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합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용뇌소합원(龍腦蘇合元))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물품정보
 
{{물품정보
|사진=
+
|사진= chinese_medicine.png
|사진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사진출처=  
 
|대표명칭= 소합원
 
|대표명칭= 소합원
 
|한자표기= 蘇合元
 
|한자표기= 蘇合元
13번째 줄: 13번째 줄:
 
|관련장소=
 
|관련장소=
 
|관련물품=
 
|관련물품=
|관련유물유적=
+
|관련유물유적= [[언해납약증치방]], [[동의보감]]
 
}}
 
}}
 
<!--
 
<!--
 
|중심기사= 언해납약증치방
 
|중심기사= 언해납약증치방
 
-->
 
-->
 
 
=='''정의'''==
 
=='''정의'''==
토사광란에 처방하는
+
토사곽란에 처방하는 약이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0347&cid=50826&categoryId=50826 소합원(蘇合元)]",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0347&cid=50826&categoryId=50826 소합원(蘇合元)]", 문화원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
  
 
=='''내용'''==
 
=='''내용'''==
 +
===소합향원(蘇合香元)===
 +
====처방====
 +
기(氣)로 인한 모든 질병을 다스리는 데 사용하는 처방으로 송대(宋代) 『[[화제방|화제방(和劑方)]]』·『[[증주태평혜민화제국방|증주태평혜민화제국방(增註太平惠民和劑局方)]]』에 수재되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동의보감]]』 내경편(內景篇)의 기(氣)와 잡병편(雜病篇)의 사수(邪祟), 『[[제중신편|제중신편(濟衆新編)]]』·『[[방약합편|방약합편(方藥合篇)]]』 등 여러 의서에 수록되어 있다. 처방은 백출(白朮)·목향(木香)·침향(沈香)·사향(麝香)·정향(丁香)·안식향(安息香)·백단향(白檀香)·주사(朱砂)·수비(水飛)·서각(犀角)·가자피(訶子皮)·향부자(香附子)·필발(蓽撥) 각 두 냥(兩), 소합유(蘇合油)·유향(乳香)·용뇌(龍腦) 각 한 냥을 가루로 하여 안식향고(安息香膏)로 이겨서 꿀환을 만들되 매 한 냥 당 40알을 만들고 1회에 2, 3알씩을 맑은 물·온수·온주(溫酒) 또는 생강을 끓인 물에 복용한다.<ref> 육창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351 소합향원(蘇合香元)]",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효능====
 +
이 약제의 효능은 모든 기담(氣痰)과 중기(中氣)·상기(上氣)·기역(氣逆)·기울(氣鬱)·기통(氣痛) 등의 증세를 다스린다고 한다.<ref> 육창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351 소합향원(蘇合香元)]",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토사광란===
 
===토사광란===
 
토사곽란(吐瀉癨亂)은 한의학 용어로, 위로는 토하고 아래로는 설사하면서 배가 질리고 아픈 병. <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9527200  토사곽란(吐瀉癨亂)]",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사전』<sup>online</sup></online></html>. </ref>
 
토사곽란(吐瀉癨亂)은 한의학 용어로, 위로는 토하고 아래로는 설사하면서 배가 질리고 아픈 병. <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9527200  토사곽란(吐瀉癨亂)]",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사전』<sup>online</sup></online></html>. </ref>
 
+
-->
===소합향원(蘇合香元)===
 
기(氣)로 인한 모든 질병을 다스리는 데 사용하는 처방으로 송대(宋代) 『[[화제방|화제방(和劑方)]]』·『[[증주태평혜민화제국방|증주태평혜민화제국방(增註太平惠民和劑局方)]]』에 수재되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동의보감]]』 내경편(內景篇)의 기(氣)와 잡병편(雜病篇)의 사수(邪祟), 『[[제중신편|제중신편(濟衆新編)]]』·『[[방약합편|방약합편(方藥合篇)]]』 등 여러 의서에 수록되어 있다. 처방은 백출(白朮)·목향(木香)·침향(沈香)·사향(麝香)·정향(丁香)·안식향(安息香)·백단향(白檀香)·주사(朱砂)·수비(水飛)·서각(犀角)·가자피(訶子皮)·향부자(香附子)·필발(蓽撥) 각 두 냥(兩), 소합유(蘇合油)·유향(乳香)·용뇌(龍腦) 각 한 냥을 가루로 하여 안식향고(安息香膏)로 이겨서 꿀환을 만들되 매 한 냥으로 40알을 만들고 1회에 2, 3알씩을 맑은 물·온수·온주(溫酒) 또는 생강을 끓인 물에 복용한다. 이 약제의 효능은 모든 기담(氣痰)과 중기(中氣)·상기(上氣)·기역(氣逆)·기울(氣鬱)·기통(氣痛) 등의 증세를 다스린다고 한다.<ref> 육창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351 소합향원(蘇合香元)]",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사향소합원(麝香蘇合元)===
 
===사향소합원(麝香蘇合元)===
38번째 줄: 41번째 줄:
 
<ref> 육창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351 소합향원(蘇合香元)]",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ref> 육창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351 소합향원(蘇合香元)]",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
{{연계자원정보
 +
|연계자원1=[[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연계자원2=
 +
|연계자원3=
 +
}}
 +
 
