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익선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더 읽을거리)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 영조 익선관.jpg
+
|사진= 영조 익선관.jpg
|대표명칭= 익선관(翼善冠)
+
|사진출처=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
|대표명칭= 익선관
 +
|한자표기= 翼善冠  
 
|이칭별칭= 翼蟮冠
 
|이칭별칭= 翼蟮冠
|착용시대= 고려, 조선
+
|구분= 관 및 쓰개
|착용신분= 왕실
+
|착용신분=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착용연령= 성인
 
|복식구성= 모(帽), 각(角), 사변(絲辮)
 
|관련복식= [[곤룡포|곤룡포(袞龍袍)]], [[대|옥대(玉帶)]], [[화|녹피화(鹿皮靴)]], 왕의 [[상복|상복(常服)]]
 
|복식구분= 남성 예관
 
|필드수= 10
 
 
}}  
 
}}  
  
==정의==
+
=='''정의'''==
* 조선시대 왕과 왕세자의 [[상복]]인 [[곤룡포]]를 착용할 때 쓰는 .
+
조선시대 [[왕의 상복]]과 [[왕세자의 상복]]인 [[곤룡포]]를 착용할 때 쓰는 관으로, [[왕세자]]의 [[관례]]에 첫 번째로 착용하는 관이다.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내용'''==
* 왕과 왕세자의 [[상복]].
+
북주(北周)에서 기원한 [[복두|복두(幞頭)]]는 전쟁 수행에 편한 형태였다. 전쟁이 끝난 후 당나라 태종(太宗)은  복두를 참작하여 [[익선관]]을 만들었다.<ref>『唐書』, 卷24, 「車服志」 “太宗嘗以幞頭起於後周, 便武事者也. 方天下偃兵, 採古制爲翼善冠, 自服之.”</ref> 관모의 각(角)이 위로 올라와 관의 모양이 ‘善(蟮, 매미날개)’자와 같기 때문에 이름 붙여졌다. 또한 ‘오사절상건(烏紗折上巾)’이라고 하기도 하고,‘오사절각향상건(烏紗折角向上巾)’이라 하기도 하는데, 이는 관의 형태를 말로 풀어 놓은 것이다. 조선 중기 이후 2층이 높아지고 2개의 뿔의 폭도 넓어졌다가 조선 말기에 2층이 낮아지는 형태로 변하였다.<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59 익선관]", 디렉토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복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복식학회.</ref> 2층의 형태로 앞은 낮고 뒤는 높으며 모라(帽羅)<ref>세종 26년에 사여된 익선관은 ‘검은색 추사[香皂皺紗]’로 기록되었다.(『世宗實錄』26년(1444) 3월 26일:「謝恩使柳守剛齎勑書及冠服」)</ref>로 관을 싸고 뒷부분에는 2개의 뿔[角]이 위로 곧게 붙어 있다.<ref>『國朝續五禮儀補序例』,「殿下視事服圖說」, “冠以毛羅裹之, 兩大角兩小角貼後向上.”</ref>
* 왕세자 [[관례]] 시의 [[초가복]].  
 
* 왕, 왕세자, 왕세손의 익선관 형태는 모두 같음.
 
  
==복식 구성==
+
=='''지식 관계망'''==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
===관계정보===
파일:복식구성,영친왕익선관고궁.jpg| 영친왕 익선관<ref>국립고궁박물관 소장.</ref>
 
</gallery>
 
 
 
==기본 정보==
 
===어원===
 
* 관모의 각(角)이 위로 올라와 관의 모양이 ‘善(蟮, 매미날개)’자와 같기 때문에 이름 붙여짐.
 
* ‘오사절상건(烏紗折上巾)’이라고 하기도 하고, ‘오사절각향상건(烏紗折角向上巾)’이라 하기도 하는데, 이는 관의 형태를 말로 풀음.
 
