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성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작가정보_김지선 |국문명 = 박성환<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7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월 3...)
 
(참고문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작가정보_김지선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국문명 = 박성환<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7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월 3월 26일 확인)</ref>
+
{{작가정보
|한자명 = 朴成煥
+
|사진= 민족기록화 작가 박성환 대표사진 01.jpg
|영문명 = Park Soung Hwan
+
|사진출처= 강은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76 박성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출생 - 사망 = 1919. 05 .11 - 2001 .07 .30
+
|대표명칭 = 박성환
|출생지 = 황해도 해주  
+
|한자표기 = 朴成煥  
 +
|영문명칭 = Park Soung-hwan 
 +
|본명 =
 +
|호 =
 +
|생년 =  1919년 5월 11일
 +
|몰년 = 2001년 7월 30일
 +
|출생지 = 황해도 해주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분야 = 서양화가
|대표작품 = [http://www.daarts.or.kr/visual-arts-detail 독도의 기 II]
+
|필드수 =10
|image = 민족기록화 작가 박성환 대표사진 01.jpg
 
 
}}
 
}}
  
=='''작가소개'''==
+
=='''정의'''==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학력'''==
+
=='''내용'''==
*1938 도쿄문화학원 미술학부 졸업
+
===개요===
*1942 일본 가와바타미술학교 서양화 수학
+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일본 [[가와바타 미술학교|가와바타화학교(川端畵學校)]] 양화부에서 수학하고 [[분카학원]](文化學院)을 졸업하였다. 1937년 제16회 [[조선미술전람회]]에 「계류(溪流)」로 입선하였고 1941년과 이듬해 일본의 [[이과전(二科展)]]에 입선한 후 초대작가로 참여하였다. 1947년 황해도에 [[해주미술학교]]를 설립하였으나 같은 해 월남하였다. [[6.25전쟁|한국전쟁]] 시에는 [[국방부 종군화가단]]에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1956년 [[서라벌 예술대학]] 창설교수로 취임하였으며,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경력'''==
+
===작품세계-농촌풍경, 서정성===
* 1944 일본 이과전 초대작가
+
박성환은 농악을 비롯하여 농촌 여인, 소 등 한국의 농촌풍경을 소재로 서정적인 분위기가 담긴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그의 그림들은 짙은 향토색과 더불어 형태를 단순화하고 구성을 자유롭게 하여 인물들의 역동성을 강조하였다. 과감한 나이프 사용과 두터운 물감에 의한 재질감 등 야수파나 표현주의적 특징을 그의 화면에서 볼 수 있다.<br/>
* 1946 해주 미술학교 창설
+
특히 1960년대 말경부터 즐겨 그린 농악, 농무 연작들 역시 세부 묘사가 생략된 보다 자유롭고 활달한 필치와 구성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의 그림에서는  클로즈업된 시선으로 대상을 해석한 평면적 근경이 강조되었다. 그 결과 운동감과 율동감이 더욱 두드러졌다.<br/>
* 1951 종군화가
+
그는 검은 색을 거의 쓰지 않는 원색적인 색채감의 화가로도 알려져 있다. 박성환의 파렛트 위에는 크림슨레이크와 비리디안, 코발트, 레드, 옐로우, 화이트 이렇게 6가지 색만 있었다고 한다. 이 6가지 색을 바탕으로 그는 수많은 원색적 색채감을 구사했다.
* 1952 대한미술협회 회원
 
* 1955 서라벌예술대학교 미술대학 창설취임교수
 
* 1959-1977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 1964 목우회 공모전 심사위원
 
* 1967-1970 한국미술협회 서양화 이사
 
* 1968 제1회 동아국제미술전 서양화부 초대작가
 
* 1975 일본 동경오원회 회원
 
* 1976 한국오원미술회 회장, 심사위원
 
* 1980 한독미술협회 회원
 
  
=='''전시'''==
+
===학력===
* 1937 선만 중등 미술전, 서울
+
*1938  일본 [[분카학원]](文化學院) 미술학부 졸업
* 1944 이과회 미술전, 동경
+
*1942  일본 [[가와바타 미술학교|가와바타미술학교]](川端畵學校) 서양화 수학
* 1944 개인전, 해주
 
