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황제의 군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복식 → 복장===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항목A!!항목B!!관계 |- | 전립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복식 → 복장===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복장정보
!항목A!!항목B!!관계
+
|사진= 궁중기록화 복장 황제의 군복 김아람.png
 +
|사진출처=
 +
|대표명칭= 황제의 군복
 +
|한자표기= 皇帝의 軍服
 +
|이칭별칭= 대원수복(大元帥服)
 +
|분류= 군복
 +
|착용신분= [[황제]]
 +
|착용성별= 남성
 +
}}
 +
 
 +
=='''정의'''==
 +
대한제국의 [[황제]]가 군사(軍事)가 있을 때, 또는 능(陵)에 행차하는 등 궁궐 밖으로 나갈 때 입는 복식 일습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ref>
 +
 
 +
=='''내용'''==
 +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군복은 서양식 복식으로 바뀌고 [[황제]]는 '대원수복(大元帥服)'을 착용하였다. 1904년 원수부 관제가 폐지되고 대원수라는 직급이 사라지면서 육군복장규칙에 맞춰 육군대장 복장으로 바뀌었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74~275쪽.</ref>
 +
 
 +
==복식구성==
 +
투구 형태의 [[모자(군복)]], [[상의(군복)]], [[바지(군복)]], [[견장(군복)]], [[견식줄(군복)]], [[허리띠(군복)]], [[신(군복)]], [[장갑(군복)]], [[칼(군복)]] 등.
 +
 
 +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B093/B09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전립]]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 || 황제의 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동다리]]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군복 || [[모자(군복)]]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쾌자]]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군복 || [[상의(군복)]]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군복 || [[바지(군복)]]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군복 || [[견장(군복)]]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군복 || [[견식줄(군복)]]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황제의 군복 || [[허리띠(군복)]]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황제의 군복 || [[신(군복)]]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황제의 군복 || [[장갑(군복)]]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황제의 군복 || [[칼(군복)]]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시간정보===
 +
 +
===공간정보===
 +
 +
=='''시각자료'''==
 +
===갤러리===
 +
 +
===영상===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일러스트 참고문헌===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장]]
 
[[분류:복장]]

2017년 11월 12일 (일) 23:48 기준 최신판


황제의 군복
(皇帝의 軍服)
궁중기록화 복장 황제의 군복 김아람.png
대표명칭 황제의 군복
한자표기 皇帝의 軍服
이칭별칭 대원수복(大元帥服)
분류 군복
착용신분 황제
착용성별 남성



정의

대한제국의 황제가 군사(軍事)가 있을 때, 또는 능(陵)에 행차하는 등 궁궐 밖으로 나갈 때 입는 복식 일습이다.[1]

내용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군복은 서양식 복식으로 바뀌고 황제는 '대원수복(大元帥服)'을 착용하였다. 1904년 원수부 관제가 폐지되고 대원수라는 직급이 사라지면서 육군복장규칙에 맞춰 육군대장 복장으로 바뀌었다.[2]

복식구성

투구 형태의 모자(군복), 상의(군복), 바지(군복), 견장(군복), 견식줄(군복), 허리띠(군복), 신(군복), 장갑(군복), 칼(군복) 등.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황제의 군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제의 군복 모자(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상의(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바지(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견장(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견식줄(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허리띠(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신(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장갑(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군복 칼(군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0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74~275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일러스트 참고문헌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