 
 
===유래===
 
* 북주(北周)에서 기원한 [[복두|복두(幞頭)]]는 전쟁 수행에 편한 것으로 당나라 태종(太宗)은 천하에 전쟁이 끝난 것을 비유하여 복두를 모델로 익선관을 만들었음.<ref>『唐書』 卷24, 「車服志」 “太宗嘗以幞頭起於後周, 便武事者也. 方天下偃兵, 採古制爲翼善冠, 自服之.”</ref>
 
 
 
===기본 형태===
 
* 2층의 형태로 앞은 낮고 뒤는 높으며 모라(帽羅)<ref>세종 26년에 사여된 익선관은 ‘검은색 추사[香皂皺紗]’로 기록됨(『조선왕조실록』 「세종 26년 3월 26일」)</ref>로 관을 싸고 뒷부분에는 2개의 뿔[角]이 위로 곧게 붙어 있음.<ref>『國朝續五禮儀補序例』「殿下視事服圖說」 “冠以毛羅裹之, 兩大角兩小角貼後向上.”</ref>
 
* 조선 중기 이후 2층이 높아지고 2개의 뿔의 폭도 넓어졌다가 조선 말기에 2층이 낮아지는 형태.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파일:국조속오례의보서례 익선관.jpg| 『국조속오례의보서례(國朝續五禮儀補序例)』「전하시사복도설(殿下視事服圖說)」
 
파일:대한예전 익선관.jpg| 『대한예전(大韓禮典)』
 
</gallery>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파일:태조 익선관.jpg| 태조어진 익선관<ref>전주 경기전 소장.</ref>
 
파일:영조 익선관.jpg| 영조어진 익선관<ref>국립고궁박물관 소장.</ref>
 
파일:고종 익선관.jpg| 고종황제 익선관<ref>국립고궁박물관 소장.</ref>
 
</gallery>
 
 
 
==관련항목==
 
===문헌/회화 → 복식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항목A!!항목B!!관계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보여준다
+
| [[]] || 익선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국조오례의서례]]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국조오례의보서례]]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단의빈예장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대한예전]]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풍정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왕세자]] || 익선관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왕의 상복]] || 익선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왕세자의 상복]] || 익선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익선관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
|-
 +
| 익선관 || [[상의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시간정보===
 +
===공간정보===
  
===복식 → 복식 ===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갤러리===
!항목A!!항목B!!관계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
+
파일:복식구성,영친왕익선관고궁.jpg| 영친왕 익선관<ref>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ref>
| '''{{PAGENAME}}''' || [[상복]] || A는 B의 부분이다
+
</gallery>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PAGENAME}}''' || [[초가복]] || A는 B의 부분이다
+
파일:국조속오례의보서례 익선관.jpg| 『국조속오례의보서례(國朝續五禮儀補序例)』「전하시사복도설(殿下視事服圖說)」
|-
+
파일:대한예전 익선관.jpg| 『대한예전(大韓禮典)』
|}
+
</gallery>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파일:태조 익선관.jpg| 태조어진 익선관<ref>전주 경기전 소장.</ref>
 +
파일:고종 익선관.jpg| 고종황제 익선관<ref>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ref>
 +
</gallery>
  
===인물 → 복식 ===
+
===영상===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익선관을 쓴 왕",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https://tv.naver.com/v/331113 남성용/익선관]",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항목A!!항목B!!관계
+
<br/>
|-
 
| [[왕]]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왕세자]]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왕세손]]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참고문헌==
 
===문헌===
 
* 『[[국조속오례의|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 『[[국조속오례의보서례|국조속오례의보서례(國朝續五禮儀補序例)]]』
 
* 『[[대한예전|대한예전(大韓禮典)]]』
 
 
 
===논문===
 
* 柳喜卿(1963)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 李民周(1991) 「朝鮮時代 王族冠帽에 關한 硏究」, 한국복식학회, 服飾 vol.17
 
 
 
===사이트===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78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익선관]
 
* [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59 한국복식사전 익선관]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0440000,11 문화재청 중요민속문화재 제44호 전(傳) 고종 익선관 (傳 高宗 翼善冠)]
 
