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이인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전시)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작가정보_김지선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국문명 = 이인영<ref>[https://www.mcst.go.kr/web/s_culture/culture/cultureView.jsp?pSeq=19499 "색채의 화음을 노래한 화가 - 이인영展"],『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공식 홈페이지. 전시회에서 직접 촬영함. (2017월 3월 25일 확인)</ref>
+
{{작가정보
|한자명 = 李仁榮
+
|사진= 민족팀_일러_화가.png
|영문명 = Lee In Young
+
|사진출처= 
|출생 - 사망 = 1932 -
+
|대표명칭 = 이인영
|출생지 = 충남 부여  
+
|한자표기 = 李仁榮  
 +
|영문명칭 = Lee In-young
 +
|본명 =
 +
|호 =
 +
|생년 = 1932년
 +
|몰년 =
 +
|출생지 = 충남 부여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분야 = 서양화가
|대표작품 = [https://www.neolook.com/archives/20170302j 양지]
+
|필드수 =9
|image = 민족기록화 작가 이인영 대표사진 01.jpg
 
 
}}
 
}}
  
=='''작가소개'''==
+
=='''정의'''==
이인영은 1932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났다. 일제시기에 강경에서 학업을 마친 뒤, 부친의 희망에 따라 초등 교사를 시작으로 중학교와 전문학교 교수를 거쳐 1975년 한남대학교 미술교육과와 회화과 교수로 재직하며 1997년까지 대전 미술계에 기둥이 되는 제자들을 키워냈다. 이인영은 미술재료 조차 구하기 힘들었던 시절, 독학으로 그림 공부를 하였으며 이동훈 선생의 작업실을 구경하며 어깨너머로 눈 공부를 한 것이 유화에 눈을 뜬 계기가 되었다. 식민과 분단, 전쟁과 재건이라는 시대상을 거쳐 온 세대의 대변이자 독학으로 그림을 공부하여 자기세계를 확립해온 이인영은 한국 전역의 산야와 자연미를 끊임없이 그리면서 중후한 색채와 감각으로 산의 형태와 리얼한 현장감을 밀도 있게 그려왔다. 1957년 미공보관에서 생애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1959년 대전문화원에서 두 번째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63년 첫 입선을 시작으로 64, 65, 66, 67년 4회 연속특선을 하며 66년엔 작품 <오후>로 국회의장 상을 수상하게 된다. 국전 국회의장상 소식은 지역에도 경사였지만 당시 동아일보 호외로 배포될 만큼 전국적으로도 큰 이슈가 되었다. 이인영이 그린 자연과 풍경 속에 있는 하늘과 바람과 나무와 꽃, 동물과 여인들은 모두 따듯한 인간영혼의 숨결이 불어 넣어진 동화와 신화 같은 세계이고 작가의 이상이 깃든 표현적 세계이다. 작가는 이러한 자신의 이상과 자연이라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상의 사실을 지속적으로 그려냈다. 무엇보다도 이인영은 “온화하고 따듯한 색채대비와 미적인 생동감”을 구사하여 회색과 보랏빛의 미묘한 조성과 중간색의 색감, 무수한 붓자국을 따라 화면위에 경쾌한 율동을 계속하여 화면공간의 진동을 느끼게 하는 힘을 작품 속에 담고 있다. 한마디로 작가는 색채의 화음을 따라 자연을 노래한 화가이자 자연미의 탐구자이다.<br/>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이인영의 작품은 시기별로 다섯 번의 변모를 가지게 된다. 60년대는 아카데미즘이라 불리는 인물 구상이 주를 이루었으며 70년대는 민족기록화의 다양한 경험들에서 작품상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목가적인 풍경 속의 대상들이 반구상 형태로 그려져 예전과 표현법을 달리하고 있다. 80년대는 유럽여행의 여파로 점과 선을 이루는 터치들이 화려한 색채로 나타나며 팔레트에서 혼색을 하기보다 캔버스에 다양한 색들을 직접 찍어 점묘법 같은 효과를 보이는 시도들이 이어진다. 90년대는 남북회담이후의 교류를 계기로 금강산 사생은 그에게 많은 영감을 주게 되어 <금강산>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수십 점 그려진다. 이인영에게 있어 산에 대한 출발점은 계룡산이었고 대둔산, 설악산, 오대산 등을 수없이 오르내리기도 하였다. 2000년대는 목가적인 풍경을 작가의 심상으로 표출하여 꽃과 동물들의 구도와 배치 적절한 흰색의 쓰임에서 순수와 사랑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는 활동영역이 자유롭지 못해 젊은 시절 다니던 곳을 연상하며 잔잔한 전원풍경을 주로 그리고 있지만 색채의 쓰임 자체는 푸르른 청색계열에서 노랑이나 황색의 난색계열로 바뀌어 가고 있다. 색채를 통해 자연을 노래한 화가 이인영을 통해 지역미술사를 재정립해보며 노화가의 자연미에 대한 강렬한 탐구심과 열정에 박수를 보낸다.
 
