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장리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요작품)
잔글 (1954년 이후)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작가정보_김지선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국문명 = 장리석
+
{{작가정보
|한자명 = 張利錫
+
|사진=  민족팀_일러_화가.png
|영문명 = Jang Ri Suk
+
|사진출처= 
|출생 - 사망 = 1916.04.08 -
+
|대표명칭 = 장리석
|출생지 = 평양
+
|한자표기 = 張利錫  
 +
|영문명칭 = Chang Ree-suk
 +
|본명 =
 +
|호 =
 +
|생년 =  1916년 4월 8일
 +
|몰년 =  
 +
|출생지 = 평양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분야 = 서양화가
|대표작품 = [http://www.daarts.or.kr/imageView/work.jsp?bit_id=410002&coll_id=1485&type=visual 南國(남국)의 봄]
+
|필드수 =9
|이미지 출처 = <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9E%A5%EB%A6%AC%EC%84%9D&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156092 네이버 인물검색 프로필] (2017월 3월 15일 확인)</ref>
 
|image = 장리석.jpg
 
 
}}
 
}}
  
=='''작가소개'''==
+
=='''정의'''==
[[장리석]]은 1916년 용띠로서, 부처 탄신기념일인 음력 4월 8일 평양시 신창리에서 치과의사인 부친 슬하의 3남중 막내로 태어났다.<br/>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장리석]]의 예술에 나타나는 가장 큰 특성들은 내용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대체로 ‘투박한 서민적 의식의 건강성’, ‘해학과 재치 그리고 낙천성’ 등으로 요약된다. 평론가 오광수는 앞서 살펴보았듯이 “서민의 애환을 쫓는 시대적 증인”이라는 용어로 장리석의 예술세계를 평하고 있는데 어두우면서도 진실에 찬 생을 살아가는 시골 노인에 대한 연민과 어시장이나 해변의 여인군상을 통해 서민의 강인한 의지와 감동적으로 표현해 냄으로서 한 시대를 사는 인간의 삶을 치열하게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장리석의 작품에 나타나는 서민의 이미지는 뚝배기와 같은 투박함과 원초적 건강성을 잃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학과 재치가 근저에 흐르고 있다.
 
  
=='''학력'''==
+
=='''내용'''==
*1930년대 상수보통학교 졸업
+
===출생 및 성장===
*1937-1939 일본 다마가와 제국미술학교(多摩川 帝國美術學校) 수학
+
장리석은 1916년 평양 신제리에서 태어났다. 양친을 일찍 여의고 형제들과 숙부댁에서 성장했다. [[상수보통학교]] 재학 시절부터 그림에 취미를 가졌으며 [[최영림]], [[황유엽]], [[박수근]] 등과 교우하였다. 평안남도 주최 공모전에 입상하면서 화가의 길을 결심하였고, 1942년 26세에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 출품하여 입선한 후 1944년 마지막 선전까지 잇따라 입선하면서 화가로 등단하였다.
 +
===1954년 이전===
 +
해방 후 평양에 거주하던 그는 [[평양미술동맹]]에 소속되었으며, 북한 노동성이 건립하던 [[금강산호텔]] 벽면장식에 동원되었다가 [[6.25전쟁|한국전쟁]]이 발발한 후 북진한 국군에 입대하였다. [[1.4후퇴]]로 원산에서 부산을 거쳐 제주도로 피난하면서 가족과 이별하였다. 1954년 제주를 떠날 때까지 혹독한 전쟁기를 견디며 제주의 바다와 해녀를 비롯해 그곳에서 경험한 풍경은 그의 내면에 깊게 남아 작품의 중요한 모티브가 되었다. 단순화된 형태와 강한 명암의 대비와 원근감을 특징으로 하는 장리석의 화면을 이루는 바탕이 된 것이다.
 +
===1954년 이후===
 +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 이어 젊은 화가의 등용문이 되었던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출품으로 작가로서의 입지를 다지게 된다. 1954년 서울로 이주한 후 제3회 국전에 입선하였으며, 이후 2년 연속 「조롱과 노인」, 「소한」으로 특선을, 1958년 7회 국전에서 「그늘의 노인」으로 대통령상을 받았다.「그늘의 노인」은 장리석의 대표작으로 벤치에 앉아 졸고 있는 노인을 두터운 채색과 자유롭고 활달한 붓질로 표현하였다. 배경의 강한 빛과 그늘의 대조는 서정적 정감을 지닌 자연주의적 경향을 띠는데, 소위 ‘국전풍 인물화’로 불리는 ‘아카데믹한 화풍’의 대표적인 예로 거론된다. 이후 그는 우리나라 서양화단의 구상적 경향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사람으로서 확고하게 자리하였다. 제주의 풍경과 함께 서민의 일상 생활과 정서를 분방한 필치와 색채로 표현한 작품을 주로 그렸다.
  
