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62번째 줄: 62번째 줄:
 
|[[정약전]] || [[이벽]]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정약전]] || [[이벽]]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정약전]] || [[이승훈]] || A는 B가 그렸다 ||  A foaf:knows B
+
|[[정약전]] || [[이승훈]]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정약전]] || [[권철신]] || A는 B가 그렸다 ||  A foaf:knows B
+
|[[정약전]] || [[권철신]]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정약전]] || [[신유박해]] || A는 B와 관련이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정약전]] || [[신유박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영남인물고]] || [[정약전]] || A는 B가 지었다 ||  A dcterms:creator B
 
|[[영남인물고]] || [[정약전]] || A는 B가 지었다 ||  A dcterms:creator B

2018년 1월 14일 (일) 22:04 기준 최신판

정약전(丁若銓)
대표명칭 정약전
한자표기 丁若銓
생몰년 1758년-1816년
본관 나주(압해)
손암(巽庵)·연경재(硏經齋)·매심(每心)
천전(天全)
시대 조선
정재원(丁載遠)
자녀 정학초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내용

가계

본관은 나주(羅州)이고 자는 천전(天全)이며 호는 손암(巽庵)·연경재(硏經齋)·매심(每心)이다. 경기도 광주(지금의 남양주군 조안면 능내리) 출신이다. 정항진(丁恒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지해(丁志諧)이고, 아버지는 진주목사 정재원(丁載遠)이다. 어머니는 해남윤씨(海南尹氏)로 윤덕열(尹德烈)의 딸이다. 다산 정약용(丁若鏞)의 형이다.[1]

생애

1790년(정조 14) 문과에 급제한 이후 벼슬이 병조좌랑에 이르렀으나 이벽·이승훈·권철신 등과 교유하면서 천주교 신앙을 굳건히 하게 되자 벼슬을 버리고 천주교 강학회와 전도에 힘썼다. 신유박해 때 전라도에 있는 섬인 신지도로 유배되었다가 황사영 백서사건이 일어나자 유배지가 흑산도로 바뀌어 그곳에서 16년간의 유배생활 끝에 죽었다.[2]

학문활동

일찍이 실사구시적 학문에 노력했고, 유배지인 흑산도에서는 서재를 차려놓고 경학을 연구하고 아동을 교육하는 한편 흑산도 일대의 어물을 연구하는 데도 힘을 쏟았다. 저서로 98년(정조 22) 왕명으로 지은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와 흑산도 일대의 어물에 관해서 다룬 우리나라 최초의 어류학 책인 『자산어보』가 전한다.[3]

자산어보

자산어보』는 그가 유배되었던 흑산도 근해의 수산생물을 실지로 조사, 채집하여, 이를 어류(魚類)·패류(貝類)·조류(藻類) 및 해금(海禽)·충수류(蟲獸類) 등으로 분류, 각 종류의 명칭·분포·형태·습성 및 이용에 관한 것까지 자세히 기록한 것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수산학 관계 서적이라 할 수 있는 명저이다.[4]

지식 관계망

  • 정약용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약전 정약용 A는 B의 형이다 A ekc:hasBrother B
정약전 이벽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정약전 이승훈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정약전 권철신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정약전 신유박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영남인물고 정약전 A는 B가 지었다 A dcterms:creator B
자산어보 정약전 A는 B가 지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각자료

주석

  1. 이원균, "정약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참조:"정약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참조:"정약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이원균, "정약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한국사사전편찬위원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참조:"정약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원균, "정약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정약전", 『두산백과』online
    • pmg지식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온라인참조:"정약전",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신병주, "정약전, 네이버 캐스트, 『인물한국사』online,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논문
    • 최성환, 「정약전의 흑산도 유배생활과 저술활동」, 『지역과 역사』제36호, 부경역사연구소, 2015, 207-245쪽.
    • 조성을, 「정약전(丁若銓)과 서교(西敎)」, 교회사연구 제44호, 한국교회사연구소, 2014, 7-61쪽.
    • 허태용, 「정약전의 자산어보연구」, 한국인물사연구 제4호, 한국인물사연구회, 2005, 225-24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