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구 서대문형무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독립운동 탄압을 위한 수용시설)
(내용)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31번째 줄: 31번째 줄:
 
===독립운동 탄압을 위한 수용시설===
 
===독립운동 탄압을 위한 수용시설===
 
1905년 [[을사조약|을사늑약]]과 1906년 조선통감부 설치로 인해 정부의 법집행의 자율성이 일제에 의해 크게 침해되었다. 조선통감부는 의병 등 반일세력을 탄압·수용할 목적으로 새로운 감옥을 만들었다. 1908년(순종 2) 10월 21일 일본인 건축가 시텐노 가즈마(天王要馬)가 설계한 경성감옥(京城監獄)이 건립된 것이다. 이 감옥은 본래 1907년 8월에 완성되었으나 군대 해산 이후 해산 군인의 의병 가담과 [[조선 순종|순종황제]] 등극 이후 시국의 불안정 등으로 인해 바로 개소되지 못했다가 1908년 10월에 개소하게 되었다.<ref>서동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513 서대문형무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05년 [[을사조약|을사늑약]]과 1906년 조선통감부 설치로 인해 정부의 법집행의 자율성이 일제에 의해 크게 침해되었다. 조선통감부는 의병 등 반일세력을 탄압·수용할 목적으로 새로운 감옥을 만들었다. 1908년(순종 2) 10월 21일 일본인 건축가 시텐노 가즈마(天王要馬)가 설계한 경성감옥(京城監獄)이 건립된 것이다. 이 감옥은 본래 1907년 8월에 완성되었으나 군대 해산 이후 해산 군인의 의병 가담과 [[조선 순종|순종황제]] 등극 이후 시국의 불안정 등으로 인해 바로 개소되지 못했다가 1908년 10월에 개소하게 되었다.<ref>서동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513 서대문형무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탄압에 비례하여 계속 확장===
 
1908년 7월 경성감옥으로 문을 연 이래, 1912년 서대문감옥, 1923년 서대문형무소로 불렸다. 해방 후에도 1946년 경성형무소, 1950년 서울형무소, 1961년 서울교도소, 1967년 서울구치소로 그 이름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ref>서동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513 서대문형무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3.1운동 이후 수감자 급증===
 
===3.1운동 이후 수감자 급증===
 
감옥이 설립된 이후 초기에는 [[허위|허위(許蔿, 1854∼1908)]], [[이강년|이강년(李康秊, 1858∼1908)]], [[이인영|이인영(李麟榮, 1867∼1909)]] 등 후기의병의 주도자들이 많이 투옥되었다. 허위 등은 모두 경성감옥에서 사형되어 순국하였다. 1908년 10월 현재 수감자 2,019명 중 내란죄는 192명, 폭동죄 44명, 강도죄 710명, 절도죄 314명, 준강도가 134명 등이었다. 일제는 1908년 경성감옥 이외에도 공주, 함흥, 평양, 해주, 대구, 진주, 광주 등 전국 7개 주요 지역에 본감옥(本監獄)을 세웠다.
 
감옥이 설립된 이후 초기에는 [[허위|허위(許蔿, 1854∼1908)]], [[이강년|이강년(李康秊, 1858∼1908)]], [[이인영|이인영(李麟榮, 1867∼1909)]] 등 후기의병의 주도자들이 많이 투옥되었다. 허위 등은 모두 경성감옥에서 사형되어 순국하였다. 1908년 10월 현재 수감자 2,019명 중 내란죄는 192명, 폭동죄 44명, 강도죄 710명, 절도죄 314명, 준강도가 134명 등이었다. 일제는 1908년 경성감옥 이외에도 공주, 함흥, 평양, 해주, 대구, 진주, 광주 등 전국 7개 주요 지역에 본감옥(本監獄)을 세웠다.
 
