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김은호의 친일 논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4번째 줄: 34번째 줄:
 
=='''내용'''==
 
=='''내용'''==
 
===[[김은호]]의 생애===
 
===[[김은호]]의 생애===
아명(兒名)은 김양은(金良殷)이며 아호는 ‘이당(以堂)’이다. 경기도 인천 출생으로 관립인천일어학교를 졸업한 뒤 인흥학교에서 측량을 공부했다. 측량기사의 조수로 일하고 고서를 베끼는 일을 하다가 [[이왕직]]에서 운영하는 미술학교인 [[조선서화미술회]] 강습소에 편입하여 화가가 되었다. 서화미술회 편입에는 사학자이며 서예가인 [[현채]]와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김교성]]의 도움이 있었다. 뛰어난 인물 묘사 실력으로 [[송병준]], 대한제국 [[조선 순종|순종황제]] 등의 얼굴을 그리면서 점차 이름을 얻게 되었다. 1919년 서화협회 회원이 되었다. 1920년 도일하여 [[도쿄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청강생으로 3년 동안 수학했다. 1922년에서 1930년 사이 선전에 출품하여, 5회(1·2·3·4·8회) 입선, 2회(6,7회) 특선을 기록하였다. 1933년 ‘제미전(帝美展)’에서 1등상을 수상하고 1937년의 제16회 선전에서는 창덕궁상을 받아 다음해에는 선전 참여 추천작가가 되었다. 1938년 중국으로 건너가 2년간 체류하였다. 해방 후 1949년 국전 추천작가, 1955년에서 57년에는 제4,5,6회 국전 심사위원이 되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을 지냈고 문화훈장을 수여 받았으며 3·1문화상(1965)과 예술원상(1968)도 수상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9D%80%ED%98%B8 김은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아명(兒名)은 김양은(金良殷)이며 아호는 ‘이당(以堂)’이다. 경기도 인천 출생으로 관립인천일어학교를 졸업한 뒤 인흥학교에서 측량을 공부했다. 측량기사의 조수로 일하고 고서를 베끼는 일을 하다가 [[이왕직]]에서 운영하는 미술학교인 [[조선서화미술회]] 강습소에 편입하여 화가가 되었다. 서화미술회 편입에는 사학자이며 서예가인 [[현채]]와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김교성]]의 도움이 있었다. 뛰어난 인물 묘사 실력으로 [[송병준]], 대한제국 [[조선 순종|순종황제]] 등의 초상을 그리면서 점차 이름을 얻었다. 1919년 서화협회 회원이 되었으며, 1920년 도일하여 [[도쿄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청강생으로 3년 동안 수학했다. 1922년에서 1930년 사이 선전에 출품하여, 5회(1·2·3·4·8회) 입선, 2회(6,7회) 특선을 기록하였다. 1933년 ‘제미전(帝美展)’에서 1등상을 수상하고 1937년의 제16회 선전에서는 창덕궁상을 받아 다음해에는 선전 추천작가가 되었다. 1938년 중국으로 건너가 2년간 체류하였다. 해방 후 1949년 국전 추천작가, 1955년에서 57년에는 제4,5,6회 국전 심사위원이 되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을 지냈고 문화훈장을 수여 받았으며 3·1문화상(1965)과 예술원상(1968)도 수상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9D%80%ED%98%B8 김은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김은호]]의 작품 및 화풍===
 
