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한글고문헌 샘플
| + | #넘겨주기 [[어제자성편언해]] |
− | |이미지= 어제자성편언해.jpg
| |
− | |대표명칭= 어제자성편 언해
| |
− | |한자명칭= 御製自省編 諺解
| |
− | |로마자명칭= Eoje jaseongpyeon eonhae
| |
− | |영문명칭= King Yeongjo's compliation of selected passages from the classics and his own advice to the crown prince
| |
− | |작자= 영조
| |
− | |작성시기=
| |
− | |간행시기= 1746년
| |
− | |간행처=
| |
− | |기탁처=
| |
− |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 | |청구기호= 4-4106
| |
− | |유형= 고서
| |
− | |크기(세로×가로)= 37.6×24.2㎝
| |
− | |판본= 필사본
| |
− | |수량= 2冊
| |
− | |표기문자= 한글, 한자
| |
− | |필드수= 14
| |
− | }}
| |
− | </noinclude>
| |
− | ==정의==
| |
− | [[영조]]가 왕세자를 감계하기 위해 저술한 책으로, 영조 자신이 임금으로 재위하는 동안 실행에 옮기지 못한 신념과 사업이 세자에 의해 계승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다. 역대 제왕의 사적 중 모범이 될 만한 내용을 간추려 편찬한 『[[자성편 |자성편(自省編)]]』을 언해한 책이다.
| |
− | | |
− | ==내용==
| |
− | [[영조]]가 자신을 성찰하고 왕세자에게 교훈을 주기 위해 역대 제왕의 사적 중 모범이 될 만한 내용을 간추려 편찬한 『[[자성편|자성편(自省編)]]』을 언해한 책이다. 한문본은 1746년 문정전(文政殿)에서 2권 2책으로 편집하여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본래 한문본과 함께 간행하려 했던 초본(草本)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서체가 정연하고 흘림이 없으며, 편집이 잘 되어 있고 표지 장정이 호화롭다. 언해본의 언해자 및 필사자, 시기 등은 알 수 없다.
| |
− | 책의 체재는 「수서(首序)」, 「내편(內篇)」, 「외편(外篇)」, 「소지(小識)」, 「고교제신함명(古敎諸臣啣名)」 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서」 와 「후발」에는 1746년 2월 17일에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내편」은 심신(心身)을 위주로 한 내용이고, 「외편」은 감계(監戒)를 위주로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 |
− | 영조는 「수서」에서 이 책이 평소 일을 처리하는 과정에 지난 일을 생각하며 감흥이 있는 것[追慕而興感], 생각하여 하나라도 얻은 것[思慮而一得], 잘못했다가 문득 깨달은 것[過差而旋悟], 역사 기록을 보다가 반성한 것[看史而反己]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음을 밝혔다.
| |
− | 또한 세자에게 보여 감계하려는 의도에서 저술했음을 밝히며, 영조 자신이 실행에 옮기지 못한 신념과 사업이 세자에 의해 계승되기를 기대하였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70-71쪽.</REF>
| |
− | | |
− | ==부연설명==
| |
− | 영조실록에 따르면 영조가 『[[자성편]]』을 쓸때 [[정재륜]](鄭載崙,1648~1723)의 『[[공사견문록|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을 참고했음을 알 수 있다. 정재륜은 [[효종]]의 다섯째 부마로 [[숙정공주]]의 남편이고, 『공사견문록』은 [[효종]]부터 [[경종]]까지 궁중의 아름다운 말과 행실을 기록한 책이다.
| |
− | | |
− | 「수서」는 영조가 직접 짓고 [[이철보]](李喆輔,1691~1775)가 글씨를 썼다. 특히 말미에 '(*옛한글)내 깊히 원량(元良)의 바라미 잇도라(*옛한글)'이라 한 것은 이글이 [[장조|장헌세자(사도세자)]] 에게 보여 감계를 주기 위한 것임을 알려준다.('원량'은 사도세자를 의미한다.) 1759년 영조는 『자성편』의 실천 여부를 반성하고 후손들에게 감계하기 위해 『[[속자성편]]』을 저술한다. <ref>박용만, 「英祖 御製冊의 자료적 성격」, 『장서각』제11집, 한국학중앙연구원 , 2004, 11~14쪽</ref> 『속자성편』도 『자성편』과 같이 간행된 이후 『[[속자성편언해]]』라는 한글필사본이 제작되었다.
