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선암사 원통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지식 관계망)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5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유물유적정보 |
− | + | |사진= BHST_Seonamsa_wontongjeon.jpg | |
− | |사진= |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순천 선암사 원통전 | + | |대표명칭= 순천 선암사 원통전 |
− | |영문명칭=Wontongjeon Hall of Seonamsa Temple, Suncheon | + | |한자표기= 順天 仙岩寺 圓通殿 |
− | + | |영문명칭= Wontongjeon Hall of Seonamsa Temple, Suncheon | |
|이칭= | |이칭= | ||
− | |지정번호=전남유형문화재 제169호 | + | |유형= |
− | |지정일=1990년 | + | |시대= 조선시대 |
− | | | + | |지정번호= 전남유형문화재 제169호 |
− | | | + | |지정일= 1990년 2월 24일 |
− | | | + | |소장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
− | | | + | |경도= 127.331175 |
− | | | + | |위도= 34.996552 |
− | + | |수량= | |
− | + | |관련인물= [[의천]], [[경잠]], [[경준]], [[문정]], [[해붕]], [[눌암]], [[익종]] | |
− | | | + | |관련단체= |
− | | | + | |관련장소= [[순천 선암사]] |
+ | |관련물품= | ||
+ | |관련유물유적= | ||
}} | }} | ||
− | |||
=='''정의'''== | =='''정의'''== | ||
− | +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순천 선암사|선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ref>천득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99 선암사원통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내용'''== | =='''내용'''== | ||
− | 원통전은 | + | ===원통전의 역사와 특징=== |
− | + | 원통전은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봉안한 전각이며 보통 관음전(觀音殿)<ref>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ref>이라고도 한다. [[순천 선암사|선암사]]의 원통전은 1660년 [[경잠|경잠(敬岑)]]·[[경준|경준(敬俊)]]·[[문정|문정(文正)]]이 처음 지었고, 1698년 [[약휴|약휴대사(若休大師)]]가 고쳐지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690000,36&flag=Y 선암사원통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그후 1824년에 [[해붕|해붕(海鵬)]], [[눌암|눌암(訥庵)]], [[익종|익종(益宗)]]이 중수했다. 또한 [[운악돈각|운악돈각(雲岳頓覺)]]선사의 유촉으로 1000여 원을 회사하여 1923년에 중수하였다.<ref>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283쪽.</ref> | |
− | |||
− | |||
− | + | 아담한 크기의 건물로 사찰건축에서 보기 드문 T자형 평면을 갖추고 있어 주목 받는 건물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690000,36&flag=Y 선암사원통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 ===현판=== |
+ | 조선 [[조선 정조|정조]]가 후사가 없자 [[눌암|눌암대사]]에게 100일 기도를 부탁하여 [[조선 순조|순조]] 임금을 얻게 되었는데, 후에 [[조선 순조|순조]]가 그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人(인), 天(천)’, ‘大福田(대복전)’이라는 친필 현판을 하사하였다. 이 현판은 현재 건물의 내부에 걸려 있다.<ref>천득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99 선암사원통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순천 선암사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100/temple_Seona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순천 선암사]] || A는 B에 있다 ||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순천 선암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경잠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경잠]]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경준]]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문정]]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약휴]]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해붕]] || A는 B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 ||
+ | |- |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눌암]] || A는 B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 ||
+ | |- |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익종]] || A는 B가 중건하였다|| A ekc:renovator B | ||
+ | |- |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운악돈각]]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 |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조선 정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조선 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조선 정조]] || [[조선 순조]]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 ===갤러리===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 |
+ | 파일:BHST_Seonamsa_wontongjeon.jpg|원통전 전면 | ||
+ | 파일:BHST_Seonamsa_wontongjeon_roof.jpg|원통전의 겹처마 지붕 | ||
