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창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작가정보_김지선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국문명 = 박창돈<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3/24/0200000000AKR20140324164400005.HTML <"시대를 역류하는 느림의 미학"…박돈 회고전>, 연합뉴스] (2017월 3월 26일 확인)</ref>
+
{{작가정보
|한자명 = 朴昌敦
+
|사진=  민족팀_일러_화가.png
|영문명 = Park Chang Dohn
+
|사진출처=
|출생 - 사망 = 1928. 02 .28 -
+
|대표명칭 = 박창돈  
|출생지 = 황해도 장연  
+
|한자표기 = 朴昌敦  
 +
|영문명칭 = Park Chang-dohn 
 +
|본명 =
 +
|호 =
 +
|생년 =  1928년 2월 28일
 +
|몰년 =  
 +
|출생지 = 황해도 장연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분야 = 서양화가
|대표작품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3/24/0200000000AKR20140324164400005.HTML 일출봉의 노래]
+
|필드수 =8
|image = 민족기록화 작가 박창돈 대표사진 01.jpg
 
 
}}
 
}}
  
=='''작가소개'''==
+
=='''정의'''==
박창돈 화백은 황해도 장연 출신의 월남 화가이다. 다른 북한 출신 화가들과 마찬가지로 그 역시 다시는 갈 수 없는 고향에 대한 향수를 화폭에 담아냈다.<br/>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특히 그의 고향인 장연은 백령도에서 불과 10Km 떨어져 있어 '새벽이면 고향집에서 닭 우는 소리가 들릴 정도'로 가까운 곳이고 날씨가 좋은 날에는 눈에 보일 정도라고 한다.<ref>[http://www.hani.co.kr/arti/culture/music/190341.html "갈 수 없는 고향을 그린 화가, 박창돈"],『한겨레신문』, 2007년 2월 13일. (2017년 3월 27일 확인)</ref> 그는 손에 닿을 듯한 아쉬움을 고향 바다를 그리는 것으로 풀어내었다.<br/>
 
또한 그의 그림에는 항상 목가적이고 잔잔한 시골 풍경과 한복을 입은 단아한 소녀, 소의 등을 타고 피리 부는 소년, 도자기 등이 등장한다. 미술평론가 신항섭은 "어쩌면 그의 그림은 가속도를 생명으로 하는 현재의 시각으로 볼 때 시대를 역류하는 느림의 미학이라고 할 수 있다. 작업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할 뿐더러 그 내용 또한 과거의 시간선상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라고 논평하였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3/24/0200000000AKR20140324164400005.HTML "'시대를 역류하는 느림의 미학'…박돈 회고전"],『연합뉴스』, 2014년 3월 24일. (2017년 3월 27일 확인)</ref>
 
  
=='''학력'''==
+
=='''내용'''==
*1945 북한 해주사범학교 강습과 수료
+
===개요===
*1948 북한 해주예술학교 미술
+
황해도 장연에서 태어난 박창돈은 해주사범 강습과와, [[해주미술학교|해주예술학교]]를 졸업하고 [[해주미술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1949년 남하한 그는 [[6.25전쟁|한국전쟁]] 동안 부산에서 활동하다가 상경하였다.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다수의 입선과 특선을 거쳐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1950년대 말부터 창작미협과 [[구상전]] 회원으로 지속적인 활동을 하면서 향토적인 소재와 표현으로 한국적인 조형세계를 구현하고자 노력을 기울여왔다.
  
=='''경력'''==
+
===작품세계-1950년대===
* 1954-1963 한성고등학교 미술교사
+
1950년대에는 실향과 전쟁이라는 고난의 시간을 살던 심경을 담은 추상적 조형실험의 시기로 그의 조형적 특징인 정적이면서도 관념적인 분위기를 만들어가기 시작하였다. 재료의 질감이 강조되고 선에 의한 이미지와 색면으로 대상이 해체되는 기하학적인 추상공간 위에 부유하듯 떠도는 이미지들을 표현하였다. 1970년대 전후부터는 회갈색조의 차분하고 깊이감이 느껴지는 화면 위에 한국적이고 서정적인 이미지들이 점차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한다.
* 1957-1964 창작미술협회 창립회원
 
* 1961-1981 대한민국전람회 추천작가, 심사위원
 
* 1964-1975 서라벌예술대학교,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강사
 
* 1972-1980 구상전 창립회원
 
* 1972-1980 대한민국전람회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 1974 목원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
 