===[[김은호]]의 작품 및 화풍===
한국 화가로는 드물게 사실성을 중시하는 북종화 계통의 화가이다. 독특한 기법의 채화(彩畵)를 통하여 한국의 풍속화를 새로운 경향으로 이끌었다. 중국 명대(明代)의 [[구영|구영(仇英)]]이나 일본의 [[우키요에|우키요에(浮世繪)]]와도 비견할 [[사녀도|사녀도(仕女圖)]] 형식의 한국적 화풍을 수립한 화가로 평가된다. 그의 인물화들 중 특히 여인을 그린 작품들은 일본화풍의 영향을 받아 얼굴은 분을 바른 듯 희게 그리고 전체적으로 무척 화사한 느낌의 밝은 채색을 쓰고 있다. 그 외 채색화로서 산수·인물·화조 등 다양한 작품세계를 전개시켰고 조선 궁중의 도화서풍 초상화도 많이 남겼다. 작품으로 향로[[(香爐)]] 등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9D%80%ED%98%B8 김은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한국 화가로는 드물게 사실성을 중시하는 북종화 계통의 화가이다. 독특한 기법의 채화(彩畵)를 통하여 한국의 풍속화를 새로운 경향으로 이끌었다. 중국 명대(明代)의 [[구영|구영(仇英)]]이나 일본의 [[우키요에|우키요에(浮世繪)]]와도 비견할 [[사녀도|사녀도(仕女圖)]] 형식의 한국적 화풍을 수립한 화가로 평가된다. 그의 인물화들 중 특히 여인을 그린 작품들은 일본화풍의 영향을 받아 얼굴은 분을 바른 듯 희게 그리고 전체적으로 무척 화사한 느낌의 밝은 채색을 쓰고 있다. 그 외 채색화로서 산수·인물·화조 등 다양한 작품세계를 전개시켰고 조선 궁중의 도화서풍 초상화도 많이 남겼다. 작품으로 「향로[[(香爐)]]등이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9D%80%ED%98%B8 김은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김은호]]의 친일 논란===
 
===[[김은호]]의 친일 논란===
1919년 [[3·1 운동]]에 참가했다가 체포된 적도 있으나, 1920년대 후반 일본에 유학하여 일본식 채색화 기법을 익히면서 친일본적인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즐겨 그린 그림은 [[승무도]] 연작으로 대표되는 [[미인도]]와 [[신선도]], [[화조도]] 등이다. 중일 전쟁 발발 직후인 1937년에 애국금차회의 활동 모습을 담은 [[금차봉납도|「금차봉납도」]]를 제작하여 조선총독부 총독 [[미나미 지로]]에게 증정 하는 등 [[태평양전쟁]] 기간 중 미술계에서 적극적인 [[친일파]]로 활동했다. [[조선미술가협회]]의 일본화부에 참가하여 전쟁 지원을 위한 친일 미술 작품을 심사하거나 전시하는 데에도 여러 차례 참여했다 광복 후에는 명백한 친일 경력 때문에 대부분의 미술인들이 망라된 조선미술건설본부에서 제외되었으나, 이후 다시 미술계의 중심에 복귀하였다. [[김은호]]는 일찍부터 후진 양성에 관심을 보이고 [[후소회]]를 통해 제자를 많이 배출하여 동양화단에서 단단한 인맥을 갖고 있었다. 운보 [[김기창]]이 대표적인 [[김은호]]의 제자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9D%80%ED%98%B8 김은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
1919년 [[3·1 운동]]에 참가했다가 체포된 적도 있으나, 1920년대 후반 일본에 유학하여 일본식 채색화 기법을 익히면서 친일본적인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즐겨 그린 그림은 [[승무도]] 연작으로 대표되는 [[미인도]]와 [[신선도]], [[화조도]] 등이다. 중일 전쟁 발발 직후인 1937년에 애국금차회의 활동 모습을 담은 [[금차봉납도|「금차봉납도」]]를 제작하여 조선총독부 총독 [[미나미 지로]]에게 증정 하는 등 [[태평양전쟁]] 기간 중 미술계에서 적극적인 [[친일파]]로 활동했다. [[조선미술가협회]]의 일본화부에 참가하여 전쟁 지원을 위한 친일 미술 작품을 심사하거나 전시하는 데에도 여러 차례 참여했다. 광복 후에는 명백한 친일 경력 때문에 대부분의 미술인들이 망라된 조선미술건설본부에서 제외되었으나, 이후 다시 미술계의 중심에 복귀하였다. [[김은호]]는 일찍부터 후진 양성에 관심을 보이고 [[후소회]]를 통해 제자를 많이 배출하여 동양화단에서 단단한 인맥을 갖고 있었다. 운보 [[김기창]]이 대표적인 [[김은호]]의 제자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9D%80%ED%98%B8 김은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Wikimedia Foundation, Inc.</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8년 1월 9일 (화) 20:37 기준 최신판

김은호(金殷鎬)
namooeye, "김은호", 작가소개, 『namooEyemedia』online, namooEyEmedia.
대표명칭 김은호
한자표기 金殷鎬
생몰년 1892년-1979년
이칭 쓰루야마 마사시노기(鶴山殷鎬)
이당(以堂)
출생지 경기도 연천군
시대 조선-대한민국
국적 대한민국
성격 화가
유형 인물



정의

대한민국의 한국화가이다.