1919년에는 [[3.1운동]]으로 인해 수감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당시 시위관련자 1,600여 명을 포함해 3,000여 명이 투옥되었다. 특히 [[한용운|한용운(韓龍雲, 1879∼1944)]], [[유관순|유관순(柳寬順, 1902∼1920)]] 등이 독립선언과 독립만세운동으로 인해 이곳에서 옥고를 치렀다. 이밖에도 일제강점기에 [[양한묵]]·[[강우규]]·[[안창호]]·[[여운형]] 등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었던 곳이다.<ref>서동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513 서대문형무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919년에는 [[3.1운동]]으로 인해 수감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당시 시위관련자 1,600여 명을 포함해 3,000여 명이 투옥되었다. 특히 [[한용운|한용운(韓龍雲, 1879∼1944)]], [[유관순|유관순(柳寬順, 1902∼1920)]] 등이 독립선언과 독립만세운동으로 인해 이곳에서 옥고를 치렀다. 이밖에도 일제강점기에 [[양한묵]]·[[강우규]]·[[안창호]]·[[여운형]] 등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었던 곳이다.<ref>서동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513 서대문형무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시대에 따라 바뀐 이름===
 +
1908년 7월 경성감옥으로 문을 연 이래, 1912년 서대문감옥, 1923년 서대문형무소로 불렸다. 해방 후에도 1946년 경성형무소, 1950년 서울형무소, 1961년 서울교도소, 1967년 서울구치소로 그 이름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ref>서동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513 서대문형무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2018년 1월 12일 (금) 00:57 기준 최신판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서울 舊 西大門刑務所)
대표명칭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한자표기 서울 舊 西大門刑務所
이칭 서대문형무소
유형 유적건조물
시대 근대
지정번호 사적 제324호
지정일 1988년 02월 27일
소장처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101번지
관련인물 유관순,손병희



정의

대한제국기에 조선통감부가 서울 현저동에 설치한 감옥이다.

내용

간략한 역사

1908년 조선통감부가 의병 등 반일세력을 탄압·수용할 목적으로 만든 감옥이다. [1] 준공 당시는 감방 480평, 청사 80평의 규모였으나, 1916년 7, 8옥사 및 여사(女舍), 1923년 13옥사와 사형장, 1925년에 중앙사 및 10, 11, 12 옥사, 1934년에 1~6옥사 및 부속 옥사를 증축하여 확장하였다. 청사는 전동(典洞)에 있던 흥사단 건물을 이축(移築)한 것으로, 6·25전쟁 휴전 직후 현재의 자리로 다시 옮겨 관사(官舍)로 사용하였다.[2]

독립운동 탄압을 위한 수용시설

1905년 을사늑약과 1906년 조선통감부 설치로 인해 정부의 법집행의 자율성이 일제에 의해 크게 침해되었다. 조선통감부는 의병 등 반일세력을 탄압·수용할 목적으로 새로운 감옥을 만들었다. 1908년(순종 2) 10월 21일 일본인 건축가 시텐노 가즈마(天王要馬)가 설계한 경성감옥(京城監獄)이 건립된 것이다. 이 감옥은 본래 1907년 8월에 완성되었으나 군대 해산 이후 해산 군인의 의병 가담과 순종황제 등극 이후 시국의 불안정 등으로 인해 바로 개소되지 못했다가 1908년 10월에 개소하게 되었다.[3]

3.1운동 이후 수감자 급증

감옥이 설립된 이후 초기에는 허위(許蔿, 1854∼1908), 이강년(李康秊, 1858∼1908), 이인영(李麟榮, 1867∼1909) 등 후기의병의 주도자들이 많이 투옥되었다. 허위 등은 모두 경성감옥에서 사형되어 순국하였다. 1908년 10월 현재 수감자 2,019명 중 내란죄는 192명, 폭동죄 44명, 강도죄 710명, 절도죄 314명, 준강도가 134명 등이었다. 일제는 1908년 경성감옥 이외에도 공주, 함흥, 평양, 해주, 대구, 진주, 광주 등 전국 7개 주요 지역에 본감옥(本監獄)을 세웠다. 1919년에는 3.1운동으로 인해 수감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당시 시위관련자 1,600여 명을 포함해 3,000여 명이 투옥되었다. 특히 한용운(韓龍雲, 1879∼1944), 유관순(柳寬順, 1902∼1920) 등이 독립선언과 독립만세운동으로 인해 이곳에서 옥고를 치렀다. 이밖에도 일제강점기에 양한묵·강우규·안창호·여운형 등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었던 곳이다.[4]

시대에 따라 바뀐 이름

1908년 7월 경성감옥으로 문을 연 이래, 1912년 서대문감옥, 1923년 서대문형무소로 불렸다. 해방 후에도 1946년 경성형무소, 1950년 서울형무소, 1961년 서울교도소, 1967년 서울구치소로 그 이름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5]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유관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dcterms:isPartOf B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손병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dcterms:isPartOf B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한용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dcterms:isPartOf B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여운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dcterms:isPartOf B

공간정보

  •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식 전자지도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서동일, "서대문형무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서동일, "서대문형무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서동일, "서대문형무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서동일, "서대문형무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