  
=='''학력'''==
+
=='''내용'''==
 +
===출생 및 활동===
 +
1932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강경상업학교 졸업 후 대전에서 교사로 근무하였다. 일찍이 대전에 정착한 [[이동훈]]의 감화를 받으며 그림을 독학하였다. 1963년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입선을 시작으로 4회 연속 특선하였으며, 1966년에는 국회의장상을 수상하였다. 1975년부터 [[한남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화업과 교육을 병행하였다.
 +
 
 +
===작품세계===
 +
등단 후 한동안 그의 화풍은 화면에 인물을 크게 배치하여 묘사하는 소위 [[국전풍|국전(國展)풍]] [[아카데미즘]]이라 불리던  구상 인물화 중심이었다. 그러다가 1970년대에 들어 대상을 해체하여 재구성하는 시도가 나타나는 반구상의 풍경화를 시도하였다. 이후 그는 우리나라의 산야와 주변의 풍경을 소재로 지속적인 작품 활동을 이어가게 된다. 온화하면서도 미세하고 다양한 변조가 있는 색채와 무수히 더해지는 짧은 필선에 의한 묘사로 화면 전체에 경쾌한 울림과 화사한 생동감을 만들어 내었다.<br/>
 +
이러한 그의 회화는 빛에 따라 변화하는 세계를 예민한 감수성으로 표현하여 ‘색채의 화음을 노래한 화가’라는 평을 얻었다. 자연에 대한 작가의 따뜻한 시선은 공주의 계룡산을 포함한 산을 소재로 한 그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1990년대 들어 이루어진 금강산 사생은 그의 산 그림에 새로운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
 
 +
===학력===
 
*1945 부여 초등학교 졸업
 
*1945 부여 초등학교 졸업
*1951 강경 상업중학교 졸업
+
*1951 강경 상업학교 졸업
  
=='''경력'''==
+
===경력===
*1955 강경중학교 교사
+
*국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1956 한밭여자 중학교 교사
+
*청주교육대학교, 한남대학교 교수
* 1967 대전 성모여자중학교 교사
 