* 1980-1984 제작전 창립회원
 
* 1984-1999 갑자전 창립회원
 
* 1988 제7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 2000 대한민국미술대전 운영위원
 
  
=='''전시'''==
+
===작품세계-1950년대 이후===
* 1954-1959 대한미술협회전, 국립중앙공보관
+
이후 수묵화의 여백처럼 깊은 공간감을 느끼게 하는 화면에 소년, 여인, , 비둘기, 산과 초가집 등의 이미지가 잠기듯 떠있는 화면은 독창적인 그의 작품세계로 자리하였다. 수직, 수평의 깊고 정적인 구도에 담긴 대상에서 서정적 심상과 향수를 느끼게 하였다. 서양의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여 한국적인 회화세계를 구축하고자 했던 그는 망향으로 인한 향수와 애상을 담은 그림으로부터 시작하여, 낯익은 이미지를 개성 있는 조형방식으로 형상화하여, 간결하면서도 서정적으로 화면에 재현한 작품세계를 보여주었다.
* 1954-1978 대한민국전람회, 국립현대미술관
 
* 1957-1961 창작미술협회전, 국립중앙공보관
 
* 1963 한국현대화가초대전, 경복궁미술관
 
* 1967-1978 구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67 민족기록화전;동학의거, 경복궁미술관
 
* 1968 종합미술전, 중앙공보관
 
* 1970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3 한국현역작가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4 5월 14일-19일, 개인전, 신세계미술관
 
* 1975 개관기념전, 현대화랑
 
* 1975 한국원로중진작가전, 전북미술관
 
* 1976 11월 10일-16일, 개인전, 문화화랑
 
* 1976 서양화100인초대전, 문화화랑
 
* 1976 유화50인전, 양지화랑
 
* 1976 한&midot;일미술교류전, 일본 야마도화랑
 
* 1977 아시아현대미술전, 일본 동경도미술관
 
* 1977 동서양화조각 47인전, 진화랑
 
* 1977 서양화 30인초대전, 길화랑
 
* 1977 서양화 56인전, 한국화랑
 
* 1977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7 한국현대미술대전:서양화, 국립현대미술관
 
* 1977 서양화초대전, 신세계미술관
 
* 1978 서양화6인작품전, 대구 맥향화랑
 
* 1978 서양화가9인도화전, 문화화랑
 
* 1980 9월 11일-17일, 개인전, 예화랑
 
* 1983 10월 28일-11월 4일, 개인전, 예화랑
 
* 1983-1992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4-1999 갑자전
 
* 1986 11월13일-20일, 개인전, 예화랑
 
* 1988-1994 `88-`94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0-1992 `90, `92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9-1999 서울미술대전
 
* 1990 한국미술-오늘의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1 4월 24일-5월 3일, 개인전, 예화랑
 
* 1992 한국근대미술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3 전관개관 기념현대미술전, 예술의전당
 
* 1994 11월 22일-12월 2일, 개인전, 표화랑
 
* 1994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1994 제7회 개인전, 예화랑
 
* 1995 겨울 소품전, 청화랑
 
* 1996-1999 코리안 평화미술전, 도쿄 니혼바시 프라자 마무
 
* 1996 10월 30일-11월 5일, 제23회 갑자전, 공평아트센터
 
* 1997 9월 2일-9월13일, 청작화랑 개관10주 기념 모정이 있는 그림조각전, 청작화랑
 
* 1998 겨울 소품전, 청화랑
 
* 2000 10월 4일-15일, 개인전, 인사아트센터
 
* 2000 제8회 개인전, 가나아트갤러리
 
* 2000 2월 10일-21일, 세계평화미술제, 예술의전당
 
* 2000 2월 29일, 한국미술 99전-인간&midot;자연&midot;사물, 국립현대미술관
 
* 2000 3월 10일-4월 8일, 한국의 미감(美感)전, 예화랑
 
* 2000 10월 13일-17일, 아세아 평화 미술전, 일본 도쿄
 
  
=='''수상'''==
+
===학력===
*1985 씨롱 85 한국전 은상, 파리 그랑팔레
+
*1945 북한 해주사범학교 강습과 수료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 3회
+
*1948 북한 [[해주미술학교|해주예술학교]] 미술과 졸업
  
 +
===경력===
 +
*[[창작미술협회]], [[구상전]] 창립회원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
*[[목원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
  