내용

김은호의 생애

아명(兒名)은 김양은(金良殷)이며 아호는 ‘이당(以堂)’이다. 경기도 인천 출생으로 관립인천일어학교를 졸업한 뒤 인흥학교에서 측량을 공부했다. 측량기사의 조수로 일하고 고서를 베끼는 일을 하다가 이왕직에서 운영하는 미술학교인 조선서화미술회 강습소에 편입하여 화가가 되었다. 서화미술회 편입에는 사학자이며 서예가인 현채와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김교성의 도움이 있었다. 뛰어난 인물 묘사 실력으로 송병준, 대한제국 순종황제 등의 초상을 그리면서 점차 이름을 얻었다. 1919년 서화협회 회원이 되었으며, 1920년 도일하여 도쿄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청강생으로 3년 동안 수학했다. 1922년에서 1930년 사이 선전에 출품하여, 5회(1·2·3·4·8회) 입선, 2회(6,7회) 특선을 기록하였다. 1933년 ‘제미전(帝美展)’에서 1등상을 수상하고 1937년의 제16회 선전에서는 창덕궁상을 받아 다음해에는 선전 추천작가가 되었다. 1938년 중국으로 건너가 2년간 체류하였다. 해방 후 1949년 국전 추천작가, 1955년에서 57년에는 제4,5,6회 국전 심사위원이 되었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을 지냈고 문화훈장을 수여 받았으며 3·1문화상(1965)과 예술원상(1968)도 수상했다.[1]

김은호의 작품 및 화풍

한국 화가로는 드물게 사실성을 중시하는 북종화 계통의 화가이다. 독특한 기법의 채화(彩畵)를 통하여 한국의 풍속화를 새로운 경향으로 이끌었다. 중국 명대(明代)의 구영(仇英)이나 일본의 우키요에(浮世繪)와도 비견할 사녀도(仕女圖) 형식의 한국적 화풍을 수립한 화가로 평가된다. 그의 인물화들 중 특히 여인을 그린 작품들은 일본화풍의 영향을 받아 얼굴은 분을 바른 듯 희게 그리고 전체적으로 무척 화사한 느낌의 밝은 채색을 쓰고 있다. 그 외 채색화로서 산수·인물·화조 등 다양한 작품세계를 전개시켰고 조선 궁중의 도화서풍 초상화도 많이 남겼다. 작품으로 「향로(香爐)」 등이 있다.[2]

김은호의 친일 논란

1919년 3·1 운동에 참가했다가 체포된 적도 있으나, 1920년대 후반 일본에 유학하여 일본식 채색화 기법을 익히면서 친일본적인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즐겨 그린 그림은 승무도 연작으로 대표되는 미인도신선도, 화조도 등이다. 중일 전쟁 발발 직후인 1937년에 애국금차회의 활동 모습을 담은 「금차봉납도」를 제작하여 조선총독부 총독 미나미 지로에게 증정 하는 등 태평양전쟁 기간 중 미술계에서 적극적인 친일파로 활동했다. 조선미술가협회의 일본화부에 참가하여 전쟁 지원을 위한 친일 미술 작품을 심사하거나 전시하는 데에도 여러 차례 참여했다. 광복 후에는 명백한 친일 경력 때문에 대부분의 미술인들이 망라된 조선미술건설본부에서 제외되었으나, 이후 다시 미술계의 중심에 복귀하였다. 김은호는 일찍부터 후진 양성에 관심을 보이고 후소회를 통해 제자를 많이 배출하여 동양화단에서 단단한 인맥을 갖고 있었다. 운보 김기창이 대표적인 김은호의 제자이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은호 김기창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은호 현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은호 김교성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은호 송병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은호 조선 순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헌 표준영정 김은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논개 초상 김은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순종 어진(육군대장복본) 김은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순종 어진 복원 모사도 김은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세조 어진(초본) 김은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신사임당 표준영정 김은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후소회 김은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총후미술전 김은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총후미술전 김기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은호", 『위키백과』online, Wikimedia Foundation, Inc.
  2. "김은호", 『위키백과』online, Wikimedia Foundation, Inc.
  3. "김은호", 『위키백과』online, Wikimedia Foundation, Inc.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송미숙, 「김은호 고사·도석인물화의 제작 양상」, 『미술사와 문화유산』 5,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6, 211-230쪽.
  • 웹자원
    • "김은호", 『위키백과』online, Wikimedia Foundation,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