*1968 국전 추천작가
 
*1969 대전 공업전문학교 전임강사
 
*1971 충남도 미술전, 추천작가
 
*1974 청주교육대학교 교수
 
*1975 한남대학교 전임강사
 
*1978 국전 초대작가
 
  
=='''전시'''==
+
===전시===
* 1957 공보관 수채화 개인전  
+
*1957 공보관 수채화 개인전  
* 1959 대전문화원 수채화 개인전  
+
*1959 대전문화원 수채화 개인전  
* 1973 국립현대미술관 한국현대작가 100인전
+
*1973 한국현대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 대전신신화랑 유화 개인전
+
*1979 유화 개인전, 대전신신화랑
* 1981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의 자연전
+
*1981 한국의 자연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3-92 한국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수상'''==
+
*1986  한국대표작가 100인전, 전경련회관
*1963 국전 입선, 유화제작
+
*1988  서울올림픽기념 초대전
*1964 국전 특선
+
*1993  예술의 전당 개관기념전
*1965 국전 특선
+
*1993  Expo’93 한국의 풍속화전, Expo 국제전시관
*1965 목우회 공모전 우수상
+
*1994  서울국제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1965 충남문화상 수상
+
*1998  대전시립미술관 개관기념전
*1966 국전 국회의장상 수상
+
*1999  현대미술 99, 국립현대미술관
*1967 국전 특선
 
  
=='''주요작품'''==
+
===수상===
<gallery widths=300px heights=200px perrow=4>
+
*1963 국전 입선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이인영 대표작품 04.jpg|[https://www.neolook.com/archives/20170302j 양지, 1999년]
+
*1964, 65, 67  국전 특선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이인영 대표작품 02.jpg|[https://www.neolook.com/archives/20170302j 만하, 1967년]
+
*1965  목우회 공모전 우수상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이인영 대표작품 03.jpg|[https://www.neolook.com/archives/20170302j 오후, 1966년]
+
*1965  충남문화상
</gallery>
+
*1966  국전 국회의장상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gallery>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15/C015.htm "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이인영) 지식관계망]
파일:이인영-안융진담판(서희)-1976s.jpg|[[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57/C057.htm "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이인영) 지식관계망]
파일: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1973s.jpg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67/C067.htm "굴뗏목양식"(이용환) 지식관계망]
파일:이인영-삼화목장-1975s.jpg |[[이인영-삼화목장]]
+
<html>
</gallery>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15/C01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57/C05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67/C06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 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 [[이인영]]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 [[이인영]]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 A는 B를 그렸다
+
| [[이인영-삼화목장]] || [[이인영]]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 A는 B를 그렸다
+
| [[이인영]] || [[이동훈]]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PAGENAME}} ||[[이인영-삼화목장]] || A는 B를 그렸다
+
| [[이인영]]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대한민국미술대전]] ||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PAGENAME}}||[[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제작연도|| 1973년
+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국전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이인영-삼화목장]] 제작연도|| 1975년
+
| [[이인영]] || [[국전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제작연도|| 1976년
+
| [[이인영]] ||[[서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아카데미즘]] || [[이인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공간정보'''==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갤러리===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이인영 대표작품 02.jpg|만하(晩夏), 1967, 캔버스에 유채, 16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5303 만하]",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이인영 오후 01.jpg|오후, 1968, 캔버스에 유채, 162.2×130.3cm, 국회도서관 소장<ref>김구회, "[http://ccdaily.co.kr/news/view.html?section=9&category=222&no=23288 이인영 화백, 색채와 화음을 노래하다]", 『충청데일리』, 2017년 3월 3일.</ref>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이인영-안융진담판(서희)-1976s.jpg|[[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
파일: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1973s.jpg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
파일:이인영-삼화목장-1975s.jpg |[[이인영-삼화목장]]
 +
</gallery>
  
=='''참고문헌'''==
+
===영상===
*사이트
 
**[https://www.mcst.go.kr/web/s_culture/culture/cultureView.jsp?pSeq=19499 "색채의 화음을 노래한 화가 - 이인영展"],『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공식 홈페이지. (2017년 3월 26일 확인)<br/>
 
