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성 표준영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2017년 11월 26일 (일) 21:34 판
김대성 표준영정 | |
한자명칭 | 金大城 標準影幀 |
---|---|
작가 | 김창락 |
제작시기 | 1985년 |
지정연도 | 1986년 |
소장처 | 국립현대미술관 |
유형 | 표준영정 |
재질 | 캔버스에 유화 |
크기(세로×가로) | 100×80㎝ |
목차
정의
신라시대의 재상 김대성(金大城, 700-774)의 표준영정이다.
내용
표준영정의 제작 및 보관
이 작품은 신라시대의 재상(宰相)인 김대성(金大城)의 표준영정으로, 1985년 문원 김창락(文園 金昌洛, 1924-1989)이 그렸다. 1986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표준영정에 묘사된 모습
좌측면향의 반신상이다. 앞쪽으로 굽어진 건(巾)을 쓰고 붉은 의복에 허리띠를 두른 채 두 손을 가지런히 모은 모습이다. 캔버스에 유화를 사용하여 제작한 이 초상화는 사용된 재료만 다를 뿐, 구도나 묘사의 방법에 있어 전통 초상화의 형식을 그대로 옮기고 있다. 인물의 개성이 뚜렷이 드러나는 얼굴 묘사와 간결하면서도 사실적인 의습(衣褶)의 표현이 돋보인다.[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대성 표준영정 | 표준영정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김대성 표준영정 | 김대성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김대성 표준영정 | 국립현대미술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대성 표준영정 | 김창락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85년 | 김창락이 김대성 표준영정을 제작하였다. |
1986년 | 김대성 표준영정이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431198 | 127.020427 |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한호 표준영정을 소장하고 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최영 표준영정 [2]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김대성 영정",
『소장품』online , 국립현대미술관. - 김태호, "구석구석 과학사(1) 과학자의 초상은 우리의 자화상이었다", 『주간경향』, 2017년 2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