* 1950 월남작가 3인전, 대구 공보관
 
* 1951 개인전, 대구 공보관
 
* 1952 개인전, 익산
 
* 1954 6.25 기념 미술전, 경복궁 미술관
 
* 1954 개인전, 서울 미공보관
 
* 1957-1959 개인전
 
* 1959 미국 독립기념 뉴욕전, 뉴욕
 
* 1959-1974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전, 경복궁 미술관
 
* 1960 동남아미술전, 동남아
 
* 1961 자유국제미술전, 동경
 
* 1961-1966 제7-10회 개인전
 
* 1963 목우회전
 
* 1964 동경올림픽기념 미전, 동경
 
* 1966 말레이시아 미전, 말레이시아
 
* 1967 구상전
 
* 1968 현역작가 미술전
 
* 1968 제1회 동경 국제 미술전, 동경
 
* 1972 한국 근대미술 60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3-1974 개인전, 일본 조형 화랑
 
* 1974 개인전, 한 화랑
 
* 1974 일본 동경 아세아 국제교우회 미전
 
* 1974 제16회 개인전
 
* 1975 현대화랑 개관 5주 기념전, 갤러리 현대
 
* 1975 개인전
 
* 1976 개인전
 
* 1976 한일 교류전, 동경
 
* 1977 한국현대서양화대전
 
* 1977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7 개인전, 해송 화랑
 
* 1977 개인전, 선 화랑
 
* 1978 오원미전 소품전, 동경
 
* 1979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 개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 개인전, 부산 국제 화랑
 
* 1979 개인전
 
* 1979 한국 60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0 한국 서양화 원로작가선전, 롯데 미술관
 
* 1980 한국미술 문화대상전, 미술문화사
 
* 1980 제1회 한국 현대미술대전
 
* 1980 국제 현대미술전, 세종문화회관
 
* 1980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0 35주 기념전, 신문회관
 
* 1981 개인전, 서독 바드호네프시
 
* 1982 개인전, 동덕 미술관
 
* 1982 도화전, 진 화랑
 
* 1983 도화전, 남경 화랑
 
* 1985 개인전, 인사동 갤러리
 
* 1985 한국 양화 70전, 호암갤러리
 
* 1985 현대미술 40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 현대미술 40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7 한국 인물화전, 호암갤러리
 
* 1987 개인전, 동경 한국문화원
 
* 1983-1990 현대미술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8 서울올림픽미술전
 
* 1988 한국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0 개인전, 진 화랑
 
* 1991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부전, 한원 갤러리
 
* 1991 개관4주 기념전, 제주 서귀포 시립미술관
 
* 1991 한국 미의 원초적 형상전, 서초 갤러리
 
* 1992 한국 근대미술 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2-1993 원로작가 회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4 예술의전당 전관 개관 1주 기념전
 
* 1994 음악과 무용의 미술전, 예술의전당
 
* 1994 서울 풍경의 변천전, 예술의전당
 
* 1994 신춘 서양화 초대전, 서울신문사
 
* 1997-1998 한국 H. M. A 국제 교류전, 롯데 화랑
 
* 1998 개인전, 추제 화랑
 
* 1999 개인전, 추제 화랑
 
* 1999-2000 원로작가 초대전, 서울 시립미술관
 
* 1999 한국미술: 인간, 자연, 사물, 국립현대미술관
 
* 1999-2000 움직이는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수상'''==
+
===경력===
*1936 제1회 조선일보사 주최 전국학생미술전 특선 최고상
+
*일본 이과전 초대작가
*1937 조선 미술전람회 입선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1937 제1회 북조선미술전람회 1등 최고상
+
*[[해주미술학교]] 창설, [[서라벌 예술대학]] 미술대학 창설취임교수
*1941-1943 일본 미과전 입선
 
*1954 6.25기념 미술전 국방부장관상
 
*1980 제5회 한국미술문화대상 대상
 
*1996 일본문화진흥회 국제예술문화상
 
  
 +
===전시===
 +
*1944  이과회 미술전, 동경
 +
*1959-74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전, 경복궁 미술관
 +
*1961  자유국제미술전, 동경
 +
*1968  제1회 동경국제미술전
 +
*1972  한국근대미술6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7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0  국제현대미술전, 세종문화회관
 +
*1985  한국양화70년전, 호암갤러리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
*1987  한국인물화전, 호암갤러리
 +
*1991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부전, 한원 갤러리
 +
*1992  한국근대미술 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4  서울풍경의 변천, 예술의전당
 +
*1999  한국미술: 인간, 자연, 사물, 국립현대미술관
  