**[https://www.neolook.com/archives/20170302j "색채의 화음을 노래한 화가"], 『네오룩, 다른 시각문화를 위한 미술현장 데이터베이스』, 네오룩.] (2017년 3월 26일 확인)<br/>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대전미술아카이브 2011 : 대흥동예술가들 1950-1960』, 대전시립미술관, 2011.
 +
 +
===유용한 정보===
 +
#"[http://monthlyart.com/dicwho/%EC%9D%B4%EC%9D%B8%EC%98%81-2/ 이인영]", 인명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https://www.mcst.go.kr/web/s_culture/culture/cultureView.jsp?pSeq=19499 색채의 화음을 노래한 화가 - 이인영展]", 문화예술공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체육관광부』<sup>online</sup></online></html>.
 +
#"[https://www.neolook.com/archives/20170302j 색채의 화음을 노래한 화가]", archives,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오룩』<sup>online</sup></online></html>.
 +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분류:민족/교열완료]][[분류:인물]]

2017년 12월 24일 (일) 17:24 기준 최신판


이인영(李仁榮)
민족팀 일러 화가.png
대표명칭 이인영
한자표기 李仁榮
영문명칭 Lee In-young
생몰년 1932년-
출생지 충남 부여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출생 및 활동

1932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강경상업학교 졸업 후 대전에서 교사로 근무하였다. 일찍이 대전에 정착한 이동훈의 감화를 받으며 그림을 독학하였다. 1963년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입선을 시작으로 4회 연속 특선하였으며, 1966년에는 국회의장상을 수상하였다. 1975년부터 한남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화업과 교육을 병행하였다.

작품세계

등단 후 한동안 그의 화풍은 화면에 인물을 크게 배치하여 묘사하는 소위 국전(國展)풍 아카데미즘이라 불리던 구상 인물화 중심이었다. 그러다가 1970년대에 들어 대상을 해체하여 재구성하는 시도가 나타나는 반구상의 풍경화를 시도하였다. 이후 그는 우리나라의 산야와 주변의 풍경을 소재로 지속적인 작품 활동을 이어가게 된다. 온화하면서도 미세하고 다양한 변조가 있는 색채와 무수히 더해지는 짧은 필선에 의한 묘사로 화면 전체에 경쾌한 울림과 화사한 생동감을 만들어 내었다.
이러한 그의 회화는 빛에 따라 변화하는 세계를 예민한 감수성으로 표현하여 ‘색채의 화음을 노래한 화가’라는 평을 얻었다. 자연에 대한 작가의 따뜻한 시선은 공주의 계룡산을 포함한 산을 소재로 한 그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1990년대 들어 이루어진 금강산 사생은 그의 산 그림에 새로운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학력

  • 1945 부여 초등학교 졸업
  • 1951 강경 상업학교 졸업

경력

  • 국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 청주교육대학교, 한남대학교 교수

전시

  • 1957 공보관 수채화 개인전
  • 1959 대전문화원 수채화 개인전
  • 1973 한국현대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 유화 개인전, 대전신신화랑
  • 1981 한국의 자연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3-92 한국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대표작가 100인전, 전경련회관
  • 1988 서울올림픽기념 초대전
  • 1993 예술의 전당 개관기념전
  • 1993 Expo’93 한국의 풍속화전, Expo 국제전시관
  • 1994 서울국제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1998 대전시립미술관 개관기념전
  • 1999 현대미술 99, 국립현대미술관

수상

  • 1963 국전 입선
  • 1964, 65, 67 국전 특선
  • 1965 목우회 공모전 우수상
  • 1965 충남문화상
  • 1966 국전 국회의장상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이인영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이인영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인영-삼화목장 이인영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인영 이동훈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이인영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대한민국미술전람회 대한민국미술대전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대한민국미술전람회 국전풍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인영 국전풍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인영 서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아카데미즘 이인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만하",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2. 김구회, "이인영 화백, 색채와 화음을 노래하다", 『충청데일리』, 2017년 3월 3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대전미술아카이브 2011 : 대흥동예술가들 1950-1960』, 대전시립미술관, 2011.

유용한 정보

  1. "이인영", 인명록, 『월간미술』online.
  2. "색채의 화음을 노래한 화가 - 이인영展", 문화예술공연, 『문화체육관광부』online.
  3. "색채의 화음을 노래한 화가", archives, 『네오룩』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