=='''경력'''==
+
===학력===
* 1940-1945  평양 미나카이(三中井)백화점 미술부장
+
*1930년대  상수보통학교 졸업
* 1950        원산 해군기지 사령부 정훈실(政訓室) 미술반장
+
*1937-39  일본 다마가와제국미술학교(多摩川帝國美術學校) 수학
* 1951        제주 해군기지 사령부 정훈실(政訓室) 미술반장
 
* 1954        대한미술협회 회원
 
* 1957-1963  창작미술협회전 창립위원
 
* 1958        대한미술협회 중앙위원
 
* 1960-1973  서라벌예술대학 미술과 교수
 
* 1962-1981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초대작가, 심사위원
 
* 1963        한국미술협회 중앙위원 서양화 분과위원
 
* 1965-1972  수도여자사범대학 미술과 강사
 
* 1974-198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회화과 교수
 
* 1982-1990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회화과 명예 교수
 
* 1981        구상전 회원
 
* 1984        한국미술협회 고문
 
* 1989        ≪서울미술대전≫ 운영위원
 
* 1992        ≪대전엑스포 미술전≫ 운영위원
 
* 1992-1993  구상전 제23대, 24대 회장
 
  
=='''전시'''==
+
===경력===
* 1940-1944 ≪주호전(珠壺展)≫, 평양백화점
+
*한국사실작가회, 창작미술협회전 창립위원
* 1942-1944 제21~23회 ≪조선미술전람회≫ 출품, 총독부미술관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 1957-1963 ≪창작미술협회전≫, 공보관 외
+
*한국미술협회 고문, 구상전 회장
* 1962 마닐라?사이공 국제전 초대 출품, 필리핀, 베트남
+
*서라벌예술대학, 수도여자사범대학, 중앙대학교 교수
* 1962 ≪국제자유미술전≫ 초대 출품, 현대미술관
 
* 1964-1969 ≪목우회 회원전≫ 국립중앙공보관
 
* 1965 제14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 국전)≫ 추천 출품
 
* 1965 ≪동경올림픽초대전≫ 초대 출품, 동경
 
* 1966-1968 ≪한국현대서양화 10인전≫ 초대 출품, 신세계화랑 (중앙일보사 주최)
 
* 1966-1967 제15, 16회 ≪국전≫ 추천 출품
 
* 1967 정부민족기록화 제작, 현대미술관
 
* 1968 제17회 ≪국전≫ 추천 출품
 
* 1968 ≪부산동아대학교국제전≫ 초대 출품, 부산 동아대학교
 
* 1969-1972 ≪한국사실작가회전≫, 신세계미술관?신문회관 외
 
* 1970-1972 제19~20, 21회 ≪국전≫ 초대 출품
 
* 1971 ≪한국화단 50인 소품전≫ 초대 출품, 현대화랑
 
* 1972 ≪한국근대미술 60년전≫ 초대 출품, 국립현대미술관
 
* 1973 ≪한국현대작가 100인전≫, 덕수궁미술관
 
* 1973-1976 민족기록화 제작(경제, 전승, 위인편)
 
