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서산 보원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사현 (토론)의 102479판 편집을 되돌림)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사찰사지정보
 
{{사찰사지정보
 
|사진=  
 
|사진=  
 
|대표명칭=서산 보원사지
 
|대표명칭=서산 보원사지
 
|영문= Bowonsa Temple Site, Seosan
 
|영문= Bowonsa Temple Site, Seosan
|한자=瑞山普願寺址
+
|한자=瑞山 普願寺址
 
|이칭=
 
|이칭=
 
|지정번호= 사적 제316호
 
|지정번호= 사적 제316호
17번째 줄: 16번째 줄:
 
|창건자=  
 
|창건자=  
 
|경내문화재=[[서산 보원사지 석조]],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경내문화재=[[서산 보원사지 석조]],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필드수=10
 
 
}}
 
}}
  
 
=='''정의'''==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 있는 백제시대 절터.<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822 서산 보원사지]"<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4월 21일</ref>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에 있는 백제시대 절터.
  
 
=='''내용'''==
 
=='''내용'''==
서산 보원사는 통일신라시대 또는 삼국통일 이전 백제시대 건립된 사찰로 추정된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1460 서산 보원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4월 21일</ref> 문헌상에서 확인되는 보원사에 관한 최초 기록은 [[장흥 보림사|장흥 보림사(長興寶林寺)]]의 보조선사 [[체징|체징(體澄)]]의 탑비에 나타나는데, 827년(흥덕왕 2) 체징이 보원사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고 적혀 있다. 904년(효공왕 8) [[최치원|최치원(崔致遠)]]의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의 주에서는 웅주가야협 보원사를 화엄 10찰(華嚴十刹)에 포함하고 있다. 고려 시대에는 975년(광종 26)에 [[탄문|법인국사 탄문((法印國師 坦文)]]이 입적하였고, 보원사 계단에서 경율 시험을 봤다는 1036년(정종 2) 기록이 전한다. <ref>"[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4100687 서산 보원사지]", 이강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4월 21일</ref>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따르면 조선 초기까지도 폐사되지는 않았던 것 같다. 또 『호산록(湖山錄)』을 참조하면 보원사의 사우는 모두 없어지고 비석, 탑, 철불 1좌만이 남아 있었는데 1920년 조선총독부에서 가져갔다고 한다. <ref> 서산문화원 외, 「서산태안문화유적 - 상」, 1991, 문화재관리국, 「문화유적총람 - 상」, 1977, 온라인참조: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518&index_id=cp05180058&content_id=cp051800580001&search_left_menu= 서산 보원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 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서산 보원사|서산 보원사(瑞山 普願寺)]]는 통일신라시대 또는 삼국통일 이전 백제시대에 건립한 사찰로 추정되며,<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1460 서산 보원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904년([[신라 효공왕|효공왕]] 8) [[최치원|최치원(崔致遠)]]의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의 주에서는 [[서산 보원사|보원사]]를 화엄 10찰(華嚴十刹)에 포함하고 있다.<ref>이강열,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4100687 서산 보원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후 1970년대에 일대의 대대적 목장경영으로 인하여 현재는 마을주민은 다른 곳으로 이주하고 절터만 남아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822 서산 보원사지]"<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4월 21일</ref>
 
