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이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지식 관계망) |
(→가계)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 | 조선 중기의 문인이다. | |
==내용== | ==내용== | ||
+ | ===가계=== | ||
+ | 본관은 해남이고 자는 자서(子西)이며 호는 지암(支菴)이다. 고산 [[윤선도]]의 손자이자 공재 [[윤두서]]의 친부이다. 부친이 윤선도의 둘째아들인 의미(義美)인데, 24살에 요절하여 유복자로 태어났다. 친모도 윤이후를 낳고 얼마 되지 않아 절식으로 목숨을 끊었다. 이후 [[윤선도]]의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 ||
+ | |||
===생애=== | ===생애=== | ||
− | + | 1679년 생원(生員)이 되었고, 1689년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병조좌랑(兵曺佐郞), 정랑(正郞), 선혜청랑(宣惠廳郞), 사간원정원(司諫院正言)을 역임했으며, 1691년 함평현감(咸平縣監)을 1년 여 지낸 뒤 고향으로 돌아왔다. 다음해에 병조랑(兵曺郞)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무고를 당한 뒤에는 세상에 뜻이 없어 해남의 죽도(竹島)에 몇 칸 집을 마련해놓고 노년을 보냈으며, 이때 『죽도시첩(竹島詩帖)』을 남겼다.<ref>"[http://www.memoryhonam.co.kr/sub08/sub02_detail.php?DVP=1&seq=134 지암일기(支庵日記)]", 일기자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호남기록문화유산』<sup>online</sup></online></html>,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ref> | |
===저술활동=== | ===저술활동=== | ||
윤이후의 문집은 전하지 않고 다만 그가 8년에 걸쳐 적은 [[지암일기 | 『지암일기(支菴日記)』]]가 남아 있는데, 「일민가(逸民歌)」를 비롯한 윤이후의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ref>"[http://www.memoryhonam.co.kr/sub08/sub02_detail.php?DVP=1&seq=134 지암일기(支庵日記)]", 일기자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호남기록문화유산』<sup>online</sup></online></html>,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ref> | 윤이후의 문집은 전하지 않고 다만 그가 8년에 걸쳐 적은 [[지암일기 | 『지암일기(支菴日記)』]]가 남아 있는데, 「일민가(逸民歌)」를 비롯한 윤이후의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ref>"[http://www.memoryhonam.co.kr/sub08/sub02_detail.php?DVP=1&seq=134 지암일기(支庵日記)]", 일기자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호남기록문화유산』<sup>online</sup></online></html>,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ref> |
2019년 7월 23일 (화) 16:38 기준 최신판
윤이후(尹爾厚) | |
대표명칭 | 윤이후 |
---|---|
한자표기 | 尹爾厚 |
생몰년 | 1636-1699 |
본관 | 해남(海南) |
호 | 지암(支庵) |
자 | 재경(載卿) |
시대 | 조선 |
국적 | 조선 |
대표직함 | 사간원정원, 승문원정랑 |
부 | 윤의미(尹義美) |
정의
조선 중기의 문인이다.
내용
가계
본관은 해남이고 자는 자서(子西)이며 호는 지암(支菴)이다. 고산 윤선도의 손자이자 공재 윤두서의 친부이다. 부친이 윤선도의 둘째아들인 의미(義美)인데, 24살에 요절하여 유복자로 태어났다. 친모도 윤이후를 낳고 얼마 되지 않아 절식으로 목숨을 끊었다. 이후 윤선도의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생애
1679년 생원(生員)이 되었고, 1689년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병조좌랑(兵曺佐郞), 정랑(正郞), 선혜청랑(宣惠廳郞), 사간원정원(司諫院正言)을 역임했으며, 1691년 함평현감(咸平縣監)을 1년 여 지낸 뒤 고향으로 돌아왔다. 다음해에 병조랑(兵曺郞)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무고를 당한 뒤에는 세상에 뜻이 없어 해남의 죽도(竹島)에 몇 칸 집을 마련해놓고 노년을 보냈으며, 이때 『죽도시첩(竹島詩帖)』을 남겼다.[1]
저술활동
윤이후의 문집은 전하지 않고 다만 그가 8년에 걸쳐 적은 『지암일기(支菴日記)』가 남아 있는데, 「일민가(逸民歌)」를 비롯한 윤이후의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2]
지식 관계망
- 해남 윤씨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지암일기 | 윤이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지암일기 | 일민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일민가 | 윤이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윤선도 | 윤의미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윤의미 | 윤이후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윤이후 | 윤두서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주석
- ↑ "지암일기(支庵日記)", 일기자료,
『호남기록문화유산』online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 "지암일기(支庵日記)", 일기자료,
『호남기록문화유산』online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김경숙, 「17세기말 향촌 사대부의 생활과 여행 -海南尹氏 尹爾厚의 『支菴日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Vol.7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5.
유용한 정보
- 정윤섭, "정윤섭의 녹우당 문화 역사이야기⑥ 고산 문학성 이은 윤이후", 『해남우리신문』, 작성일: 2013년 05월 31일.
- "조선시대 은퇴한 사대부의 여행은 어땠을까", 『연합뉴스』, 작성일: 2015년 12월 19일.
- "'절식'으로 지조지킨 조선시대 여인 : 고산의 문학성 이어받은 윤이후의 어머니", 『오마이뉴스』, 작성일: 2007년 09월 29일. 조선시대 은퇴한 사대부의 여행은 어땠을까]", 『연합뉴스』, 작성일: 2015년 12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