=='''주요작품'''==
+
===전시===
<gallery widths=300px heights=200px perrow=4>
+
*1963  한국현대화가초대전, 경복궁미술관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박창돈 대표작품 01.jpg|[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3/24/0200000000AKR20140324164400005.HTML 일출봉의 노래, 2008년, 65 x 90.9cm]
+
*1967-78 구상전, 국립현대미술관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박창돈 대표작품 02.jpg|[http://www.hani.co.kr/arti/culture/music/190341.html 호심(湖心), 1990년대, 112 x 162cm]
+
*1970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gallery>
+
*1973  한국현역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7  아시아현대미술전, 일본 동경도미술관
 +
*1990  한국미술-오늘의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2  한국근대미술 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4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2000  세계평화미술제, 예술의전당
 +
*2005  한국구상대전, 예술의 전당
 +
*2008  서울미술대전-한국현대구상화의 흐름, 서울시립미술관
 +
*2013  명화를 만나다-한국근현대회화 100선,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
*2014  이동훈미술상 수상기념전, 대전시립미술관
  
=='''민족기록화'''==
+
===수상===
<gallery>
+
*살롱85 한국전 은상, 파리 그랑팔레
파일: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박창돈-안시성싸움]]
+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 3회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제11회 이동훈미술상, 중도일보
파일:박창돈-금성사-1973s.jpg |[[박창돈-금성사]]
 
파일:박창돈-선경(모직)-1975s.jpg |[[박창돈-선경(모직)]]
 
</gallery>
 
  
=='''그래프'''==
+
=='''지식 관계망'''==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작가/이종상.htm 임시]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81/C081.htm "선경모직"(박창돈) 지식관계망]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작가/이종상.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81/C08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04/C004.htm "안시성싸움"(박창돈)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1/C021.htm "최영장군의 홍산전투"(박창돈)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78/C078.htm "금성사"(박창돈) 지식관계망]
  
=='''관련 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박창돈-금성사]] || [[박창돈]]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박창돈-금성사]] || A는 B를 그렸다
+
| [[박창돈-안시성싸움]] || [[박창돈]]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박창돈-안시성싸움]] || A는 B를 그렸다
+
| [[박창돈-선경(모직)]] || [[박창돈]]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박창돈-선경(모직)]] || A는 B를 그렸다
+
|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박창돈]]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A는 B를 그렸다
+
| [[박창돈]] || [[월남작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월남 작가]] || A는 B에 포함된다
+
| [[구상전]]|| [[박창돈]]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PAGENAME}}||[[박창돈-금성사]] 제작연도|| 1973년
+
| [[박창돈]]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박창돈-안시성싸움]] 제작연도|| 1975년
+
| [[박창돈]] || [[해주미술학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박창돈-선경(모직)]] 제작연도|| 1975년
+
| [[박창돈]] ||[[서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제작연도|| 1976년
 
 
|}
 
|}
  
=='''공간정보'''==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갤러리===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박창돈 토기의 꿈 01.png|토기의 꿈, 1989, 캔버스에 유채, 41x32cm<ref>이광중 CPA,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eespider&logNo=220881181793&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실향민 화가' 박창돈(Park Dorn)]",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이광중 화계사』<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6년 12월 8일.</ref>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박창돈 무제 01.png|무제, 1990, 캔버스에 유채, 116.5x91cm<ref>이광중 CPA,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eespider&logNo=220881181793&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실향민 화가' 박창돈(Park Dorn)]",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이광중 화계사』<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6년 12월 8일.</ref>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박창돈-안시성싸움]]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파일:박창돈-금성사-1973s.jpg |[[박창돈-금성사]]
 +
파일:박창돈-선경(모직)-1975s.jpg |[[박창돈-선경(모직)]]
 +
</gallery>
  
=='''참고문헌'''==
+
===영상===
*사이트
 
**[http://monthlyart.com/dicwho/%EB%B0%95%EC%B0%BD%EB%8F%88-2/ "박창돈"],『월간미술』, 월간미술. (2017년 3월 25일 확인)<br/>
 
**[http://www.hani.co.kr/arti/culture/music/190341.html "갈 수 없는 고향을 그린 화가, 박창돈"],『한겨레신문』, 2007년 2월 13일. (2017년 3월 27일 확인)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한국 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39 박창돈, 금성출판사, 1977.
 +
#*『박돈』, 현대사, 2014.
 +
#*『제11회 이동훈미술상 수상작가 초대전-박돈』, 대전시립미술관, 2014.
 +
#*『고향의 정서, 추억 속의 편린 - 박돈』,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2015
 +
 +
===유용한 정보===
 +
#"[http://monthlyart.com/dicwho/%EB%B0%95%EC%B0%BD%EB%8F%88-2/ 박창돈]", 인명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http://www.hani.co.kr/arti/culture/music/190341.html 갈 수 없는 고향을 그린 화가, 박창돈]",『한겨레신문』, 2007년 2월 13일.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분류:인물]]

