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와 한글고문헌 함께 읽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네트워크그래프)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민족기록화&한글고문헌전시자료의 연계=== | ===민족기록화&한글고문헌전시자료의 연계=== | ||
*'민족기록화'와 '한글고문헌전시자료'를 연계하여 이야기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매개체(individual)를 찾는 데 주력하였음. | *'민족기록화'와 '한글고문헌전시자료'를 연계하여 이야기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매개체(individual)를 찾는 데 주력하였음. | ||
− | *개별 작품 또는 개별 전시자료가 내포하고 있는 세부 정보들을 정리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작품과 작품 전시자료와 전시자료 | + | *개별 작품 또는 개별 전시자료가 내포하고 있는 세부 정보들을 정리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작품과 작품, 전시자료와 전시자료, 작품과 전시자료 간의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줄 수 있는 정보를 발견하여 정리한다면, 이 또한 본 프로젝트를 통해 만들어낼 수 있는 이야기 자원의 질적 차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 근거하였음. |
===거시적 관점의 네트워크 그래프 작성=== | ===거시적 관점의 네트워크 그래프 작성===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보편:'''사건''' | **보편:'''사건''' | ||
**보편:'''공간''' | **보편:'''공간''' | ||
+ | **보편:'''기록''' | ||
**보편:'''개념''' | **보편:'''개념''' | ||
24번째 줄: | 25번째 줄: | ||
**A '''isRelatedTo''' B: | **A '''isRelatedTo''' B: | ||
**A '''isMentionedIn''' B: | **A '''isMentionedIn''' B: | ||
+ | **A '''isIncludedIn''' B: | ||
**A '''hasDisciple''' B: | **A '''hasDisciple''' B: | ||
**A '''hasSon''' B: | **A '''hasSon''' B: | ||
31번째 줄: | 33번째 줄: | ||
**A '''hasRelationshipWith''' B: | **A '''hasRelationshipWith''' B: | ||
**A '''hasConfrontationWith''' B: | **A '''hasConfrontationWith''' B: | ||
+ | |||
+ | ===출처 및 참고문헌 작성=== | ||
+ | ====참고문헌 유형==== | ||
+ | =====온라인 문헌===== | ||
+ | *개인공간 저작물 : 개인 홈페이지 또는 포털 블로그 자료 | ||
+ | *공동공간 저작물 : 포털 카페 또는 커뮤니티 자료 | ||
+ | *보도방송 저작물 : 방송국 또는 신문사 또는 보도용자료제작사 자료 | ||
+ | *전문기관 저작물 : 특정기관에 의해 작성되어 특정분야의 전문성이 확보된 자료(예: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 *공공이용 저작물 : 공공적 성격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공유 목적의 자료(예:위키피디어) | ||
+ | =====오프라인 문헌===== | ||
+ | *단행본 | ||
+ | *학위논문 | ||
+ | *학술논문 | ||
+ | *보도자료 : 신문기사, 칼럼 | ||
+ | |||
+ | ====출처표기방식==== | ||
+ | =====기사내용 전반의 경우===== | ||
+ | *'참고문헌' 부분에 "본 기사는 해당 문헌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차용하여 작성되었음"을 밝혀줌 | ||
+ | =====일부내용 한정의 경우===== | ||
+ | ======직접인용의 경우====== | ||
+ | *일반적인 각주 표기 방식을 차용하여 출처와 관련된 참고문헌에 대해 바로 언급 | ||
+ | ======수정편집의 경우====== | ||
+ | * | ||
==운보 김기창과 한국의 역사인물== | ==운보 김기창과 한국의 역사인물== | ||
===주제선정맥락=== | ===주제선정맥락=== | ||
*운보 김기창 화가는 본 프로젝트의 연구대상 가운데 '민족기록화:명량대첩'을 그린 작가이다. 자료를 조사하다보니, 운보 김기창 화가가 그려낸 역사적 인물 가운데 국가 표준 영정으로 선정된 그림이 6점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 가운데 세종대왕 표준영정은 '한글고문헌 전시자료' 1번인 상황이며, 나머지 5인인 '을지문덕'(민족기록화:살수대첩), '태종무열왕'(민족기록화:태종무열왕), '조헌'(민족기록화:조헌과 금산전투), '김정호'(민족기록화:김정호와 대동여지도), '문무대왕'(민족기록화:불국사_복원, 김대성과_석굴암) 모두 민족기록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운보 김기창을 중심으로 하여 한글고문서 및 민족기록화를 연결하여 바라볼 수 있는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을 시도한다면 재미있는 이야기 자원이 갖추어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였다. | *운보 김기창 화가는 본 프로젝트의 연구대상 가운데 '민족기록화:명량대첩'을 그린 작가이다. 자료를 조사하다보니, 운보 김기창 화가가 그려낸 역사적 인물 가운데 국가 표준 영정으로 선정된 그림이 6점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 가운데 세종대왕 표준영정은 '한글고문헌 전시자료' 1번인 상황이며, 나머지 5인인 '을지문덕'(민족기록화:살수대첩), '태종무열왕'(민족기록화:태종무열왕), '조헌'(민족기록화:조헌과 금산전투), '김정호'(민족기록화:김정호와 대동여지도), '문무대왕'(민족기록화:불국사_복원, 김대성과_석굴암) 모두 민족기록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운보 김기창을 중심으로 하여 한글고문서 및 민족기록화를 연결하여 바라볼 수 있는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을 시도한다면 재미있는 이야기 자원이 갖추어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였다. | ||
