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태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
|사진=joseon_king_mid.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태종
 
|대표명칭= 태종
18번째 줄: 18번째 줄:
 
|대표저서=
 
|대표저서=
 
|대표직함= 왕
 
|대표직함= 왕
|배우자= [[원경왕후 민씨]]
+
|배우자= [[원경왕후]]
 
|부= [[조선 태조]]
 
|부= [[조선 태조]]
 
|모= [[신의왕후 한씨]]
 
|모= [[신의왕후 한씨]]
|자녀=  [[정순공주]],[[경정공주]], [[경안공주]],  [[양녕대군 이제]], [[효령대군 이보]], [[정선공주]], [[성녕대군 이종]], [[조선 세종]]
+
|자녀=  [[정순공주]],[[경정공주]], [[경안공주]],  [[양녕대군]], [[효령대군]], [[정선공주]], [[성녕대군]], [[조선 세종]]
 
|전임자= [[조선 정종]]
 
|전임자= [[조선 정종]]
 
|후임자= [[조선 세종]]
 
|후임자= [[조선 세종]]
29번째 줄: 29번째 줄:
 
|유형=
 
|유형=
 
}}
 
}}
 
 
==정의==
 
==정의==
[[조선 태종]]은 조선의 제3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은 1400~1418년이다.
+
조선의 제3대 국왕이다.  
  
 
==내용==
 
==내용==
 
===출생과 성장===
 
===출생과 성장===
[[조선 태종]]은 본명이 이방원(李芳遠), 자(字)는 유덕(遺德)이다. 1367년(공민왕 16) 5월 16일 신묘일에 함흥부(咸興府) 귀주(歸州)에서 [[조선 태조|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 사이에서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조선 태종]]은 1383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당시 같이 급제한 [[김한로]]는 후일 [[양녕대군 이제]]의 장인이 된다.<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1 태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방원(芳遠)이고 자(字)는 유덕(遺德)이다. 1367년(공민왕 16) 5월 16일 신묘일에 함흥부(咸興府) 귀주(歸州)에서 [[조선 태조|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사이에서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1383년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당시 같이 급제한 [[김한로]]는 후일 [[양녕대군]]의 장인이 된다.<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1 태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조선 건국에 참여===
 
===조선 건국에 참여===
1391년 [[조선 태조]]가 낙상을 당하였는데, [[정몽주]]가 [[조준]], [[정도전]], [[남은]], [[조박]], [[윤소종]], [[남재]] 등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조선 태종]]은 [[벽란도]]에 있었던 [[조선 태조]]를 찾아가 빨리 개성으로 가도록 재촉하였다. [[정도전]], [[조준]] 등의 죄를 묻는 탄핵 상소는 [[조선 태조]]를 조준하기 시작였고, 결국 [[조선 태종]]은 머뭇거리는 태조를 대신하여 [[정몽주]]를 살해하였다.1392년 7월, 이성계는 [[고려 공양왕]]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1 태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1391년 [[조선 태조]]가 낙상을 당하였는데, [[정몽주]]가 [[조준]], [[정도전]], [[남은]], [[조박]], [[윤소종]], [[남재]] 등을 유배시키고 [[이성계]]까지 제거하고자 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이방원]]은 [[벽란도]]에 있었던 [[이성계]]를 찾아가 빨리 개성으로 가도록 재촉하였다. [[정도전]], [[조준]] 등의 죄를 묻는 탄핵 상소는 [[이성계|조선 태조]]를 조준하기 시작하였고, 결국 [[이방원]]은 주저하는 [[이성계]]를 대신하여 [[정몽주]]를 살해하였다. 1392년 7월, 이성계는 [[고려 공양왕]]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1 태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제1차 왕자의 난]]===
 