2017년 12월 29일 (금) 13:32 기준 최신판


박창돈(朴昌敦)
민족팀 일러 화가.png
대표명칭 박창돈
한자표기 朴昌敦
영문명칭 Park Chang-dohn
생몰년 1928년 2월 28일-
출생지 황해도 장연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개요

황해도 장연에서 태어난 박창돈은 해주사범 강습과와, 해주예술학교를 졸업하고 해주미술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1949년 남하한 그는 한국전쟁 동안 부산에서 활동하다가 상경하였다.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다수의 입선과 특선을 거쳐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 1950년대 말부터 창작미협과 구상전 회원으로 지속적인 활동을 하면서 향토적인 소재와 표현으로 한국적인 조형세계를 구현하고자 노력을 기울여왔다.

작품세계-1950년대

1950년대에는 실향과 전쟁이라는 고난의 시간을 살던 심경을 담은 추상적 조형실험의 시기로 그의 조형적 특징인 정적이면서도 관념적인 분위기를 만들어가기 시작하였다. 재료의 질감이 강조되고 선에 의한 이미지와 색면으로 대상이 해체되는 기하학적인 추상공간 위에 부유하듯 떠도는 이미지들을 표현하였다. 1970년대 전후부터는 회갈색조의 차분하고 깊이감이 느껴지는 화면 위에 한국적이고 서정적인 이미지들이 점차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한다.

작품세계-1950년대 이후

이후 수묵화의 여백처럼 깊은 공간감을 느끼게 하는 화면에 소년, 여인, 말, 비둘기, 산과 초가집 등의 이미지가 잠기듯 떠있는 화면은 독창적인 그의 작품세계로 자리하였다. 수직, 수평의 깊고 정적인 구도에 담긴 대상에서 서정적 심상과 향수를 느끼게 하였다. 서양의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여 한국적인 회화세계를 구축하고자 했던 그는 망향으로 인한 향수와 애상을 담은 그림으로부터 시작하여, 낯익은 이미지를 개성 있는 조형방식으로 형상화하여, 간결하면서도 서정적으로 화면에 재현한 작품세계를 보여주었다.

학력

  • 1945 북한 해주사범학교 강습과 수료
  • 1948 북한 해주예술학교 미술과 졸업

경력

전시

  • 1963 한국현대화가초대전, 경복궁미술관
  • 1967-78 구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0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3 한국현역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7 아시아현대미술전, 일본 동경도미술관
  • 1990 한국미술-오늘의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2 한국근대미술 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4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2000 세계평화미술제, 예술의전당
  • 2005 한국구상대전, 예술의 전당
  • 2008 서울미술대전-한국현대구상화의 흐름, 서울시립미술관
  • 2013 명화를 만나다-한국근현대회화 100선,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 2014 이동훈미술상 수상기념전, 대전시립미술관

수상

  • 살롱85 한국전 은상, 파리 그랑팔레
  •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 3회
  • 제11회 이동훈미술상, 중도일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창돈-금성사 박창돈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창돈-안시성싸움 박창돈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창돈-선경(모직) 박창돈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박창돈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창돈 월남작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구상전 박창돈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박창돈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박창돈 해주미술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박창돈 서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이광중 CPA, "'실향민 화가' 박창돈(Park Dorn)", 『네이버 블로그-이광중 화계사』online, 작성일: 2016년 12월 8일.
  2. 이광중 CPA, "'실향민 화가' 박창돈(Park Dorn)", 『네이버 블로그-이광중 화계사』online, 작성일: 2016년 12월 8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 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39 박창돈, 금성출판사, 1977.
    • 『박돈』, 현대사, 2014.
    • 『제11회 이동훈미술상 수상작가 초대전-박돈』, 대전시립미술관, 2014.
    • 『고향의 정서, 추억 속의 편린 - 박돈』,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2015

유용한 정보

  1. "박창돈", 인명록, 『월간미술』online.
  2. "갈 수 없는 고향을 그린 화가, 박창돈",『한겨레신문』, 2007년 2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