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로자나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갤러리)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
{{개념정보
{{개념정보상세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비로자나불  
+
|대표명칭=비로자나불
|영문명칭=
+
|한자표기=毘盧遮那佛
|한자=毘盧遮那佛  
+
|영문명칭=Vairocana Buddha
|산스크리트어=Vairocana
+
|이칭=
|팔리어=
+
|유형=
|한역어=
+
|관련개념=
|음사=
 
|동의어=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반의어=
 
|관련어=
 
|필드수=3
 
 
}}
 
}}
 
=='''정의'''==
 
=='''정의'''==
모든 부처님의 진신(眞身:육신이 아닌 진리의 모습)인 법신불(法身佛).<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122 비로자나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09일 확인.</ref>
+
모든 부처님의 진신(眞身:육신이 아닌 진리의 모습)인 법신불(法身佛).<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122 비로자나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11월 26일.</ref>
  
 
=='''내용'''==
 
=='''내용'''==
비로자나불은 태양의 빛처럼 불교의 진리가 우주 가득히 비추이는 것을 형상화한 것이다. 이 부처는 다른 부처와는 달리 설법하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불교의 진리, 곧 불법(佛法) 그 자체를 상징하는 법신불(法身佛)이므로 불상으로서 형상화될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에 속한다.<ref>강우방, 곽동석, 민병찬, 『한국 美의 재발견 - 불교 조각 II』, 솔출판사, 2005, 106쪽.</ref>
+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은 태양의 빛처럼 불교의 진리가 우주 가득히 비추는 것을 형상화한 것이다. 다른 부처와는 달리 설법하지 않는 점이 이 부처의 특징이다. 불교의 진리, 곧 불법(佛法) 그 자체를 상징하는 법신불(法身佛)이므로 불상으로 형상화할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이다.<ref>강우방, 곽동석, 민병찬, 『한국 美의 재발견 - 불교 조각 II』, 솔출판사, 2005, 106쪽.</ref>
  
형상은 보통 [[지권인|지권인(智拳印)]]의 [[수인]]을 취하며 협시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배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노사나불]]과 [[석가모니불|석가불]]이 좌우에서 모시고 있는 [[삼신불|삼신불(三身佛)]]의 예도 있다.<ref>강민기, 강현숙, 윤희상, 이선재, 이숙희, 장경희, 『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2014, 162쪽.</ref>
+
형상은 보통 [[지권인|지권인(智拳印)]]의 [[수인]]을 취하며 협시로 [[문수보살|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보현보살(普賢菩薩)]]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지만 [[노사나불|노사나불(盧舍那佛)]]과 [[석가모니불|석가불(釋迦佛)]]이 좌우에서 모시고 있는 [[삼신불|삼신불(三身佛)]]의 예도 있다.<ref>강민기, 강현숙, 윤희상, 이선재, 이숙희, 장경희, 『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2014, 162쪽.</ref>
  
한국에서는 통일신라 이후 특히 9세기 중엽경 유행했으며, 현존 최고(最古)의 비로자나불상은 ‘영태2년명永泰二年銘’(766)이라는 명문을 가진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33-1호)이다. 그 밖에 대표적인 예로는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이 있다.<ref>월간미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4401&cid=42642&categoryId=42642 비로자나불]",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09일 확인.</ref>
+
한국에서는 통일신라 이후 특히 9세기 중엽 경 유행했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비로자나불상은 ‘영태이년명(永泰二年銘)(766)이라는 명문을 가진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33-1호)이다. 그밖에 대표적인 예로는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이 있다.<ref>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4401&cid=42642&categoryId=42642 비로자나불]", 세계미술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우리나라 사원에서 이 비로자나불을 봉안하고 있는 전각을 [[대적광전|대적광전(大寂光殿)]] 또는 대광명전(大光明殿)이라고 한다. 이러한 전각의 명칭이 붙여질 경우에도 보통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노사나불(盧舍那佛)과 석가모니불을 봉안하게 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122 비로자나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09일 확인.</ref>
+
우리나라 사원에서 이 비로자나불을 봉안하는 전각을 [[대적광전|대적광전(大寂光殿)]] 또는 대광명전(大光明殿)이라고 한다. 이런 전각의 명칭이 붙은 경우에도 보통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노사나불(盧舍那佛)과 석가모니불을 봉안한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122 비로자나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11월 26일.</ref>
  
