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함녕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 유물정보
+
{{유물유적정보
|사진=한글팀 함녕전.jpg
+
|사진=한글팀 덕수궁 함녕전 전경jpg.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KS_01_02_01&VdkVgwKey=12,08200000,11&queryText=* 함녕전]", 문화유산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대표명칭= 덕수궁 함녕전
+
|대표명칭=덕수궁 함녕전
 
|영문명칭=
 
|영문명칭=
|한자=德壽宮 咸寧殿
+
|한자표기=德壽宮 咸寧殿
 
|지정번호=보물  제820호
 
|지정번호=보물  제820호
|지정일=1985.01.08
+
|지정일=1980년 01월 08일
|분류=유적건조물
+
|이칭=
 +
|유형=유적건조물
 +
|시대=조선
 
|소장처=
 
|소장처=
|경도=
+
|경도=37.566009
|위도=
+
|위도=126.975114
|소유자=국유
 
|관리자=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시대=조선
 
|제작시기=
 
 
|수량=
 
|수량=
}}
+
|관련인물=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
}} <!-- |소유자=국유
 +
|관리자=문화재청 덕수궁관리소 -->
 
==정의==
 
==정의==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 내부에 위치한 전각이다.
  
 
==내용==
 
==내용==
함녕전은 고종황제가 거처하던 황제의 생활공간(침전)이다. 광무 1년(1897)에 지었는데 광무 8년(1904) 수리공사 중 불에 타, 지금 있는 건물은 그해 12월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이곳은 순종에게 왕위를 물려 준 뒤 1919년 1월 21일 고종황제가 돌아가신 곳이기도 하다. 함녕전은 조선 후기 마지막 왕실 침전 건물로 건축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8200000,11 덕수궁 함녕전]", 카테고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함녕전(咸寧殿)은 고종황제가 거처하던 황제의 생활공간인 침전이다. 1897년 (광무 1)에 지었는데 1904년(광무 8) 수리공사 중 불에 타, 지금 있는 건물은 그해 12월에 다시 지은 것이다. 이곳은 [[조선 순종|순종]]에게 왕위를 물려 준 뒤 1919년 1월 21일 [[조선 고종|고종황제]]가 돌아가신 곳이기도 하다. 함녕전은 조선 후기 마지막 침전 건물로 건축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8200000,11 덕수궁 함녕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규모 및 외관===
 
===규모 및 외관===
규모는 앞면 3칸·옆면 4칸이며 서쪽 뒤로 4칸을 덧붙여 평면이 ㄱ자형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인데 위쪽에 여러 가지 조각을 장식해 놓고 있다. 더욱이 지붕 모서리 부분에 조각들(잡상)을 나열한 점은 침전 건축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특이한 구성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는 새부리 모양으로 간결하게 장식한 익공 양식이며 구름과 덩굴문양으로 꾸몄다. 건물의 천장은 천장 속을 가리고 있는 우물 정(井)자 모양의 천장으로 꾸몄고, 네면 모든 칸에 벽을 두르지 않고 창을 달아 놓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8200000,11 덕수궁 함녕전]", 카테고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규모는 앞면 3칸·옆면 4칸이며 서쪽 뒤로 4칸을 덧붙여 전체는 ㄱ자형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인데 합각에 화문장처럼 아름다운 문양을 새겨 넣었다. 지붕 귀마루에 잡상을 나열한 점은 침전 건축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특이한 구성이다. 처마는 겹처마로 새부리 모양으로 짜 넣어 간결하게 장식한 익공 양식이며 구름과 덩굴문양으로 꾸몄다. 건물의 천장은 밖에서 볼 때 살짝 가려지는 우물 정(井)자 모양의 천장으로 꾸몄고, 네 면 모든 칸에 벽을 두르지 않고 창을 달아 놓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8200000,11 덕수궁 함녕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외부 환경의 변화===
 +
한편 함녕전 주변에는 담과 행각으로 둘러싸여 있었는데 정문인 광명문(光明門)을 비롯해 치중문 응춘문 선양문 돈신문 안창문 청희문 봉양문 등 출입문과 정이재 양이재 등 건물도 있었으나 일제시기 헐려 없어지거나 왜곡 변질되고 만다. 함녕전의 정문인 광명문은 덕수궁에 이왕직(李王職)미술관이 세워지면서 1938년 현재의 중화문 남서쪽으로 옮겨진다. 함녕전은 정면 9간 측면 4간 겹처마 팔작지붕이다.<ref>"함녕전",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통건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네이버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3229&cid=49270&categoryId=49270 함녕전]",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왕실 의례장소로서의 함녕전===
 +
한편 함녕전은 각종 왕실의례의 주 무대로서, [[조선 고종 | 고종]]의  후궁인 [[순원황후]]의 책봉식, 고종의 탄신 50주년 축하 연회([[고종황제신축진연]]), [[조선 순종 | 순종]]과 [[순정황후]]의 가례 등이 이곳에서 진행되었다. 순원황후의 사망한 곳도 여기이다.
 +
 