* [https://namu.wiki/w/%EC%9D%B5%EC%84%A0%EA%B4%80 나무위키 익선관]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92&contents_id=8027 네이버캐스트 곤룡포와 익선관]
 
 
 
===동영상===
 
*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남성용/익선관
 
 
<html>
 
<html>
<iframe width="300" height="170" src="http://serviceapi.rmcnmv.naver.com/flash/shareServicePlayer.nhn?vid=823912EC646871CF9FFC8873FFACC37D8104&serviceName=terms&outKey=V1268ee83265e4132b912abe36e8b915c193d599c5ea117ea4c9babe36e8b915c193d&controlBarMovable=true&jsCallable=true&isAutoPlay=false&skinName=tvcast_whit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serviceapi.rmcnmv.naver.com/flash/outKeyPlayer.nhn?vid=823912EC646871CF9FFC8873FFACC37D8104&outKey=V1248ee28365e4132b912abe36e8b915c193d48637fee15534524abe36e8b915c193d&controlBarMovable=true&jsCallable=true&isAutoPlay=false&skinName=tvcast_whit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YTN 재미있는 역사 이야기-왕의 모자 익선관에 매미가 붙은 사연?
+
YTN NEWS, "[https://www.youtube.com/watch?v=lFMH0mO6FBs&feature=youtu.be 왕의 모자 익선관에 매미가 붙은 사연? / YTN]", (방송일: 2015.07.14), ''YouTube'', 작성일: 2015년 07월 19일.
 
<html>
 
<html>
<iframe width="300" height="170" src="https://www.youtube.com/embed/lFMH0mO6FBs?list=PLKivgByS0-mqGEISQ7ALbb0A29bqZ6XHP"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lFMH0mO6FBs?list=PLKivgByS0-mqGEISQ7ALbb0A29bqZ6XHP"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아리랑TV History Trivia(Ep.1)-Ikseongwan(익선관)  
+
ARIRANG TV, "[https://www.youtube.com/watch?v=PK_Q7Brmo-Y&feature=youtu.be History Trivia(Ep.1) Ikseongwan(익선관)]", ''YouTube'', 작성일: 2015년 10월 21일.
 
<html>
 
<html>
<iframe width="300" height="170" src="https://www.youtube.com/embed/PK_Q7Brmo-Y"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PK_Q7Brmo-Y"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YTN [경북] 세종 익선관, 임진왜란 이후 것으로 밝혀져(익선관 해프닝)
+
YTN NEWS, "[https://www.youtube.com/watch?v=GA6ZlqUbCtg&feature=youtu.be (경북) 세종 익선관, 임진왜란 이후 것으로 밝혀져 / YTN]", (방송일: 2013.10.02), ''YouTube'', 작성일: 2013년 10월 02일.
 
<html>
 
<html>
<iframe width="300" height="170" src="https://www.youtube.com/embed/GA6ZlqUbCtg"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GA6ZlqUbCtg"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주석==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
=='''참고문헌'''==
[[분류:왕실]]
+
===인용 및 참조===
[[분류:남성]]
+
* [[국조속오례의|『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분류:성인]]
+
* [[국조속오례의보서례|『국조속오례의보서례(國朝續五禮儀補序例)』]]
[[분류:남성 예관]]
+
* [[대한예전|『대한예전(大韓禮典)』]]
 +
* 姜淳弟, 「冠帽 硏究(III)-通天冠․遠遊冠․梁冠을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집』, V.16 N.1,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6.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2-복식, 자수편』, 문화재청, 2006.
 +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신병주·박례경·송지원·이은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 최규순, 「『대한예전』(大韓禮典)의 복식제도 연구」, 『아세아 연구』 제 53권 1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0.
 +
* 黃能馥, 陳娟娟, 『中華歷代服飾藝術』, 中國旅遊出版社, 1999.
 +
 