===[[제1차 왕자의 난]]===
조선이 개국된 후 [[조선 태종]]은 정안군(靖安君)에 책봉되었다. [[조선 태종]]은 개국공신(開國功臣)에도, 세자로도 책봉되지 못했다. 1398년 진도(陣圖) 연습과 요동 정벌을 계기로 휘하의 사병을 빼앗길 위기에 처하고 [[조선 태조]]가 병석에 눕자, 8월 26일 [[정도전]], [[남은]], [[심효생]] 등과 세자인 [[이방석]], 그 형인 [[이방번]] 등을 일거에 제거하는 난을 일으켰다. 이를 계기로 실권을 장악한 [[조선 태종]]은 세자 추대를 사양하고, 장자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 형인 [[조선 정종|영안군(永安君)]]을 세자로 세웠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1 태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조선이 개국된 후 [[이방원]]은 정안군(靖安君)에 책봉되었다. 왕비인 강비와 정도전 등의 견제로 방원은 개국공신(開國功臣), 세자도 되지 못하였다. 1398년 진도(陣圖) 연습과 요동 정벌을 계기로 휘하의 사병을 빼앗길 위기에 처하고 [[조선 태조]]가 병석에 눕자, 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 8월 26일 [[정도전]], [[남은]], [[심효생]] 등과 세자인 [[이방석]], 그 형인 [[이방번]] 등을 일거에 제거하고 실권을 장악한 [[이방원]]은 세자 추대를 사양하고, 장자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 형인 [[조선 정종|영안군(永安君)]]을 세자로 세웠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1 태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제2차 왕자의 난]]===
 
===[[제2차 왕자의 난]]===
[[조선 정종]]은 적처 소생의 아들이 없었다. 1400년 왕위 계승을 노린 [[회안군 이방간]]과 [[조선 태종]] 사이의 대결이 벌어진다. [[조선 태종]]이 승리하였고 2월 1일에 [[하윤]]의 주청에 따라 [[조선 태종]]은 세자로 책봉되었다. 약 9개월 [[조선 정종]]은 [[조선 태종]]에게 선위하였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1 태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조선 2대 왕 [[조선 정종|정종]]은 적처 소생의 아들이 없었다. 1400년(정종 2) 왕위 계승을 노린 [[회안군 이방간]]이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으나 방원은 이를 진압하고 방간을 유배시켰다. 2월 1일에 하윤의 주청에 따라 방원이 왕세제로 책봉되었다. 약 9개월 후인 1400년 11월 [[조선 정종|정종]]의 선위로 조선 제 3대 왕으로 등극하였다.<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1 태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관제의 정비 : 육조직계제의 실시===
 
===관제의 정비 : 육조직계제의 실시===
[[조선 태종]]은 즉위 전 [[도평의사사]]를 폐지하고 [[의정부]]를 설립한 데 이어, 1401년 문하부(門下府)를 혁파하여 이를 의정부에 귀속시켜 [[의정부서사제]]를 정립하였다. 1405년에는 이를 개정하여 육조의 기능과 권한을 강화하였다. 육조에 각각 세 개의 속사(屬司)를 설치하고, [[의정부]]·[[사헌부]]·[[사간원]]·[[승정원]]· [[한성부]] 등을 제외한 90여 관아를 육조에 분속시켰다. 1414년에 [[육조직계제]]를 시행하여 왕권과 중앙집권을 크게 강화하였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1 태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즉위 전 [[도평의사사]]를 폐지하고 [[의정부]]를 설립한 데 이어, 1401년 문하부(門下府)를 혁파하여 이를 [[의정부]]에 귀속시켜 [[의정부서사제]]를 정립하였다. 1405년에는 이를 개정하여 육조의 기능과 권한을 강화하였다. 육조에 각각 세 개의 속사(屬司)를 설치하고, [[의정부]]·[[사헌부]]·[[사간원]]·[[승정원]]· [[한성부]] 등을 제외한 90여 관아를 육조에 분속시켰다. 1414년에 [[육조직계제]]를 시행하여 왕권과 중앙집권을 크게 강화하였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1 태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한성 재건설 : 창덕궁===
 
