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성공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정의) |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1604년 [[임진왜란]] | + | 1604년(조선 선조 37) [[임진왜란]] 당시 [[조선 선조]]를 의주까지 모신 공을 세운 86명을 [[호성공신]]으로 책록하였다. 1등 충근정량갈성효절협력호성공신(忠勤貞亮竭誠効節協力扈聖功臣)에는 [[이항복]], [[정곤수]] 등 2명, 2등 충근정량효절협력호성공신(忠勤貞亮效節協力扈聖功臣)에는 [[신성군]], [[정원군]], [[이원익]], [[윤두수]], [[류성룡]] 등 31명, 3등 충근정량호성공신(忠勤貞亮扈聖功臣)은 [[정택]], [[이헌국]], [[유희림]], [[허준]] 등 53명이다.<ref>신명호,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7757 호성공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허목과 이원익 지식관계망''' | *'''허목과 이원익 지식관계망''' | ||
19번째 줄: | 20번째 줄: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E028/E02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 |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E059/E059.htm 허준 지식관계망]''' |
− |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E058/E058.htm 류성룡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center; width:100%" | ||
49번째 줄: | 50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이장희, "[ | + | *이장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3798 호성공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명호,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7757 호성공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명호,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7757 호성공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s://ko.wikipedia.org/wiki/%ED%98%B8%EC%84%B1%EA%B3%B5%EC%8B%A0 호성공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s://ko.wikipedia.org/wiki/%ED%98%B8%EC%84%B1%EA%B3%B5%EC%8B%A0 호성공신]",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2025년 1월 12일 (일) 19:10 기준 최신판
호성공신 (扈聖功臣) |
|
대표명칭 | 호성공신 |
---|---|
한자표기 | 扈聖功臣 |
관련개념 | 공신도상 |
정의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까지 모신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이다.
내용
1604년(조선 선조 37) 임진왜란 당시 조선 선조를 의주까지 모신 공을 세운 86명을 호성공신으로 책록하였다. 1등 충근정량갈성효절협력호성공신(忠勤貞亮竭誠効節協力扈聖功臣)에는 이항복, 정곤수 등 2명, 2등 충근정량효절협력호성공신(忠勤貞亮效節協力扈聖功臣)에는 신성군, 정원군, 이원익, 윤두수, 류성룡 등 31명, 3등 충근정량호성공신(忠勤貞亮扈聖功臣)은 정택, 이헌국, 유희림, 허준 등 53명이다.[1]
지식 관계망
- 허목과 이원익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항복 | 호성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임진왜란 | 호성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선조 | 호성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허준 | 호성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원익 | 호성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원익 공신도상 | 호성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윤두수 | 호성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류성룡 | 호성공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