=='''갤러리'''==
+
=='''지식관계망'''==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비로자나불상''">
+
"그래프 삽입"
파일:Seongnamamsaji Vairocana.jpg|[[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2330100,38&flag=Y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2017년 04월 03일 확인.</ref>
+
 
파일:Dopiansa Vairocana.jpg|[[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630000,32&flag=Y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2017년 04월 03일 확인.</ref>
+
===관련항목===
파일:BorimsaVairocana.jpg|[[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파일:Gagyeonsa Vairocana.jpg|[[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 [[비로자나불]]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비로자나불]]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 [[비로자나불]] || [[대적광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caption="''비로자나불상''">
 +
파일:BHST_Seongnamamsaji Vairocana.jpg|[[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766년)<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2330100,38&flag=Y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파일:BHST_Borimsa_Vairocana.jpg|[[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860년)
 +
파일:BHST_Dopiansa Vairocana.jpg|[[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865년)<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630000,32&flag=Y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파일:BHST_Gagyeonsa_Vairocana.jpg|[[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gallery>  
 
</gallery>  
  
<gallery mode=packed heights=120px caption="''비로자나불의 지권인''">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caption="''비로자나불의 지권인''">
파일:BorimsaVairocana_hand.jpg|[[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
파일:BHST Borimsa Vairocana-hand.jpg|[[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파일:Gagyeonsa Vairocana hand.jpg|[[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파일:BHST_Gagyeonsa_Vairocana-hand.jpg|[[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gallery>
 
</gallery>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참고문헌'''==
 +
*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122 비로자나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11월 26일.
 +
*강우방, 곽동석, 민병찬, 『한국 美의 재발견 - 불교 조각 II』, 솔출판사, 2005.
 +
*강민기, 강현숙, 윤희상, 이선재, 이숙희, 장경희, 『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2014.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5949&cid=40942&categoryId=31545 비로자나불]",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개념]]
 +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1월 6일 (월) 00:51 기준 최신판

비로자나불
(毘盧遮那佛)
대표명칭 비로자나불
한자표기 毘盧遮那佛
영문명칭 Vairocana Buddha


정의

모든 부처님의 진신(眞身:육신이 아닌 진리의 모습)인 법신불(法身佛).[1]

내용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은 태양의 빛처럼 불교의 진리가 우주 가득히 비추는 것을 형상화한 것이다. 다른 부처와는 달리 설법하지 않는 점이 이 부처의 특징이다. 불교의 진리, 곧 불법(佛法) 그 자체를 상징하는 법신불(法身佛)이므로 불상으로 형상화할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이다.[2]

형상은 보통 지권인(智拳印)수인을 취하며 협시로 문수보살(文殊菩薩)보현보살(普賢菩薩)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지만 노사나불(盧舍那佛)석가불(釋迦佛)이 좌우에서 모시고 있는 삼신불(三身佛)의 예도 있다.[3]

한국에서는 통일신라 이후 특히 9세기 중엽 경 유행했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비로자나불상은 ‘영태이년명(永泰二年銘)’(766)이라는 명문을 가진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33-1호)이다. 그밖에 대표적인 예로는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이 있다.[4]

우리나라 사원에서 이 비로자나불을 봉안하는 전각을 대적광전(大寂光殿) 또는 대광명전(大光明殿)이라고 한다. 이런 전각의 명칭이 붙은 경우에도 보통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노사나불(盧舍那佛)과 석가모니불을 봉안한다.[5]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비로자나불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비로자나불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비로자나불 대적광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위석, "비로자나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11월 26일.
  2. 강우방, 곽동석, 민병찬, 『한국 美의 재발견 - 불교 조각 II』, 솔출판사, 2005, 106쪽.
  3. 강민기, 강현숙, 윤희상, 이선재, 이숙희, 장경희, 『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2014, 162쪽.
  4.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 참조: "비로자나불", 세계미술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김위석, "비로자나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11월 26일.
  6.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7.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 김위석, "비로자나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2년 11월 26일.
  • 강우방, 곽동석, 민병찬, 『한국 美의 재발견 - 불교 조각 II』, 솔출판사, 2005.
  • 강민기, 강현숙, 윤희상, 이선재, 이숙희, 장경희, 『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2014.
  • "비로자나불",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