 +
===더 읽을거리===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787 익선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
* "[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59 익선관]", 디렉토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복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복식학회.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8,00440000,11 고종 익선관(高宗 翼善冠)]",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https://namu.wiki/w/%EC%9D%B5%EC%84%A0%EA%B4%80 익선관]", 나무위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92&contents_id=8027 곤룡포와 익선관]", 네이버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복식]]

2020년 11월 16일 (월) 18:35 기준 최신판


익선관
(翼善冠)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대표명칭 익선관
한자표기 翼善冠
이칭별칭 翼蟮冠
구분 관 및 쓰개
착용신분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시대 왕의 상복왕세자의 상복곤룡포를 착용할 때 쓰는 관으로, 왕세자관례에 첫 번째로 착용하는 관이다.

내용

북주(北周)에서 기원한 복두(幞頭)는 전쟁 수행에 편한 형태였다. 전쟁이 끝난 후 당나라 태종(太宗)은 복두를 참작하여 익선관을 만들었다.[1] 관모의 각(角)이 위로 올라와 관의 모양이 ‘善(蟮, 매미날개)’자와 같기 때문에 이름 붙여졌다. 또한 ‘오사절상건(烏紗折上巾)’이라고 하기도 하고,‘오사절각향상건(烏紗折角向上巾)’이라 하기도 하는데, 이는 관의 형태를 말로 풀어 놓은 것이다. 조선 중기 이후 2층이 높아지고 2개의 뿔의 폭도 넓어졌다가 조선 말기에 2층이 낮아지는 형태로 변하였다.[2] 2층의 형태로 앞은 낮고 뒤는 높으며 모라(帽羅)[3]로 관을 싸고 뒷부분에는 2개의 뿔[角]이 위로 곧게 붙어 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익선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익선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의 상복 익선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상복 익선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익선관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익선관 상의원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익선관을 쓴 왕",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남성용/익선관",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YTN NEWS, "왕의 모자 익선관에 매미가 붙은 사연? / YTN", (방송일: 2015.07.14), YouTube, 작성일: 2015년 07월 19일.

ARIRANG TV, "History Trivia(Ep.1) Ikseongwan(익선관)", YouTube, 작성일: 2015년 10월 21일.

YTN NEWS, "(경북) 세종 익선관, 임진왜란 이후 것으로 밝혀져 / YTN", (방송일: 2013.10.02), YouTube, 작성일: 2013년 10월 02일.

주석

  1. 『唐書』, 卷24, 「車服志」 “太宗嘗以幞頭起於後周, 便武事者也. 方天下偃兵, 採古制爲翼善冠, 自服之.”
  2. "익선관", 디렉토리검색, 『한국복식사전』online, 한국복식학회.
  3. 세종 26년에 사여된 익선관은 ‘검은색 추사[香皂皺紗]’로 기록되었다.(『世宗實錄』26년(1444) 3월 26일:「謝恩使柳守剛齎勑書及冠服」)
  4. 『國朝續五禮儀補序例』,「殿下視事服圖說」, “冠以毛羅裹之, 兩大角兩小角貼後向上.”
  5.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6. 전주 경기전 소장.
  7.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 『국조속오례의보서례(國朝續五禮儀補序例)』
  • 『대한예전(大韓禮典)』
  • 姜淳弟, 「冠帽 硏究(III)-通天冠․遠遊冠․梁冠을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집』, V.16 N.1,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6.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2-복식, 자수편』, 문화재청, 2006.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신병주·박례경·송지원·이은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최규순, 「『대한예전』(大韓禮典)의 복식제도 연구」, 『아세아 연구』 제 53권 1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0.
  • 黃能馥, 陳娟娟, 『中華歷代服飾藝術』, 中國旅遊出版社, 1999.

더 읽을거리

  • "익선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 "익선관", 디렉토리검색, 『한국복식사전』online, 한국복식학회.
  • "고종 익선관(高宗 翼善冠)",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 "익선관", 나무위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 "곤룡포와 익선관",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