 +
==지식 관계망==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4/A20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34/A034.htm 언해납약증치방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소합원]]||[[언해납약증치방]]||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소합원]] || [[언해납약증치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화제방]] || [[청심원]]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증주태평혜민화제국방]] || [[청심원]]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동의보감]] || [[청심원]]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제중신편]] || [[청심원]]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방약합편]] || [[청심원]]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소합원]]||[[소합향원]]||A는 B와 유사하다||
+
| [[소합원]] || [[소합향원]]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소합원]]||[[사향소합원]]||A는 B를 포함한다||
+
| [[소합원]] || [[사향소합원]]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소합원]]||[[용뇌소합원]]||A는 B를 포함한다||
+
| [[소합원]] || [[용뇌소합원]]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56번째 줄: 8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사료
 
*사료
 
**『증주태평혜민화제국방(增註太平惠民和劑局方)』
 
**『증주태평혜민화제국방(增註太平惠民和劑局方)』
61번째 줄: 88번째 줄:
 
**『제중신편(濟衆新編)』
 
**『제중신편(濟衆新編)』
 
**『정다산소아과비방(丁茶山小兒科秘方)』
 
**『정다산소아과비방(丁茶山小兒科秘方)』
 
+
-->
 +
===더 읽을 거리===
 
*논문
 
*논문
** 이영일,「소합향원과 statin 병용 투여 시 체중 증가 억제 효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
** 이영일, 「소합향원과 statin 병용 투여 시 체중 증가 억제 효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 김인자,「MPTP로 유도된 Parkinson’s disease 동물 모델을 이용한 蘇合香元의 신경보호 효과 및 그 작용 기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
** 김인자, 「MPTP로 유도된 Parkinson's disease 동물 모델을 이용한 蘇合香元의 신경보호 효과 및 그 작용 기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 이지훈,「蘇合香元이 저산소증 유발 배양 대뇌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
** 이지훈, 「蘇合香元이 저산소증 유발 배양 대뇌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 최은정,「蘇合香元이 實驗的 腦梗塞 흰쥐의 局所腦血流量 및 梗塞 면적에 미치는 影響」, 학위논문(석사)-- 東國大學校 大學院: 韓醫學科 1996
+
** 최은정, 「蘇合香元이 實驗的 腦梗塞 흰쥐의 局所腦血流量 및 梗塞 면적에 미치는 影響」,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석사학위논문, 1996.
  
 
[[분류:한글고문서]] [[분류:물품]]
 
[[분류:한글고문서]] [[분류:물품]]

2017년 11월 25일 (토) 03:49 기준 최신판

소합원(蘇合元)
Chinese medicine.png
대표명칭 소합원
한자표기 蘇合元
유형 의학/약학, 과학
시대 조선말기
관련유물유적 언해납약증치방, 동의보감


정의

토사곽란에 처방하는 약이다. [1]

내용

소합향원(蘇合香元)

처방

기(氣)로 인한 모든 질병을 다스리는 데 사용하는 처방으로 송대(宋代) 『화제방(和劑方)』·『증주태평혜민화제국방(增註太平惠民和劑局方)』에 수재되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동의보감』 내경편(內景篇)의 기(氣)와 잡병편(雜病篇)의 사수(邪祟), 『제중신편(濟衆新編)』·『방약합편(方藥合篇)』 등 여러 의서에 수록되어 있다. 처방은 백출(白朮)·목향(木香)·침향(沈香)·사향(麝香)·정향(丁香)·안식향(安息香)·백단향(白檀香)·주사(朱砂)·수비(水飛)·서각(犀角)·가자피(訶子皮)·향부자(香附子)·필발(蓽撥) 각 두 냥(兩), 소합유(蘇合油)·유향(乳香)·용뇌(龍腦) 각 한 냥을 가루로 하여 안식향고(安息香膏)로 이겨서 꿀환을 만들되 매 한 냥 당 40알을 만들고 1회에 2, 3알씩을 맑은 물·온수·온주(溫酒) 또는 생강을 끓인 물에 복용한다.[2]

효능

이 약제의 효능은 모든 기담(氣痰)과 중기(中氣)·상기(上氣)·기역(氣逆)·기울(氣鬱)·기통(氣痛) 등의 증세를 다스린다고 한다.[3]

사향소합원(麝香蘇合元)

소합향원의 방문에서 용뇌를 빼면 사향소합원(麝香蘇合元)이 된다. [4]

용뇌소합원(龍腦蘇合元)

소합향원의 방문에서 용뇌를 넣으면 용뇌소합원(龍腦蘇合元)이 된다. [5]


연계 자원 보러 가기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 관계망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소합원 언해납약증치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제방 청심원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증주태평혜민화제국방 청심원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동의보감 청심원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제중신편 청심원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방약합편 청심원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소합원 소합향원 A는 B와 유사하다 A owl:sameAs B
소합원 사향소합원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소합원 용뇌소합원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주석

  1. "소합원(蘇合元)", 문화원형 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육창수, "소합향원(蘇合香元)",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육창수, "소합향원(蘇合香元)",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육창수, "소합향원(蘇合香元)",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육창수, "소합향원(蘇合香元)",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영일, 「소합향원과 statin 병용 투여 시 체중 증가 억제 효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 김인자, 「MPTP로 유도된 Parkinson's disease 동물 모델을 이용한 蘇合香元의 신경보호 효과 및 그 작용 기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 이지훈, 「蘇合香元이 저산소증 유발 배양 대뇌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 최은정, 「蘇合香元이 實驗的 腦梗塞 흰쥐의 局所腦血流量 및 梗塞 면적에 미치는 影響」,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석사학위논문,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