+ | 파일:BHST_Seonamsa wontongjeon door.jpg|꽃살문<ref>사진출처: 비니버미, "[http://blog.naver.com/bnbmoh/70164448320 하동화개벚꽃 만개, 선암사매화 1주일뒤, 옥룡동백 4월내내]", 『네이버 블로그 - 독서같은 여행 비니버미집』, 작성일: 2013년 03월 30일.</ref> | ||
+ | 파일:BHST_Seonamsa_wontongjeon-1.jpg|전면부 처마의 우물천장<ref>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만든 천장.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36130&cid=55761&categoryId=55761 우물천장]",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파일:BHST_Seonamsa_wontongjeon_gungchang-1.png|꽃살문 아래의 궁창<ref>"[http://www.cha.go.kr/dic/selectDictionView.do?mn=NS_04_02_05&id=235 궁창]",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ref>사진출처: 들찔레, "[http://blog.naver.com/rock0190/220160323150 달, 토끼, 계수나무 - 선암사 원통전 궁창]", 『네이버 블로그 - 바람에게 길을 묻다』, 작성일: 2014년 10월 24일.</ref> | ||
+ | 파일:BHST_Seonamsa_wontongjeon_board.jpg|대복전 현판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 | + | =='''참고문헌'''== |
+ | *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 ||
+ | *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36130&cid=55761&categoryId=55761 우물천장]",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천득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799 선암사원통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690000,36&flag=Y 선암사원통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 "[http://www.cha.go.kr/dic/selectDictionView.do?mn=NS_04_02_05&id=235 궁창]",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 | [[분류:문화유산]] | ||
+ | [[분류:승탑/완료]] |
2017년 11월 25일 (토) 02:04 기준 최신판
순천 선암사 원통전 (順天 仙岩寺 圓通殿) |
|
대표명칭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
한자표기 | 順天 仙岩寺 圓通殿 |
영문명칭 | Wontongjeon Hall of Seonamsa Temple, Suncheon |
시대 | 조선시대 |
지정번호 | 전남유형문화재 제169호 |
지정일 | 1990년 2월 24일 |
소장처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
관련인물 | 의천, 경잠, 경준, 문정, 해붕, 눌암, 익종 |
관련장소 | 순천 선암사 |
|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1]
내용
원통전의 역사와 특징
원통전은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봉안한 전각이며 보통 관음전(觀音殿)[2]이라고도 한다. 선암사의 원통전은 1660년 경잠(敬岑)·경준(敬俊)·문정(文正)이 처음 지었고, 1698년 약휴대사(若休大師)가 고쳐지었다.[3] 그후 1824년에 해붕(海鵬), 눌암(訥庵), 익종(益宗)이 중수했다. 또한 운악돈각(雲岳頓覺)선사의 유촉으로 1000여 원을 회사하여 1923년에 중수하였다.[4]
아담한 크기의 건물로 사찰건축에서 보기 드문 T자형 평면을 갖추고 있어 주목 받는 건물이다.[5]
현판
조선 정조가 후사가 없자 눌암대사에게 100일 기도를 부탁하여 순조 임금을 얻게 되었는데, 후에 순조가 그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人(인), 天(천)’, ‘大福田(대복전)’이라는 친필 현판을 하사하였다. 이 현판은 현재 건물의 내부에 걸려 있다.[6]
지식 관계망
- 순천 선암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순천 선암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경잠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경준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문정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약휴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해붕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눌암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익종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운악돈각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조선 정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조선 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정조 | 조선 순조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천득염, "선암사원통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
- ↑ 선암사원통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283쪽.
- ↑ 선암사원통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천득염, "선암사원통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사진출처: 비니버미, "하동화개벚꽃 만개, 선암사매화 1주일뒤, 옥룡동백 4월내내", 『네이버 블로그 - 독서같은 여행 비니버미집』, 작성일: 2013년 03월 30일.
- ↑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만든 천장.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온라인 참조: "우물천장",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궁창", 용어사전,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사진출처: 들찔레, "달, 토끼, 계수나무 - 선암사 원통전 궁창", 『네이버 블로그 - 바람에게 길을 묻다』, 작성일: 2014년 10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