* 1974 ≪현대한국 대표작가전≫ 초대 출품, 경희대학교 미술관
 
* 1974-1976 제10회~제12회 ≪아시아현대미술전≫ 초대 출품, 동경
 
* 1975-1976 ≪한?일 미술교류전≫, 일본
 
* 1975 제24회 ≪국전≫ 초대 출품
 
* 1976 ≪도불기념전≫ 초대 출품, 현대화랑
 
* 1976 제1회 ≪장리석 작품전≫, 현대화랑
 
* 1979 동남아 미술계 시찰 및 ≪이국풍물전≫
 
* 1980 제2회 ≪장리석 작품전≫, 선화랑
 
* 1981-1986 ≪한?독미술교류전≫, 뒤셀도르프?호암미술관
 
* 1981-2002 ≪구상전 회원전≫
 
* 1984 ≪84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4 ≪미국 LA현대화랑구상전≫, 로스앤젤리스
 
* 1985 ≪85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 ≪Salon de Mai 초대전≫, 파리
 
* 1986 ≪한국현대미술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86 서울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7 ≪한국인물화전≫, 호암갤러리
 
* 1988-1989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0 ≪한국의 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개관기념전
 
* 1992 ≪한국근대미술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2 ≪창립 90주년 기념 태평양전 초대전≫, 동경도미술관
 
* 1992 ≪일한 현대회화전≫
 
* 1995 제61회 ≪구상전≫
 
* 1996 제62회 ≪구상전≫, 지구촌갤러리
 
* 1998 제65회 ≪구상전≫, 선화랑
 
* 1998 제66회 ≪구상전-회화전≫, 서울시립미술관
 
* 2004 ≪제주미술제≫, 서귀포 기당미술관
 
* 2004 제1회 ≪이동훈미술상 수상작가 초대전≫, 대전시립미술관
 
  
 +
===전시===
 +
*1940-44  주호전(珠壺展), 평양백화점
 +
*1942  제21-23회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
*1957-63  창작미술협회전, 공보관 외
 +
*1962  마닐라‧사이공 국제전, 필리핀. 베트남. 국제자유미술전, 현대미술관
 +
*1965  동경올림픽초대전, 동경
 +
*1966-68  한국현대서양화 10인전, 신세계화랑
 +
*1972  한국근대미술 6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3  한국현대작가 100인전, 덕수궁미술관
 +
*1974-76  제10~12회 아시아현대미술전, 동경
 +
*1981-86  한독미술교류전, 뒤셀도르프‧호암미술관
 +
*1985  Salon de Mai, 파리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
*1990  한국의 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2  한국근대미술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4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1995  한국미술 5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2004  제1회 이동훈미술상 수상작가전, 대전시립미술관
  
=='''수상'''==
+
===수상===
* 1942        제21회 ≪조선미술전람회≫, <정물> 입선(다카하시 미츠오(高橋三男)로 출품)
+
*1958 제7회 국전 대통령상  
* 1943        제22회 ≪조선미술전람회≫, <정물> 입선
+
*1975 제24회 국전초대작가상  
* 1944        제23회 ≪조선미술전람회≫, <焚口>, <흰벽> 입선
+
*1981 국민훈장 석류장
* 1954        제3회 ≪국전≫ 입선
+
*1988 서울올림픽 문화장  
* 1955        제4회 ≪국전≫ 특선
+
*1992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 1956        제5회 ≪국전≫ 특선
+
*2003 제1회 이동훈미술상  
* 1957        제6회 ≪국전≫ 무감사 출품
 
* 1958       제7회 ≪국전≫ 대통령상
 
* 1959-1960  제8,9회 ≪국전≫ 특선
 
* 1975       제24회 국전초대작가상
 
* 1981       국민훈장 석류장
 
* 1988       서울올림픽 문화장
 
* 1992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 2003       제1회 이동훈미술상
 
  
=='''주요작품'''==
+
=='''지식 관계망'''==
<gallery  widths=300px heights=200px perrow=4>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42/C042.htm "홍주성수복"(장리석) 지식관계망]
파일:장리석-노인.jpg|[http://www.daarts.or.kr/imageView/work.jsp?bit_id=253626&coll_id=1485&type=visual 그늘의 노인, 1958년]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51/C051.htm "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장리석) 지식관계망]
파일:장리석-복덕방.jpg|[http://www.daarts.or.kr/imageView/work.jsp?bit_id=414253&coll_id=1485&type=visual 복덕방 노인, 1958년]
+
<html>
파일:장리석-남국.jpg|[http://www.daarts.or.kr/imageView/work.jsp?bit_id=410002&coll_id=1485&type=visual 남국의 봄, 1972년]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gallery>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42/C04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민족기록화'''==
+
</html>
<gallery>
 