===한성 재건설 : 창덕궁===
[[조선 태종]]은 즉위 후 [[조선 태조]]와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데, 이를 위한 가장 큰 당면과제로 대두된 것이 한성으로 재천도하는 것이었다. 1404년에 천도를 결정하고 1405년에 실행하였다. 그러나 태종은 [[경복궁]]에 들어가지 않고 [[창덕궁]]을 건설하였다. [[경복궁]]에는 [[경복궁 경회루|경회루]]를 새로 지었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1 태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즉위 후 [[조선 태조]]와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개경에서 한성으로 재천도를 결정하고 1405년에 실행하였다. 그러나 태종은 형제들 간의 피비린내가 밴 [[경복궁]]을 마다하고 이궁으로 [[창덕궁]]을 건설하였다.[[경복궁]]에는 [[경회루]]를 새로 짓고 법궁으로 삼았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1 태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불교와 국가의례 정비===
 
===불교와 국가의례 정비===
1405년 한양 천도 후 대대적인 불교 개혁에 착수하였다. 국가가 지정한 사원 이외의 사원전(寺院田)과 노비를 환수하여 국가에 귀속시켰다. 불교를 7개의 종파로 축소시켰으며, 1415년에는 [[연등회]]를 폐지하였다. 한편 국가 의례도 정비되었다. 이 결과가 [[국조오례의]] 등으로 계승되었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1 태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1405년 한양 천도 후 대대적인 불교 개혁에 착수하였다. 국가가 지정한 사원 이외의 사원전(寺院田)과 노비를 환수하여 국가에 귀속시켰다. 불교를 7개의 종파로 축소시켰으며, 1415년에는 [[연등회]]를 폐지하였다. 한편으로는 가례를 비롯한 국가 의례를 정비하였다. 이는 세종 대의 [[국조오례의|『국조오례의』]] 등으로 계승되었다. <ref>이광렬,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1 태종(조선) (世宗)]",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훈민정음 창제와 그 시험작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10/A21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5/A005.htm 용비어천가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조선 태종]] || [[조선 태조]]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조선 태종]] || [[조선 태조]]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조선 태종]] || [[신의왕후 한씨]]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A ekc:hasMother B
+
| [[조선 태종]] || [[신의왕후]]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A ekc:hasMother B
 
|-
 
|-
 
| [[조선 태종]] || [[조선 세종]]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조선 태종]] || [[조선 세종]]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조선 태종]] || [[양녕대군 이제]]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조선 태종]] || [[양녕대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조선 태종]] || [[효령대군 이보]]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조선 태종]] || [[효령대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조선 태종]] || [[성녕대군 이종]]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조선 태종]] || [[성녕대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조선 태종]] || [[정순공주]]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조선 태종]] || [[정순공주]]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82번째 줄: 88번째 줄:
 
| [[조선 정종]] || [[조선 태종]]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조선 정종]] || [[조선 태종]]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
| [[조선 태종]] || [[원경왕후 민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조선 태종]] || [[원경왕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조선 태종]] || [[김한로]]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조선 태종]] || [[김한로]]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92번째 줄: 98번째 줄:
 
| [[경복궁 경회루]] || [[조선 태종]]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경복궁 경회루]] || [[조선 태종]]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조선 태종]] || [[정몽주]]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정몽주]] || [[조선 태종]] || A는 B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 A edm:isRelatedTo B
 
|-
 
|-
 
| [[조선 태종]] || [[정도전]]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태종]] || [[정도전]]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100번째 줄: 106번째 줄:
 
| [[조선 태종]] || [[제2차 왕자의 난]]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태종]] || [[제2차 왕자의 난]]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용비어천가]] || [[조선 태종]]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128번째 줄: 135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더 읽을 거리===
 +
*논문
 +
**김경애, 「태종의 집권과 국정운영」,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박홍규·이종두, 「정치가 태종의 사정(私情)과 왕권(王權)」, 『정치사상연구』, Vol.13, No.1, 한국정치사상학회, 2007, 7-30쪽.
 +
**심승구, 「조선 태종대 왕권강화와 그 역사적 의미」, 『교양교육연구소 논문집』, Vol.-, No.4, 한국체육대학교, 1999, 75-84쪽.
 +
 
