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송미술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주석)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간송 [[전형필]]이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미술관이다.<ref>"[http://kansong.org/museum/museum_info/ 미술관 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간송미술문화재단』<sup>online</sup></online></html>, 간송미술문화재단</ref> | + | 간송 [[전형필]]이 1939년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미술관이다.<ref>"[http://kansong.org/museum/museum_info/ 미술관 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간송미술문화재단』<sup>online</sup></online></html>, 간송미술문화재단</ref> |
==내용== | ==내용== | ||
===보화각의 건립=== | ===보화각의 건립=== | ||
− | [[전형필]]은 1934년부터 서울 성북동의 [[선잠단]]의 북쪽에 | + | [[전형필]]은 1934년부터 서울 성북동의 [[선잠단]]의 북쪽에 땅을 구입하여 미술관의 건립을 기획한다. 이 곳에 오세창이 지은 [[북단장|‘북단장(北壇莊)’]]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전형필]]이 수집한 고서화와 골동품들을 보관하였다. 간송은 최초의 근대 건축가 [[박길룡]]에게 서구식 미술관의 건립을 의뢰하였고 1939년 [[보화각|'보화각']]으로 건립되었다. 1939년 7월 [[오세창]]이 [[보화각]]의 상량식에 참가하여 글을 짓기도 한다.<ref>"[http://kansong.org/museum/museum_info/ 미술관 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간송미술문화재단』<sup>online</sup></online></html>, 간송미술문화재단.</ref> |
===간송미술관과 한국민족미술연구소=== | ===간송미술관과 한국민족미술연구소=== | ||
− | 1962년 [[전형필]]이 사망하자, | + | 1962년 [[전형필]]이 사망하자, 아들인 [[전성우]]와 전영우(全暎雨)가 간송의 유지를 받들어 사업을 이어나갔다. 1966년 [[김상기]], [[이홍직]], [[최순우]], [[김원룡]] 등을 모아 한국미술사 연구를 위한 [[한국민족미술연구소|한국민족미술연구소(韓國民族美術硏究所)]]를 설립한다. 이와 함께 [[보화각]]은 [[간송미술관|'간송미술관']]으로 이름을 바꾸어 미술품의 보전·전시 업무를 맡게 되었다. 1971년부터 해마다 봄 가을에 수장품을 대중에게 공개하고 있다. <ref>"[http://kansong.org/museum/museum_info/ 미술관 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간송미술문화재단』<sup>online</sup></online></html>, 간송미술문화재단.</ref> |
=== 주요 소장품=== | === 주요 소장품=== | ||
− | 2011년 현재 『[[훈민정음 해례본|훈민정음]]』·[[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신윤복필 풍속도 화첩]]』등 국보 | + | 2011년 현재 『[[훈민정음 해례본|훈민정음]]』·[[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신윤복필 풍속도 화첩]]』등 국보 12점과 보물 10점 등의 국가지정문화재가 |
+ | 소장되어 있고, 서울시 지정문화재 4점이 등록되었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539 간송미술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전시 방향의 변화=== | ===전시 방향의 변화=== | ||
− | 현재 전시회는 회화·서예·도예·서화로 나뉘어 매년 봄·가을 2주일씩 2회 개최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539 간송미술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현재 전시회는 회화·서예·도예·서화로 나뉘어 매년 봄·가을 2주일씩 2회 개최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539 간송미술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00년대 들어 대중적 인지도와 관심이 증가하자 미술관 건물과 시설에 부담이 가기 시작했다. [[한국민족미술연구소]]와 [[간송미술관]]의 연구활동 및 일반 공개 전시회가 변화해야할 시점에 도달했다는 판단으로 2013년 8월 [[간송미술문화재단]]이 출범하였다. 2014년부터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등 의 외부기관에서도 전시를 여는 등 그 활동의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ref>"[http://kansong.org/museum/museum_info/ 미술관 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간송미술문화재단』<sup>online</sup></online></html>, 간송미술문화재단.</ref> |
− | 2000년대 대중적 인지도와 관심이 증가하자 미술관 건물과 시설에 부담이 가기 시작했다. | ||
− | <ref>"[http://kansong.org/museum/museum_info/ 미술관 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간송미술문화재단』<sup>online</sup></online></html>, 간송미술문화재단.</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훈민정음 해례본 발견 및 관련 사건들에 관한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02/A00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89번째 줄: | 94번째 줄: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 + | [[분류:한글고문서]] | |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장소 | + | [[분류:장소]] |
− |
2017년 11월 25일 (토) 00:59 기준 최신판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 |
대표명칭 | 간송미술관 |
---|---|
한자표기 | 澗松美術館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97-1 |
관련인물 | 전형필 |
관련단체 | 간송미술문화재단 |
관련유물유적 | 훈민정음 해례본 |
|
목차
정의
간송 전형필이 1939년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미술관이다.[1]
내용
보화각의 건립
전형필은 1934년부터 서울 성북동의 선잠단의 북쪽에 땅을 구입하여 미술관의 건립을 기획한다. 이 곳에 오세창이 지은 ‘북단장(北壇莊)’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전형필이 수집한 고서화와 골동품들을 보관하였다. 간송은 최초의 근대 건축가 박길룡에게 서구식 미술관의 건립을 의뢰하였고 1939년 '보화각'으로 건립되었다. 1939년 7월 오세창이 보화각의 상량식에 참가하여 글을 짓기도 한다.[2]
간송미술관과 한국민족미술연구소
1962년 전형필이 사망하자, 아들인 전성우와 전영우(全暎雨)가 간송의 유지를 받들어 사업을 이어나갔다. 1966년 김상기, 이홍직, 최순우, 김원룡 등을 모아 한국미술사 연구를 위한 한국민족미술연구소(韓國民族美術硏究所)를 설립한다. 이와 함께 보화각은 '간송미술관'으로 이름을 바꾸어 미술품의 보전·전시 업무를 맡게 되었다. 1971년부터 해마다 봄 가을에 수장품을 대중에게 공개하고 있다. [3]
주요 소장품
2011년 현재 『훈민정음』·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신윤복필 풍속도 화첩』등 국보 12점과 보물 10점 등의 국가지정문화재가
소장되어 있고, 서울시 지정문화재 4점이 등록되었다. [4]
전시 방향의 변화
현재 전시회는 회화·서예·도예·서화로 나뉘어 매년 봄·가을 2주일씩 2회 개최된다.[5] 2000년대 들어 대중적 인지도와 관심이 증가하자 미술관 건물과 시설에 부담이 가기 시작했다. 한국민족미술연구소와 간송미술관의 연구활동 및 일반 공개 전시회가 변화해야할 시점에 도달했다는 판단으로 2013년 8월 간송미술문화재단이 출범하였다. 2014년부터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등 의 외부기관에서도 전시를 여는 등 그 활동의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6]
지식 관계망
- 훈민정음 해례본 발견 및 관련 사건들에 관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간송미술관 | 훈민정음 해례본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간송미술관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간송미술관 |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간송미술관 | 전형필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간송미술관 | 박길룡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간송미술관 | 북단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전형필 | 오세창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전성우 | 전형필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전성우 | 김상기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전성우 | 이홍직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전성우 | 최순우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전성우 | 김원룡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전형필 | 김상기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전형필 | 이홍직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전형필 | 최순우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전형필 | 김원룡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38년 | 전형필이 간송미술관을 건립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936194 | 126.9946618 | 간송미술관에 훈민정음 해례본이 소장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