |} | ||
<!-- | <!-- | ||
93번째 줄: | 130번째 줄: | ||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간행년||1818년 이후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간행년||고종18년 이후 |
|}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공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37.39197||127.054387|| | + | |37.39197||127.054387||[[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109번째 줄: | 145번째 줄: |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
|- | |- | ||
− | | |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37.39197||127.054387 |
|} | |} | ||
--> | --> | ||
118번째 줄: | 154번째 줄: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 ===갤러리=== | |
− | + | <gallery> | |
− | + | 파일:고종윤음.jpg | 고종윤음 표지 | |
+ | </gallery>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단행본 | *단행본 | ||
− |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년 06월. |
− | |||
*논문 | *논문 | ||
− | * | + | **박종천, 「《척사윤음》 연구」, 『宗敎學硏究』, Vol 18, 서울대학교종교학연구회, 1999, 125-150쪽. |
− | |||
− | |||
− | |||
− | |||
− | [[분류: | + | [[분류:한글고문서]] |
− | [[분류: | + | [[분류:전시자료]] [[분류:문헌]] |
− | |||
− | [[분류: |
2017년 12월 8일 (금) 22:55 기준 최신판
고종윤음 | |
한자명칭 | 高宗綸音 |
---|---|
영문명칭 | King Gojong's royal message to the officials and ordinary people of Seoul and other provinces |
작자 | 고종 |
작성시기 | 1881년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2-1867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30.1×20.6㎝ |
판본 | 목판본 |
수량 | 1冊 |
표기문자 | 한글 |
목차
정의
고종이 1881년 대소 관료와 서울과 지방의 백성들에게 내린 척사윤음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이 윤음에는 한문본과 언해본이 함께 실려 있다. 천주교에 대한 척사로 발생한 사옥(邪獄)은 1801년 (순조 1) 신유사옥을 기화로 헌종대 기해사옥, 병오사옥 그리고 고종 대 병인사옥이 대표적이다. 그 중 가장 큰 것은 병인사옥이었다. 1866년(고종 3)에 시작된 병인사옥은 다른 사옥과는 달리 6년 동안 지속되어 약 8,000명의 천주교인이 순교하였다.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등 열강의 침입을 경험하면서, 흥선대원군은 서구 열강에 대한 국가적 위기의식과 정치적 반대세력의 비난을 피하기 위하여 천주교인에 대한 박해를 지속하였다. 1881년 고종이 내린 윤음은 사실상 마지막 척사윤음이었다. 이 윤음의 내용은 이전의 다른 윤음보다 좀 더 강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전에는 천주교 교리를 반박하고, 백성들에게 천주교에 현혹되지 말라고 권고하는 취지로 윤음을 내렸다. 이번 윤음에서 고종은 정조 이후로 천주교인을 여러 번 징계했으나, 소멸되지 않았다고 전제하였다. 이어 천주교인이 사회에 미치는 악영향을 설명하고, 유학 사상을 실생활에서 실천함으로써 순박한 풍속을 회복하고 사당(私黨)인 천주교인들을 소멸시키자고 역설하였다.[1]
척사윤음에 대해서
고종시기 내려진 척사윤음은 2건이 있었는데, 하나는 1866년에 내려진 것이고[2] 하나는 1881년에 내려진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이다.[3] 이전 헌종 시기와 마찬가지로 유교적 입장에서 천주교를 사교(邪敎)로 규정하고 비판하고 있으며, 백성들을 회유하는 내용이다. 1866년에 내려진 척사윤음 직후 무려 7년동안 천주교 박해가 일어나 엄청난 수의 천주교인들이 순교하였는데, 15년이 지나서도 강도 높은 어조로 척사윤음을 반포하는 것을 보면 조선 조정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천주교인들이 소멸하지 않았고 오히려 더 늘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4]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
지식 관계망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 조선 고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조선 고종 | 흥선대원군 | A는 B의 아들이다 | A ekc:hasFather B |
조선 고종 | 조선 순조 | A는 B의 후손이다 | A ekc:hasAncestor B |
조선 순조 | 조선 정조 | A는 B의 아들이다 | A ekc:hasFather B |
조선 고종 | 신미양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고종 | 병인양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 유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 천주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척사윤음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척사윤음 | 신유사옥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척사윤음 | 기해박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척사윤음 | 병오사옥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척사윤음 | 병인사옥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01년 | 신유사옥이 일어났다 |
1839년 | 기해박해가 일어났다 |
1846년 | 병오사옥이 일어났다 |
1866년 | 병인사옥이 일어났다 |
1866년 | 병인양요가 일어났다 |
1871년 | 신미양요가 일어났다 |
1881년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이 간행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어제 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척사윤음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96쪽.
- ↑ 『고종실록』3권, 고종 3년(1866) 8월 3일(기축), 척사 윤음을 내리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고종실록』 18권, 고종 18년(1881), 5월 15일(병자), 척사 윤음을 팔도와 사도에 내려 보내다,
『조선왕조실록』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인원순, "병인박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10월 30일.
참고문헌
- 단행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년 06월.
- 논문
- 박종천, 「《척사윤음》 연구」, 『宗敎學硏究』, Vol 18, 서울대학교종교학연구회, 1999, 125-15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