+ | |||
+ | ===작성기사노드=== | ||
+ | *[[김기창|'''민족기록화_작가''':김기창]] | ||
+ | *[[세종대왕 표준영정|'''한글고문헌_전시자료''':세종대왕 표준영정]] | ||
+ | *[[표준영정|'''개념''':표준영정]] | ||
===네트워크그래프=== | ===네트워크그래프=== | ||
+ |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류인태/운보_김기창과_한국의_역사인물.htm 네트워크 그래프 외부링크] | ||
<html> | <html>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류인태/운보_김기창과_한국의_역사인물.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류인태/운보_김기창과_한국의_역사인물.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html> | ||
− | |||
− | |||
− | |||
− | |||
− | |||
==이이와 조헌 그리고 임진왜란== | ==이이와 조헌 그리고 임진왜란== | ||
50번째 줄: | 77번째 줄: | ||
*조선중기 대학자였던 율곡 이이 그리고 그의 주변인물들이 본 프로젝트의 기초자원인 '한글고문헌자료' 및 '민족기록화'와 맺고 있는 관련성은 매우 크다. 이에 따라 율곡 이이를 중심으로 '한글고문헌자료' 그리고 '민족기록화'를 연결하여 바라볼 수 있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작성해보았다. | *조선중기 대학자였던 율곡 이이 그리고 그의 주변인물들이 본 프로젝트의 기초자원인 '한글고문헌자료' 및 '민족기록화'와 맺고 있는 관련성은 매우 크다. 이에 따라 율곡 이이를 중심으로 '한글고문헌자료' 그리고 '민족기록화'를 연결하여 바라볼 수 있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작성해보았다. | ||
− | |||
===작성기사노드=== | ===작성기사노드=== | ||
− | *[[ | + | *[[영규|'''인물''':영규대사]] |
*[[지부복궐상소|'''개념''':지부복궐상소]] | *[[지부복궐상소|'''개념''':지부복궐상소]] | ||
*[[이지당|'''공간''':이지당]] | *[[이지당|'''공간''':이지당]] | ||
− | *[[금산전투|'''사건''':금산전투]] | + | *[[금산전투|'''사건''':금산전투(미완성)]] |
+ | |||
+ | ===네트워크그래프=== | ||
+ |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류인태/이이와_조헌_그리고_임진왜란.htm 네트워크 그래프 외부링크]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류인태/이이와_조헌_그리고_임진왜란.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이황과 제자들 그리고 한글고문헌== | ==이황과 제자들 그리고 한글고문헌== | ||
===주제선정맥락=== | ===주제선정맥락=== | ||
− | *퇴계 이황이 본 프로젝트의 '한글고문헌전시자료'와 맺고 있는 관련성은 매우 밀접하다. 특히 그의 대표적 제자들인 '유성룡', '김성일'을 중심으로 이어지는 학통과 관련하여 살펴볼 수 있는 '한글고문헌전시자료'들이 매우 많다. 퇴계의 학통을 계승하는 인물들이 | + | *퇴계 이황이 본 프로젝트의 '한글고문헌전시자료'와 맺고 있는 관련성은 매우 밀접하다. 특히 그의 대표적 제자들인 '유성룡', '김성일'을 중심으로 이어지는 학통과 관련하여 살펴볼 수 있는 '한글고문헌전시자료'들이 매우 많다. 퇴계의 학통을 계승하는 인물들이 누구인지 인지하고, 이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한글고문헌전시자료'의 내용을 함께 살펴본다면 보다 풍부한 조선시대 문화사 이해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
− | |||
===작성기사노드=== | ===작성기사노드=== | ||
− | *[[안동 권씨|'''단체''':안동 권씨]] | + | *[[안동 권씨|'''단체''':안동 권씨(미완성)]] |
*[[장계향|'''인물''':장계향]] | *[[장계향|'''인물''':장계향]] | ||
*[[음식디미방|'''한글고문헌_전시자료''':음식디미방]] | *[[음식디미방|'''한글고문헌_전시자료''':음식디미방]] | ||
+ | |||
+ | ===네트워크그래프=== | ||
+ |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류인태/이황과_제자들_그리고_한글고문헌.htm 네트워크 그래프 외부링크]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류인태/이황과_제자들_그리고_한글고문헌.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분류:프로젝트관리]] |
2017년 7월 6일 (목) 17:09 기준 최신판
과제 작성 방향
민족기록화&한글고문헌전시자료의 연계
- '민족기록화'와 '한글고문헌전시자료'를 연계하여 이야기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매개체(individual)를 찾는 데 주력하였음.
