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각순-산업선전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필드수=7
 
|필드수=7
 
}}
 
}}
=='''개요'''==
+
=='''정의'''==
[[전철]]은 수송목적에 따라 시가지전철, 도시전철, 교외전철, 도시간전철, 간선전철, 산업선전철 등으로 구분되는데, 해당 작품은 산업선전철 중 석탄, 시멘트, 목재 등을 대량 수송하는 [[영동선]] 전철을 담고있다.<ref>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년, 47쪽.</ref>
+
산업선전철<ref>[[전기철도|전철]]은 수송목적에 따라 시가지전철, 도시전철, 교외전철, 도시간전철, 간선전철, 산업선전철 등으로 구분된다.</ref> 중 석탄, 시멘트, 목재 등을 대량 수송하는 [[영동선 전철]]<ref>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 47쪽.</ref>을 담은 [[박각순]]의 민족기록화이다.<br/>
 
 
 
 
1969년 9월 12일에 산업철도인 중앙선(청량리∼제천) 155.2㎞, 태백선(제천∼정선) 107.9㎞, 영동선(철암∼북평) 85.5㎞를 비롯하여 고한선(고한∼황지) 15.0㎞ 등 모두 363.6㎞에 전철화 공사를 시작하였고, 이후 경원선(서울∼성북) 13.5㎞, 경인선(서울∼인천) 38.9㎞, 경부선(서울∼수원) 41.5㎞ 등 93.9㎞에 대하여 계속 공사가 진행되었다.
 
 
 
산업철도의 전철화가 마무리되고 그 성과가 가시화하자 1977년 12월에는 중앙선의 제천∼영주 간 63.9㎞에 대한 전철화의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여 1988년 12월 23일 공사가 마무리되었다. 이로써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의 산업철도 전 구간에 대한 전철화공사가 이루어졌다. 2006년 12월 8일에 경부선 전 구간(441.7㎞)이 전철화됨으로써, 우리나라의 철도 노선에 대한 전철화 사업이 대부분 마무리되었다.
 
국토의 간선망을 형성하는 경부선을 포함하여 호남선, 충북선, 중앙선, 영동선 등에서 전기철도의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이로써 전국 대부분 지역을 전기철도가 자유롭게 운행할 수 있게 되었고, 철도의 열차운용효율 및 수송능력은 크게 개선되었다.
 
1974년에 여객 수송용 전기철도가 서울에서 처음 개통되면서 지하구간을 운행함에 따라, 전기철도가 일반 대중에 의해 지하철이라는 용어로 통용되기 시작하였다. 기존에 지하철이라 불리던 철도 가운데 도시 간을 운행하는 노선에 대해서는 광역철도라 부르고, 특별시와 광역시 내에서 운행하는 노선에 대해서는 도시철도라 부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도시철도가 광역철도를 포함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1974년 8월에 수도권 전철과 서울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었으며, 수도권에서 강원 영동지방으로 연결되는 노선에 대한 전철공사가 완료되었다.
 
 
 
초기에 개통한 전기철도는 강원 태백산지에 매장되어 있는 풍부한 지하자원을 수송하면서 지역개발은 물론 산업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였으며, 지금도 시멘트와 석탄 등의 지하자원을 전국으로 운반하면서 운송 분야에서도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근래 들어 전기철도를 이용한 지하자원의 이동은 다소 감소하였지만, 여객수송량을 확대시키면서 대도시에서의 도로교통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주요 관광지를 연결시킴으로써 레저산업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민들의 여가활동에도 많은 공헌을 하고 있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9312 전기철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ref>
 
 
 
 
 
 
 
https://ko.wikipedia.org/wiki/%EB%8F%99%ED%95%B4%EC%97%AD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작품 소재는 영동산업선전철
+
산업선 전철화 공사는 1969년 9월 12일에 [[중앙선]](청량리∼제천, 155.2㎞)을 시작으로, [[태백선]](제천∼정선, 107.9㎞), [[영동선]](철암∼북평, 85.5㎞) 등 총 320km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502억원을 투입하여 6년 3개월만에 완공되었다.<br/>
 +
이로써 산업선전철은 전국 철도 화물 수송량의 40퍼센트를 감당하게 되었다. 5,300 마력의 전기기관차를 운행하는 전철 구간은 일반 철도의 복선구간과 거의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ref>김봉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120500209207014&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12-05&officeId=00020&pageNo=7&printNo=16670&publishType=00020 영동선, 전철로 완전개통]", 『동아일보』, 1975년 12월 05일.</ref> 전국 대부분 지역을 [[전기철도|전철]]이 자유롭게 물자를 이동할 수 있게 되었으며, 철도의 열차운용효율 및 물류
 +
수송능력은 크게 개선되었다.<ref>김영기, 손승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9312 전기철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작품 배경===
+
작품 소재는 목재와 석탄을 싣고 있는 [[영동선 전철]]로, 1972년 12월 6일 전철화 공사가 시작되어, 3년간 연인원 54만명과 내자 24억원, 외자 8백만달러 등 총 62억원의 공사비가 들었다.<br/>
 +
[[중앙선]]-[[태백선]]-[[영동선]]은 심한 경사도와 곡선 및 1백3개나 되는 터널 등 산악지대로서 악조건 투성이였다. 하지만 화물수송량은 전국철도의 40%를 차지하고, 영동 지방에서 생산되는 무연탄, 시멘트, 광석 등 산업물자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 전철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드디어 1975년 12월 5일 [[영동선]]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면서 [[전기철도|전철]] 운행이 하루 10회 늘어나게 되었고, 수송량도 연간 8백 65만 톤이 늘어난 2천 5 백72만 톤에 달하였다.<ref>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1423968 영동선 전철 개통]", 『중앙일보』, 1975년 12월 05일.</ref><br/>
 +
[[영동선 전철]]은 강원 태백산지에 매장되어 있는 풍부한 지하자원을 수송하면서 지역개발은 물론 산업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였다. 지금도 시멘트와 석탄 등의 지하자원을 전국으로 운반하면서 운송 분야에서도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다.<ref>김영기, 손승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9312 전기철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시각적 안내'''==
+
===그림 읽기===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월 8일부터 1992년 1월 7일까지 [[국회사무처]]에 대여되었습니다.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imagemap>
 