파일:문학진-고려청자-1977s.jpg|[[문학진-고려청자]]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문학진-쌍성수복]]
 
파일:문학진-고려청자-1977s.jpg|[[문학진-고려청자]]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파일: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문학진-강원탄광]]
 
파일: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1973s.jpg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gallery>
 
 
 
 
 
=='''그래프'''==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작가/오승우.htm 임시]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작가/오승우.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51/C05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관련 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장리석-홍주성수복]] || [[장리석]]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 [[장리석]]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장이석-국립종축장]]|| [[장리석]]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문학진-고려청자]] || A는 B를 그렸다
+
| [[비원파]] || [[장리석]]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PAGENAME}} ||[[문학진-쌍성수복]] || A는 B를 그렸다
+
| [[평양미술동맹]] || [[장리석]]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PAGENAME}} ||[[문학진-고려청자]] || A는 B를 그렸다
+
| [[장리석]] ||[[구상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 A는 B를 그렸다
+
| [[장리석]] ||[[서라벌 예술대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문학진-강원탄광]] || A는 B를 그렸다
+
| [[장리석]] ||[[여성동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 A는 B를 그렸다
+
| [[장리석]]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표준영정]] || A는 B를 그렸다
+
| [[장리석]] || [[국전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http://naa.go.kr 대한민국예술원] || A는 B의 회원이다
+
| [[장리석]] ||[[조선미술전람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행주대첩 기념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장리석]] ||[[서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천주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아카데미즘]] || [[장리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구상전]] || [[장리석]]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참고문헌'''==
+
=='''시각자료'''==
*사이트
+
===갤러리===
[http://www.daarts.or.kr/handle/11080/5966 "장리석", 예술자료원,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5일 확인)<br/>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http://www.daljin.com/column/2617 "장리석", 김달진미술연구소 외부칼럼] (2017년 3월 15일 확인)<br/>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장리석 오후 01.png|오후, 1956, 캔버스에 유채, 145x10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5256 오후]", 소장품,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장리석 남해의 여인들 01.png|남해의 여인들, 1980, 캔버스에 유채, 64.7x100cm, 제주도립미술관 소장<ref>진선희, "[http://m.ihalla.com/Article/Read/1393858800456245036 피난지 제주에서 만난 '영혼의 고향']", 『한라일보』, 2014년 3월 4일.</ref>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장리석-홍주성수복]]
 +
파일: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
파일:장이석-국립종축장-1973s.jpg |[[장이석-국립종축장]]
 +
</gallery>
 +
 
 +
===영상===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장리석미술문화재단 설립준비위,『장리석』, 장리석문화재단, 2008.
 +
#*『장리석 화백 기증 작품집』, 제주도립미술관, 2009.
 +
 +
===유용한 정보===
 +
#"[http://www.daarts.or.kr/handle/11080/5966 장리석]", 예술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http://www.daljin.com/column/2617 장리석 화백의 삶과 예술]", 외부칼럼, <html><online style="color:purple">『김달진미술연구소』<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분류:민족/교열완료]][[분류:인물]]

2017년 12월 24일 (일) 20:55 기준 최신판


장리석(張利錫)
민족팀 일러 화가.png
대표명칭 장리석
한자표기 張利錫
영문명칭 Chang Ree-suk
생몰년 1916년 4월 8일-
출생지 평양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출생 및 성장

장리석은 1916년 평양 신제리에서 태어났다. 양친을 일찍 여의고 형제들과 숙부댁에서 성장했다. 상수보통학교 재학 시절부터 그림에 취미를 가졌으며 최영림, 황유엽, 박수근 등과 교우하였다. 평안남도 주최 공모전에 입상하면서 화가의 길을 결심하였고, 1942년 26세에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 출품하여 입선한 후 1944년 마지막 선전까지 잇따라 입선하면서 화가로 등단하였다.