- 개별 작품 또는 개별 전시자료가 내포하고 있는 세부 정보들을 정리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작품과 작품, 전시자료와 전시자료, 작품과 전시자료 간의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줄 수 있는 정보를 발견하여 정리한다면, 이 또한 본 프로젝트를 통해 만들어낼 수 있는 이야기 자원의 질적 차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 근거하였음.
거시적 관점의 네트워크 그래프 작성
- 네트워크 그래프 작성에 있어서 새롭게 노드를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정보들을 만들어나가는 데 주력하기보다는, 기존에 기초 자원으로 정리된 요소들 사이의 관계성을 이어나가는 데 초점을 두었음.
- 노드와 노드 간의 억지 연결을 지양하기 위해 관계어 기술을 여러 형태로 남발하지 않았으며, 관계어의 경우 최종적으로 영문 형태로 전환하여 정의하였음.
온톨로지
- Class 설계
- 특수:한글고문헌_전시자료
- 특수:민족기록화_작품
- 특수:민족기록화_작가
- 보편:인물
- 보편:단체
- 보편:사건
- 보편:공간
- 보편:기록
- 보편:개념
- Relation 설계
- A isCreatedBy B:
- A isBasedOn B:
- A isRelatedTo B:
- A isMentionedIn B:
- A isIncludedIn B:
- A hasDisciple B:
- A hasSon B:
- A hasWife B:
- A hasDaughter B:
- A hasDescendant B:
- A hasRelationshipWith B:
- A hasConfrontationWith B:
출처 및 참고문헌 작성
참고문헌 유형
온라인 문헌
- 개인공간 저작물 : 개인 홈페이지 또는 포털 블로그 자료
- 공동공간 저작물 : 포털 카페 또는 커뮤니티 자료
- 보도방송 저작물 : 방송국 또는 신문사 또는 보도용자료제작사 자료
- 전문기관 저작물 : 특정기관에 의해 작성되어 특정분야의 전문성이 확보된 자료(예: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공공이용 저작물 : 공공적 성격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공유 목적의 자료(예:위키피디어)
오프라인 문헌
- 단행본
- 학위논문
- 학술논문
- 보도자료 : 신문기사, 칼럼
출처표기방식
기사내용 전반의 경우
- '참고문헌' 부분에 "본 기사는 해당 문헌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차용하여 작성되었음"을 밝혀줌
일부내용 한정의 경우
직접인용의 경우
- 일반적인 각주 표기 방식을 차용하여 출처와 관련된 참고문헌에 대해 바로 언급
수정편집의 경우
운보 김기창과 한국의 역사인물
주제선정맥락
- 운보 김기창 화가는 본 프로젝트의 연구대상 가운데 '민족기록화:명량대첩'을 그린 작가이다. 자료를 조사하다보니, 운보 김기창 화가가 그려낸 역사적 인물 가운데 국가 표준 영정으로 선정된 그림이 6점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 가운데 세종대왕 표준영정은 '한글고문헌 전시자료' 1번인 상황이며, 나머지 5인인 '을지문덕'(민족기록화:살수대첩), '태종무열왕'(민족기록화:태종무열왕), '조헌'(민족기록화:조헌과 금산전투), '김정호'(민족기록화:김정호와 대동여지도), '문무대왕'(민족기록화:불국사_복원, 김대성과_석굴암) 모두 민족기록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운보 김기창을 중심으로 하여 한글고문서 및 민족기록화를 연결하여 바라볼 수 있는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을 시도한다면 재미있는 이야기 자원이 갖추어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였다.
작성기사노드
네트워크그래프
이이와 조헌 그리고 임진왜란
주제선정맥락
- 조선중기 대학자였던 율곡 이이 그리고 그의 주변인물들이 본 프로젝트의 기초자원인 '한글고문헌자료' 및 '민족기록화'와 맺고 있는 관련성은 매우 크다. 이에 따라 율곡 이이를 중심으로 '한글고문헌자료' 그리고 '민족기록화'를 연결하여 바라볼 수 있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작성해보았다.
작성기사노드
네트워크그래프
이황과 제자들 그리고 한글고문헌
주제선정맥락
- 퇴계 이황이 본 프로젝트의 '한글고문헌전시자료'와 맺고 있는 관련성은 매우 밀접하다. 특히 그의 대표적 제자들인 '유성룡', '김성일'을 중심으로 이어지는 학통과 관련하여 살펴볼 수 있는 '한글고문헌전시자료'들이 매우 많다. 퇴계의 학통을 계승하는 인물들이 누구인지 인지하고, 이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한글고문헌전시자료'의 내용을 함께 살펴본다면 보다 풍부한 조선시대 문화사 이해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