<imagemap>
 
파일:박각순-산업전철선-1975s.jpg| 박각순 「산업전철선」 1975|800px|center
 
파일:박각순-산업전철선-1975s.jpg| 박각순 「산업전철선」 1975|800px|center
poly 343 381 374 417 554 425 574 381 580 346 403 340 380 358 380 358 [[갑문]]
+
poly 9 523 72 486 66 450 69 438 72 419 94 405 91 374 349 276 379 279 544 217 555 230 629 189 650 195 719 160 788 142 792 178 637 249 594 270 420 349 406 346 172 484 129 495 129 495 129 518 69 501 62 494 [[영동선 전철]]
 
</imagemap>
 
</imagemap>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center >
=='''관련 민족기록화'''==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각순-산업선전철_영동선.jpg | 영동선, 태백선 개통<ref>유우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320 영동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gallery mode=packed caption="건설/교통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파일:손응성-호남고속도로-1975s.jpg |[[손응성-호남고속도로]]
 
파일:박각순-남해대교-1973s.jpg |[[박각순-남해대교]]
 
파일:박각순-산업전철선-1975s.jpg |[[박각순-산업전철선]]
 
파일: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1973s.jpg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파일:박득순-지하철-1975s.jpg |[[박득순-지하철]]
 
파일:박광진-아산방조제-1975s.jpg |[[박광진-아산방조제]]
 
파일:박서보-수출선박-1973s.jpg |[[박서보-수출선박]]
 
파일:정창섭-인천항도크-1975s.jpg |[[정창섭-인천항도크]]
 
파일: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파일:김원-해안사방-1975s.jpg |[[김원-해안사방]]
 
파일:박영선-현충사-1973s.jpg |[[박영선-현충사]]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손응성-불국사(복원)]]
 
 
</gallery>
 
</gallery>
<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97/C097.htm "산업선전철(박각순)"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97/C09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박각순]]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 [[박각순-산업선전철]] || [[박각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박각순-산업선전철]] ||[[영동선 전철]]||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박각순-산업선전철]] || [[국회사무처]]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 [[영동선 전철]] || [[영동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영동선 전철]]  ||[[전기철도]]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  [[영동선]] || [[산업선 전철화 정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영동산업선전철]]||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중앙선]] || [[산업선 전철화 정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국회사무처]] || {{PAGENAME}} ||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 [[태백선]] || [[산업선 전철화 정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전기철도]] || [[영동선전철]] ||  A는 B를 포함한다 ||
+
| [[산업선 전철화 정책]]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1975년 || [[박각순]]이 {{PAGENAME}}를 그렸다
+
| 1968년 5월 10일 || [[박정희]]가 [[산업선 전철화 정책]]을 지시하였다
 +
|-
 +
| 1969년 9월 12일 ||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등이 전철화 사업에 착수였다
 +
|-
 +
| 1972년 12월 6일-1975년 12월 5일 || [[영동선]]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었다
 
|-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국회사무처]]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975년 || [[박각순]]이 [[박각순-산업선전철]]을 그렸다
 +
|-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국회사무처]]가 [[박각순-산업선전철]]을 대여하였다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37.532103 || 126.914133 || [[국회사무처]]가 {{PAGENAME}}을 대여하였다
+
|37.532103 || 126.914133 || [[국회사무처]]가 [[박각순-산업선전철]]을 대여하였다
|-
 
|37.463812|| 126.625059 || [[인천항도크]]가 [[인천항]]에 위치한다  @
 
 
|-
 
|-
 
|}
 
|}
  
=='''그래프'''==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건설/교통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파일:손응성-호남고속도로-1975s.jpg |[[손응성-호남고속도로]]
 +
파일:박각순-남해대교-1973s.jpg |[[박각순-남해대교]]
 +
파일:박각순-산업전철선-1975s.jpg |[[박각순-산업전철선]]
 +
파일: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1973s.jpg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
파일:박득순-지하철-1975s.jpg |[[박득순-지하철]]
 +
파일:박광진-아산방조제-1975s.jpg |[[박광진-아산방조제]]
 +
파일:박서보-수출선박-1973s.jpg |[[박서보-수출선박]]
 +
파일:정창섭-인천항도크-1975s.jpg |[[정창섭-인천항도크]]
 +
파일: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파일:김원-해안사방-1975s.jpg |[[김원-해안사방]]
 +
파일:박영선-현충사-1973s.jpg |[[박영선-현충사]]
 +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손응성-불국사]]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각순-산업선전철_영동선.jpg | 영동선, 태백선 개통<ref>유우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320 영동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gallery>
  