 +
==지식 관계망==
 +
* '''홀기류 한글고문서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14/A21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덕수궁 함녕전]] || [[순헌황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순헌황후]] || [[순비책봉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고종황제신축진연]] ||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덕수궁 함녕전]] || [[고종황제신축진연]]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kc:isPerformedAt B
 +
|-
 +
|[[덕수궁]] || [[덕수궁 함녕전]] || A는 B가 있는 곳이다 || A dcterms:hasPart B
 +
|-
 +
|[[덕수궁 함녕전]]  || [[순종 순정황후 가례]]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kc:isPerformedAt B
 +
|-
 +
|[[순종 순정황후 가례]]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700" height="4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A316/S001/S001.htm "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A316/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
<gallery>
 +
파일:한글팀 덕수궁 함녕전 외부.jpg | 함녕전 비석
 +
파일:한글팀 덕수궁 함녕전 현판.jpg | 함녕전 현판
 +
</gallery>
 +
 
 +
==주석==
 +
<references/>
 +
==참고문헌==
 +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민원, 「조일본의 침략과 대한제국의 경운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22,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4
  
===외부 환경의 변화===
 
한편 함녕전 주변에는 담과 행각으로 둘러싸여 있었는데 정문인 광명문(光明門)을 비롯해 치중문 응춘문 선양문 돈신문 안창문 청희문 봉양문 등 출입문과 정이재 양이재 등 건물도 있었으나 일제시기 헐려 없어지거나 왜곡 변질되고 만다. 함녕전의 정문인 광명문은 덕수궁에 이왕직(李王職)미술관이 세워지면서 1938년 현재의 중화문 남서쪽으로 옮겨진다. 함녕전은 정면 9간 측면 4간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현재 보물 820호로 지정되어 있다.<ref>"함녕전",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통건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네이버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3229&cid=49270&categoryId=49270 함녕전]",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분류:한글고문서]]
 
[[분류:한글고문서]]
 
[[분류 : 문화유산]]
 
[[분류 : 문화유산]]

2017년 11월 25일 (토) 01:07 기준 최신판

덕수궁 함녕전
(德壽宮 咸寧殿)
"함녕전", 문화유산정보, 『문화재청』online.
대표명칭 덕수궁 함녕전
한자표기 德壽宮 咸寧殿
유형 유적건조물
시대 조선
지정번호 보물 제820호
지정일 1980년 01월 08일
관련유물유적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정의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 내부에 위치한 전각이다.

내용

함녕전(咸寧殿)은 고종황제가 거처하던 황제의 생활공간인 침전이다. 1897년 (광무 1)에 지었는데 1904년(광무 8) 수리공사 중 불에 타, 지금 있는 건물은 그해 12월에 다시 지은 것이다. 이곳은 순종에게 왕위를 물려 준 뒤 1919년 1월 21일 고종황제가 돌아가신 곳이기도 하다. 함녕전은 조선 후기 마지막 침전 건물로 건축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1]

규모 및 외관

규모는 앞면 3칸·옆면 4칸이며 서쪽 뒤로 4칸을 덧붙여 전체는 ㄱ자형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인데 합각에 화문장처럼 아름다운 문양을 새겨 넣었다. 또 지붕 귀마루에 잡상을 나열한 점은 침전 건축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특이한 구성이다. 처마는 겹처마로 새부리 모양으로 짜 넣어 간결하게 장식한 익공 양식이며 구름과 덩굴문양으로 꾸몄다. 건물의 천장은 밖에서 볼 때 살짝 가려지는 우물 정(井)자 모양의 천장으로 꾸몄고, 네 면 모든 칸에 벽을 두르지 않고 창을 달아 놓았다.[2]

왕실 의례장소로서의 함녕전

한편 함녕전은 각종 왕실의례의 주 무대로서, 고종의 후궁인 순원황후의 책봉식, 고종의 탄신 50주년 축하 연회(고종황제신축진연), 순종순정황후의 가례 등이 이곳에서 진행되었다. 순원황후의 사망한 곳도 여기이다.

지식 관계망

  • 홀기류 한글고문서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덕수궁 함녕전 순헌황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헌황후 순비책봉의궤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고종황제신축진연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덕수궁 함녕전 고종황제신축진연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A ekc:isPerformedAt B
덕수궁 덕수궁 함녕전 A는 B가 있는 곳이다 A dcterms:hasPart B
덕수궁 함녕전 순종 순정황후 가례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A ekc:isPerformedAt B
순종 순정황후 가례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덕수궁 함녕전",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2. "덕수궁 함녕전",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민원, 「조일본의 침략과 대한제국의 경운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22,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