1954년 이전

해방 후 평양에 거주하던 그는 평양미술동맹에 소속되었으며, 북한 노동성이 건립하던 금강산호텔 벽면장식에 동원되었다가 한국전쟁이 발발한 후 북진한 국군에 입대하였다. 1.4후퇴로 원산에서 부산을 거쳐 제주도로 피난하면서 가족과 이별하였다. 1954년 제주를 떠날 때까지 혹독한 전쟁기를 견디며 제주의 바다와 해녀를 비롯해 그곳에서 경험한 풍경은 그의 내면에 깊게 남아 작품의 중요한 모티브가 되었다. 단순화된 형태와 강한 명암의 대비와 원근감을 특징으로 하는 장리석의 화면을 이루는 바탕이 된 것이다.

1954년 이후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 이어 젊은 화가의 등용문이 되었던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출품으로 작가로서의 입지를 다지게 된다. 1954년 서울로 이주한 후 제3회 국전에 입선하였으며, 이후 2년 연속 「조롱과 노인」, 「소한」으로 특선을, 1958년 7회 국전에서 「그늘의 노인」으로 대통령상을 받았다.「그늘의 노인」은 장리석의 대표작으로 벤치에 앉아 졸고 있는 노인을 두터운 채색과 자유롭고 활달한 붓질로 표현하였다. 배경의 강한 빛과 그늘의 대조는 서정적 정감을 지닌 자연주의적 경향을 띠는데, 소위 ‘국전풍 인물화’로 불리는 ‘아카데믹한 화풍’의 대표적인 예로 거론된다. 이후 그는 우리나라 서양화단의 구상적 경향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사람으로서 확고하게 자리하였다. 제주의 풍경과 함께 서민의 일상 생활과 정서를 분방한 필치와 색채로 표현한 작품을 주로 그렸다.

학력

  • 1930년대 상수보통학교 졸업
  • 1937-39 일본 다마가와제국미술학교(多摩川帝國美術學校) 수학

경력

  • 한국사실작가회, 창작미술협회전 창립위원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
  • 한국미술협회 고문, 구상전 회장
  • 서라벌예술대학, 수도여자사범대학, 중앙대학교 교수

전시

  • 1940-44 주호전(珠壺展), 평양백화점
  • 1942 제21-23회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 1957-63 창작미술협회전, 공보관 외
  • 1962 마닐라‧사이공 국제전, 필리핀. 베트남. 국제자유미술전, 현대미술관
  • 1965 동경올림픽초대전, 동경
  • 1966-68 한국현대서양화 10인전, 신세계화랑
  • 1972 한국근대미술 6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3 한국현대작가 100인전, 덕수궁미술관
  • 1974-76 제10~12회 아시아현대미술전, 동경
  • 1981-86 한독미술교류전, 뒤셀도르프‧호암미술관
  • 1985 Salon de Mai, 파리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 1990 한국의 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2 한국근대미술명품전, 호암갤러리
  • 1994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1995 한국미술 5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2004 제1회 이동훈미술상 수상작가전, 대전시립미술관

수상

  • 1958 제7회 국전 대통령상
  • 1975 제24회 국전초대작가상
  • 1981 국민훈장 석류장
  • 1988 서울올림픽 문화장
  • 1992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 2003 제1회 이동훈미술상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장리석-홍주성수복 장리석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장리석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장이석-국립종축장 장리석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비원파 장리석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평양미술동맹 장리석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장리석 구상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장리석 서라벌 예술대학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장리석 여성동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장리석 대한민국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장리석 국전풍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장리석 조선미술전람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장리석 서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아카데미즘 장리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구상전 장리석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오후",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2. 진선희, "피난지 제주에서 만난 '영혼의 고향'", 『한라일보』, 2014년 3월 4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장리석미술문화재단 설립준비위,『장리석』, 장리석문화재단, 2008.
    • 『장리석 화백 기증 작품집』, 제주도립미술관, 2009.

유용한 정보

  1. "장리석",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2. "장리석 화백의 삶과 예술", 외부칼럼, 『김달진미술연구소』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