=='''참고문헌'''==
+
===영상===
 +
*'''KTV 대한뉴스 - 제 1060호-산업선 전철 영동선 개통(게시일: 2016년 12월 8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CYDZL_cuzBY"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현대]][[분류:건설/교통]]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단행본
 +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
 +
# 웹 자원
 +
#* 김봉선,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120500209207014&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12-05&officeId=00020&pageNo=7&printNo=16670&publishType=00020 영동선, 전철로 완전개통]", 『동아일보』, 1975년 12월 05일.
 +
#* 김영기, 손승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9312 전기철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1423968 영동선 전철 개통]", 『중앙일보』, 1975년 12월 05일.
 +
 
 +
===유용한 정보===
 +
# 김경추, 정암,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0302559 영동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55 기준 최신판


지하철
박각순-산업전철선-1975s.jpg
작가 박각순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건설/교통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산업선전철[1] 중 석탄, 시멘트, 목재 등을 대량 수송하는 영동선 전철[2]을 담은 박각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산업선 전철화 공사는 1969년 9월 12일에 중앙선(청량리∼제천, 155.2㎞)을 시작으로, 태백선(제천∼정선, 107.9㎞), 영동선(철암∼북평, 85.5㎞) 등 총 320km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502억원을 투입하여 6년 3개월만에 완공되었다.
이로써 산업선전철은 전국 철도 화물 수송량의 40퍼센트를 감당하게 되었다. 5,300 마력의 전기기관차를 운행하는 전철 구간은 일반 철도의 복선구간과 거의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3] 전국 대부분 지역을 전철이 자유롭게 물자를 이동할 수 있게 되었으며, 철도의 열차운용효율 및 물류 수송능력은 크게 개선되었다.[4]

작품 소재는 목재와 석탄을 싣고 있는 영동선 전철로, 1972년 12월 6일 전철화 공사가 시작되어, 3년간 연인원 54만명과 내자 24억원, 외자 8백만달러 등 총 62억원의 공사비가 들었다.
중앙선-태백선-영동선은 심한 경사도와 곡선 및 1백3개나 되는 터널 등 산악지대로서 악조건 투성이였다. 하지만 화물수송량은 전국철도의 40%를 차지하고, 영동 지방에서 생산되는 무연탄, 시멘트, 광석 등 산업물자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 전철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드디어 1975년 12월 5일 영동선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면서 전철 운행이 하루 10회 늘어나게 되었고, 수송량도 연간 8백 65만 톤이 늘어난 2천 5 백72만 톤에 달하였다.[5]
영동선 전철은 강원 태백산지에 매장되어 있는 풍부한 지하자원을 수송하면서 지역개발은 물론 산업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였다. 지금도 시멘트와 석탄 등의 지하자원을 전국으로 운반하면서 운송 분야에서도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다.[6]

그림 읽기

영동선 전철박각순 「산업전철선」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각순-산업선전철 박각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각순-산업선전철 영동선 전철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각순-산업선전철 국회사무처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영동선 전철 영동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영동선 전철 전기철도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영동선 산업선 전철화 정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중앙선 산업선 전철화 정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태백선 산업선 전철화 정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산업선 전철화 정책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68년 5월 10일 박정희산업선 전철화 정책을 지시하였다
1969년 9월 12일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등이 전철화 사업에 착수였다
1972년 12월 6일-1975년 12월 5일 영동선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었다
1975년 박각순박각순-산업선전철을 그렸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국회사무처박각순-산업선전철을 대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2103 126.914133 국회사무처박각순-산업선전철을 대여하였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KTV 대한뉴스 - 제 1060호-산업선 전철 영동선 개통(게시일: 2016년 12월 8일)

주석

  1. 전철은 수송목적에 따라 시가지전철, 도시전철, 교외전철, 도시간전철, 간선전철, 산업선전철 등으로 구분된다.
  2.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 47쪽.
  3. 김봉선, "영동선, 전철로 완전개통", 『동아일보』, 1975년 12월 05일.
  4. 김영기, 손승호, "전기철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중앙일보, "영동선 전철 개통", 『중앙일보』, 1975년 12월 05일.
  6. 김영기, 손승호, "전기철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유우익, "영동선",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유우익, "영동선",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
  2. 웹 자원

유용한 정보

  1. 김경추, 정암, "영동선",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