=='''주요작품'''==
+
===수상===
<gallery  widths=300px heights=200px perrow=4>
+
*1936  제1회 전국학생미술전 특선, 최고상(조선일보사 주최)
파일:이종상-광개토대왕.JPG|[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1563269&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3329_000_58%2F20141007191410966_QFK0GK7UC.jpg%2F%2528%25EA%25B4%2591%25EA%25B0%259C.jpg%3Ftype%3Dm4500_4500_fst%26wm%3DN&cid=46717&categoryId=46765 광개토대왕 영토확장도, 1982년]
+
*1937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제1회 북조선미술전람회 1등 최고상
파일:이종상-흙에서.JPG|[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1563277&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3329_000_58%2F20141007191542886_K8EUGZMG4.jpg%2F%2528%25EC%259B%2590%25ED%2598%2595.jpg%3Ftype%3Dm4500_4500_fst%26wm%3DN&cid=46702&categoryId=46753 원형상-흙에서, 1990년]
+
*1941-43  일본 이과전(二科展) 입선
파일:이종상-독도.JPG|[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1563298&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3329_000_58%2F20141007192327728_YBSR0PZL6.jpg%2F110601-15%25EC%259D%25BC.jpg%3Ftype%3Dm4500_4500_fst%26wm%3DN&cid=46717&categoryId=46765 독도귀어도, 1983년]
+
*1954  6.25기념미술전 국방부장관상
</gallery>
+
*1980  제5회 한국미술문화대상 대상
 
+
*1996  일본문화진흥회 국제예술문화상
=='''민족기록화'''==
 
<gallery>
 
파일:박성환-예성강도-1978s.jpg|[[박성환-예성강도]]
 
</gallery>
 
  
=='''그래프'''==
+
=='''지식 관계망'''==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작가/이종상.htm 임시]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2/C022.htm "예성강도"(박성환) 지식관계망]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작가/이종상.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22/C02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관련 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박성환-예성강도]] || [[박성환]]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박성환]] ||[[서라벌 예술대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서라벌 예술대학]] || [[중앙대학교]] ||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
|-
 +
| [[박성환]] ||[[목우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구상전]]|| [[박성환]]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해주미술학교]]|| [[박성환]]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종군화가단]] ||  [[박성환]]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박성환]] || [[조선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박성환]]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박성환-예성강도]] || A는 B를 그렸다
+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대한민국미술대전]] ||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
 
|-
|}
+
| [[박성환]] || [[분카학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PAGENAME}}||[[박성환-예성강도]] 제작연도|| 1978년
+
| [[박성환]] || [[가와바타 미술학교]] || A는 B에서 수학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박성환]] ||[[서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
 
|}
 
|}
  
=='''참고문헌'''==
+
=='''시각자료'''==
*사이트
+
===갤러리===
**[http://monthlyart.com/dicwho/%EB%B0%95%EC%84%B1%ED%99%98-4/ "박성환", 월간미술] (2017년 3월 25일 확인)<br/>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http://kr.brainworld.com/brainWorldMedia/ContentView.aspx?contIdx=19373&menuCd=BrainLife '화가 박성환 ‘낯선 지도; 미세한 불안’ 展', 브레인미디어] (2017년 3월 25일 확인)<br/>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박성환 한강대교 01.png|한강대교, 1954, 캔버스에 유채, 54x7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308 한강대교]",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http://xn--o39a10ah86bjvdg7bh30bmebe2a.com/artist_sub35.htm Artist in Seoul Korea] (2017년 3월 26일 확인)<br/>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박성환 망향 01.png|망향, 1971, 캔버스에 유채, 240x16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218 망향]",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76 "박성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박성환 군무 01.png|군무, 1976, 캔버스에 유채, 61x9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313 군무]",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http://www.art500.or.kr/da/detailArts.do?CONTENT_ID=XX&INDIV_MANAGE_ID=P0000173#pagepos "박성환", 예술자료원 미술작가 500인]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박성환-예성강도-1978s.jpg|[[박성환-예성강도]]
 +
</gallery>
 +
 +
===영상===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 66 박성환, 금성출판사, 1977.
 +
#*『박성환화집』, 국립현대미술관, 1979.
 +
 +
===유용한 정보===
 +
#"[http://monthlyart.com/dicwho/%EB%B0%95%EC%84%B1%ED%99%98-4/ 박성환]", 인명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http://xn--o39a10ah86bjvdg7bh30bmebe2a.com/artist_sub35.htm 박성환 미술관]", 작가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Artist in Seoul Korea』<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심미술원.
 +
#강은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71576 박성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art500.or.kr/da/detailArts.do?CONTENT_ID=XX&INDIV_MANAGE_ID=P0000173#pagepos 박성환]",『예술자료원 미술작가 500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분류:인물]]