| |
− | | |
− | 『어제자성편언해』는 18세기 왕실에서 쓰인 국어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음운변화의 양상이 매우 느리게 진행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런 특징은 왕실자료가 지닌 관습적이고 규범적인 표기의 보수성을 반영하는 한편, 왕실/상류층 사람들의 사회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를 보여준다.<ref>김주필, 「영조 어제류 한글 필사본의 표기와 음운현상」, 『장서각』제11집,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57쪽</ref>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어제자성편언해』는 한글 필사본이다. 언해를 후에 따로 필사한 것인다. 이는 원량(장헌세자/사도세자)를 위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왕실에서 이루어진 언해 작업은 대부분 여성을 위한 것이므로 이 책 역시 왕실 여성을 위하여 필사했다고 추정해볼 수 있다. <ref>이광호·박부자·정재영·김주필·김목한·이근용·백두현·이래호·배영환·신성철·황문환·정승혜·이현주·정은균,『장서각 소장 한글필사자료 연구』, 태학사, 2007, 42쪽</ref>
| |
− | | |
− | ==시각자료==
| |
− | <gallery>
| |
− | 파일:어제자성편언해_01.jpg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시 [http://jsg.aks.ac.kr/home/exhibit/special.do?idx=64] 한글전시도록
| |
− | 파일:어제자성편언해_02.jpg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시 [http://jsg.aks.ac.kr/home/exhibit/special.do?idx=64] 한글전시도록
| |
− | 파일:어제자성편언해_03.jpg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시 [http://jsg.aks.ac.kr/home/exhibit/special.do?idx=64] 한글전시도록
| |
− | 파일:어제자성편언해_04.jpg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시 [http://jsg.aks.ac.kr/home/exhibit/special.do?idx=64] 한글전시도록
| |
− | </gallery>
| |
− | | |
− | ==관련 항목==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영조]] || [[자성편]]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746년
| |
− | |-
| |
− | | [[이철보]] || [[자성편]]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746년
| |
− | |-
| |
− | | [[영조]] || [[속자성편]]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759년
| |
− | |-
| |
− | | [[속자성편]] || [[자성편]] || A는 B의 모델이다 ||
| |
− | |-
| |
− | | [[속자성편언해]] || [[속자성편]] || A는 B의 모델이다 ||
| |
− | |-
| |
− | | [[자성편]] || {{PAGENAME}} || A는 B의 모델이다 ||
| |
− | |-
| |
− | | [[장조|원량(사도세자)]] || {{PAGENAME}} || A는 B에 언급된다 ||
| |
− | |-
| |
− | | [[영조]] || [[장조|원량(사도세자)]] || A는 B의 어버이이다 ||
| |
− | |-
| |
− | | [[공사견문록]] || [[자성편]] || A는 B의 모델이다 ||
| |
− | |-
| |
− | | [[정재륜]] || [[공사견문록]]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1746년 || [[영조]]가 '''{{PAGENAME}}'''의 모델이 된 [[자성편]]을 저술하였다
| |
− | |-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7.392230 || 127.054384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PAGENAME}}가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 <!--
| |
− | <googlemap height="250" lat="37.392230" lon="127.054384"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37.392230, 127.05438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 | </googlemap>
| |
− | -->
| |
− | | |
− | ==참고문헌==
| |
− | *단행본
| |
− | *# 조항범·김주필·황문환·박용만, 『(역주) 어제자성편:언해』, 역락, 2006.
| |
− | *#김목한·김성규·남윤진·박부자·박진호·이래호·이현주·정승혜·정윤자·정재영·황문환·황선엽·홍은진, 『장서각한글자료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 |
− | *논문
| |
− | *#김문식, 「영조의 제왕학과 《御製自省編》」,『장서각』제27집,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 |
− | *#조항범, 「영조 어제류 한글 필사본의 어휘론적 고찰」,『장서각』제11집,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 |
− | *온라인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101 어제자성편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 | |
− | [[분류:한글고문헌]]
| |
− | [[분류:장원석]]
| |
− | [[분류:이혜영]]
| |
− | [[분류:인문정보편찬연구]]
| |
− | [[분류:스토리텔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