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부여 보광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2번째 줄: 22번째 줄:
  
 
=='''내용'''==
 
=='''내용'''==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의 비문에 의하면 보광사는 1336년([[고려 충숙왕|충숙왕]] 5) [[충감|원명국사 충감(圓明國師 冲鑑)]]이 중건했다고 전한다.<ref>서오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404 부여보광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비문의 후면에는 [[임진왜란]]으로 절이 소실되자 1750년([[조선 영조|영조]] 26)에 승려들이 비문을 다시 새겼다고 전하고 있어, 적어도 보광사가 [[임진왜란]] 무렵까지는 맥을 이어왔던 것으로 추정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0980000,34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의 비문에 따르면 보광사는 1336년([[고려 충숙왕|충숙왕]] 5) [[충감|원명국사 충감(圓明國師 冲鑑)]]이 중건했다고 전한다.<ref>서오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404 부여보광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비문의 후면에는 [[임진왜란]]으로 절이 소실되자 1750년([[조선 영조|영조]] 26)에 승려들이 비문을 다시 새겼다고 전하고 있어, 적어도 보광사가 [[임진왜란]] 무렵까지는 맥을 이어왔던 것으로 추정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0980000,34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관련문화유산===
+
===관련 문화유산===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충감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45/stele_chunggam_bogwang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 [[부여 보광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 [[부여 보광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부여 보광사]] || [[충감]]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부여 보광사]] || [[충감]]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부여 보광사지]] || [[부여 보광사]] || A는 B의 터이다 || A ekc:renovator B
+
|[[부여 보광사지]] || [[부여 보광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51번째 줄: 57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가상현실===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파일:
 +
</gallery>
  
 
=='''주석'''==
 
=='''주석'''==
61번째 줄: 73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1월 27일 (월) 01:42 기준 최신판

부여 보광사
(扶餘 普光寺)
대표명칭 부여 보광사
한자 扶餘 普光寺
주소 충남 부여군 임천면 가신리 618-1번지 외 19필지
관리자 부여군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있었던 절.

내용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의 비문에 따르면 보광사는 1336년(충숙왕 5) 원명국사 충감(圓明國師 冲鑑)이 중건했다고 전한다.[1] 비문의 후면에는 임진왜란으로 절이 소실되자 1750년(영조 26)에 승려들이 비문을 다시 새겼다고 전하고 있어, 적어도 보광사가 임진왜란 무렵까지는 맥을 이어왔던 것으로 추정한다.[2]

관련 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와 충감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부여 보광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부여 보광사 충감 A는 B가 중창하였다 A ekc:renovator B
부여 보광사지 부여 보광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36년 충감부여 보광사를 중창하였다
1995년 부여 보광사지가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1. 서오선, "부여보광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 서오선, "부여보광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