  
=='''갤러리'''==
+
보원사지의 면적은 10만 2886㎡이다. 일대의 절터는 모두 경작지가 되었으나 기왓조각 등이 넓게 산재해 있어, 많은 사찰 전각들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1155&cid=40942&categoryId=33380 서산 보원사지]",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절터에는 10세기경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석조(石槽, 보물 제102호)를 비롯하여 당간지주(보물 제103호)·오층석탑(보물 제104호)·[[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법인국사보승탑(法印國師寶乘塔, 보물 제105호)]]·[[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법인국사보승탑비(보물 제106호)]] 등의 유물과 초석이 남아 있다. 특히 1968년 절터에서 백제시대의 금동여래입상(높이 9.5㎝)과 통일신라시대의 금동여래입상(높이 7.5㎝)을 발견했다.<ref>조유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822 서산 보원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시간정보'''==
+
=='''지식 관계망'''==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서산 보원사지 지식관계망'''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9/temple_bowon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tp://dh.aks.ac.kr/Encyves/Graph/D019/monk_beopin.htm 법인국사 탄문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D019/stele_beopin_bowonsa.htm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지식관계망]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827년 || [[체징]]이 보원사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
| [[서산 보원사지]] || [[서산 보원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975년 || [[탄문]]이 입적하였다
+
| [[서산 보원사지 석조]] || [[서산 보원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1036년 || 보원사 계단에서 경율시험을 봤다
+
|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 [[서산 보원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 [[서산 보원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서산 보원사지 석조]] || 서산 보원사지 || A는 B에 있다 ||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 [[서산 보원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 서산 보원사지 || A는 B에 있다 ||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서산 보원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 서산 보원사지 || A는 B에 있다 ||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 [[탄문]]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 서산 보원사지 || A는 B에 있다 ||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탄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서산 보원사지 || A는 B에 있다 ||
+
| [[체징]] || [[서산 보원사지]]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 [[탄문]] || A는 B를 위한 탑이다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탄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827년 || [[체징]]이 [[서산 보원사|보원사]]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
 
|-
|[[체징]] || 서산 보원사지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
|975년 || [[서산 보원사|보원사]]에서 [[탄문]]이 입적하였다
 +
|-
 +
|1036년 || [[서산 보원사|보원사]] 계단에서 경율시험을 봤다
 
|-
 
|-
 
|}
 
|}
  
=='''참고문헌'''==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9/Bowon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19/Bowonsaji.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파일:
 +
</gallery>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
=='''참고문헌'''==
 +
* 이강열,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4100687 서산 보원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518&index_id=cp05180058&content_id=cp051800580001&search_left_menu= 서산 보원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조유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7822 서산 보원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1460 서산 보원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승탑비문 Top icon}}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2월 21일 (목) 14:18 기준 최신판

서산 보원사지
(瑞山 普願寺址)
대표명칭 서산 보원사지
한자 瑞山 普願寺址
주소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05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316호
문화재 지정일 1987년 07월 18일
경내문화재 서산 보원사지 석조,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에 있는 백제시대 절터.

내용

서산 보원사(瑞山 普願寺)는 통일신라시대 또는 삼국통일 이전 백제시대에 건립한 사찰로 추정되며,[1] 904년(효공왕 8) 최치원(崔致遠)의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의 주에서는 보원사를 화엄 10찰(華嚴十刹)에 포함하고 있다.[2]

보원사지의 면적은 10만 2886㎡이다. 일대의 절터는 모두 경작지가 되었으나 기왓조각 등이 넓게 산재해 있어, 많은 사찰 전각들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3] 절터에는 10세기경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석조(石槽, 보물 제102호)를 비롯하여 당간지주(보물 제103호)·오층석탑(보물 제104호)·법인국사보승탑(法印國師寶乘塔, 보물 제105호)·법인국사보승탑비(보물 제106호) 등의 유물과 초석이 남아 있다. 특히 1968년 절터에서 백제시대의 금동여래입상(높이 9.5㎝)과 통일신라시대의 금동여래입상(높이 7.5㎝)을 발견했다.[4]

지식 관계망

  • 서산 보원사지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서산 보원사지 서산 보원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서산 보원사지 석조 서산 보원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서산 보원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서산 보원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서산 보원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서산 보원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탄문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탄문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체징 서산 보원사지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827년 체징보원사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975년 보원사에서 탄문이 입적하였다
1036년 보원사 계단에서 경율시험을 봤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서산 보원사지", 『두산백과』online.
  2. 이강열, "서산 보원사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서산 보원사지",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조유전, "서산 보원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