2017년 12월 29일 (금) 13:31 기준 최신판


박성환(朴成煥)
강은아, "박성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박성환
한자표기 朴成煥
영문명칭 Park Soung-hwan
생몰년 1919년 5월 11일-2001년 7월 30일
출생지 황해도 해주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개요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일본 가와바타화학교(川端畵學校) 양화부에서 수학하고 분카학원(文化學院)을 졸업하였다. 1937년 제16회 조선미술전람회에 「계류(溪流)」로 입선하였고 1941년과 이듬해 일본의 이과전(二科展)에 입선한 후 초대작가로 참여하였다. 1947년 황해도에 해주미술학교를 설립하였으나 같은 해 월남하였다. 한국전쟁 시에는 국방부 종군화가단에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1956년 서라벌 예술대학 창설교수로 취임하였으며,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작품세계-농촌풍경, 서정성

박성환은 농악을 비롯하여 농촌 여인, 소 등 한국의 농촌풍경을 소재로 서정적인 분위기가 담긴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그의 그림들은 짙은 향토색과 더불어 형태를 단순화하고 구성을 자유롭게 하여 인물들의 역동성을 강조하였다. 과감한 나이프 사용과 두터운 물감에 의한 재질감 등 야수파나 표현주의적 특징을 그의 화면에서 볼 수 있다.
특히 1960년대 말경부터 즐겨 그린 농악, 농무 연작들 역시 세부 묘사가 생략된 보다 자유롭고 활달한 필치와 구성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의 그림에서는 클로즈업된 시선으로 대상을 해석한 평면적 근경이 강조되었다. 그 결과 운동감과 율동감이 더욱 두드러졌다.
그는 검은 색을 거의 쓰지 않는 원색적인 색채감의 화가로도 알려져 있다. 박성환의 파렛트 위에는 크림슨레이크와 비리디안, 코발트, 레드, 옐로우, 화이트 이렇게 6가지 색만 있었다고 한다. 이 6가지 색을 바탕으로 그는 수많은 원색적 색채감을 구사했다.

학력

경력

전시

  • 1944 이과회 미술전, 동경
  • 1959-74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전, 경복궁 미술관
  • 1961 자유국제미술전, 동경
  • 1968 제1회 동경국제미술전
  • 1972 한국근대미술6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7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0 국제현대미술전, 세종문화회관
  • 1985 한국양화70년전, 호암갤러리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 1987 한국인물화전, 호암갤러리
  • 1991 한국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부전, 한원 갤러리
  • 1992 한국근대미술 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4 서울풍경의 변천, 예술의전당
  • 1999 한국미술: 인간, 자연, 사물, 국립현대미술관

수상

  • 1936 제1회 전국학생미술전 특선, 최고상(조선일보사 주최)
  • 1937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제1회 북조선미술전람회 1등 최고상
  • 1941-43 일본 이과전(二科展) 입선
  • 1954 6.25기념미술전 국방부장관상
  • 1980 제5회 한국미술문화대상 대상
  • 1996 일본문화진흥회 국제예술문화상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성환-예성강도 박성환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성환 서라벌 예술대학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서라벌 예술대학 중앙대학교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박성환 목우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구상전 박성환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해주미술학교 박성환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종군화가단 박성환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박성환 조선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박성환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대한민국미술전람회 대한민국미술대전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박성환 분카학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박성환 가와바타 미술학교 A는 B에서 수학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박성환 서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한강대교",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2. "망향",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3. "군무",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 66 박성환, 금성출판사, 1977.
    • 『박성환화집』, 국립현대미술관, 1979.

유용한 정보

  1. "박성환", 인명록, 『월간미술』online.
  2. "박성환 미술관", 작가소개, 『Artist in Seoul Korea』online, 한국심미술원.
  3. 강은아, "박성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박성환",『예술자료원 미술작가 500인』, 한국문화예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