 
*단행본
 
*단행본
 
**정두희, 『왕조의 얼굴 : 조선왕조의 건국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0.
 
**정두희, 『왕조의 얼굴 : 조선왕조의 건국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0.
 
**이한우, 『태종, 조선의 길을 열다』, 해냄, 2005.
 
**이한우, 『태종, 조선의 길을 열다』, 해냄, 2005.
*논문
+
 
**김경애, 「태종의 집권과 국정운영」,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박홍규·이종두, 「정치가 태종의 사정(私情)과 왕권(王權)」, 『정치사상연구』13, 한국정치사상학회, 2007.
 
**심승구, 「조선 태종대 왕권강화와 그 역사적 의미」, 『교양교육연구소 논문집』4, 한국체육대학교, 1999.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이상곤,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18072 정도전 죽인 이방원, 진심은 이랬다]",  『프레시안』, 작성일:2014년 06월 18일.
+
*신문
 +
**이상곤,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18072 정도전 죽인 이방원, 진심은 이랬다]",  『프레시안』, 작성일: 2014년 06월 18일.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이혜영|1]]
 

2017년 11월 25일 (토) 00:50 기준 최신판

태종(太宗)
Joseon king mid.png
대표명칭 태종
한자표기 太宗
생몰년 1367-1422
본관 전주
이칭 이방원
시호 공정예철성렬성덕신공문무광효대왕(恭定睿哲成烈聖德神功文武光孝大王)
유덕(遺德)
사망지 경복궁 근정전
시대 조선
대표직함
배우자 원경왕후
조선 태조
신의왕후 한씨
자녀 정순공주,경정공주, 경안공주, 양녕대군, 효령대군, 정선공주, 성녕대군, 조선 세종
전임자 조선 정종
후임자 조선 세종
능묘 헌릉


정의

조선의 제3대 국왕이다.

내용

출생과 성장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방원(芳遠)이고 자(字)는 유덕(遺德)이다. 1367년(공민왕 16) 5월 16일 신묘일에 함흥부(咸興府) 귀주(歸州)에서 태조 이성계신의왕후 사이에서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1383년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당시 같이 급제한 김한로는 후일 양녕대군의 장인이 된다.[1]

조선 건국에 참여

1391년 조선 태조가 낙상을 당하였는데, 정몽주조준, 정도전, 남은, 조박, 윤소종, 남재 등을 유배시키고 이성계까지 제거하고자 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이방원벽란도에 있었던 이성계를 찾아가 빨리 개성으로 가도록 재촉하였다. 정도전, 조준 등의 죄를 묻는 탄핵 상소는 조선 태조를 조준하기 시작하였고, 결국 이방원은 주저하는 이성계를 대신하여 정몽주를 살해하였다. 1392년 7월, 이성계는 고려 공양왕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2]

제1차 왕자의 난

조선이 개국된 후 이방원은 정안군(靖安君)에 책봉되었다. 왕비인 강비와 정도전 등의 견제로 방원은 개국공신(開國功臣)도, 세자도 되지 못하였다. 1398년 진도(陣圖) 연습과 요동 정벌을 계기로 휘하의 사병을 빼앗길 위기에 처하고 조선 태조가 병석에 눕자, 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 8월 26일 정도전, 남은, 심효생 등과 세자인 이방석, 그 형인 이방번 등을 일거에 제거하고 실권을 장악한 이방원은 세자 추대를 사양하고, 장자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 형인 영안군(永安君)을 세자로 세웠다. [3]

제2차 왕자의 난

조선 2대 왕 정종은 적처 소생의 아들이 없었다. 1400년(정종 2) 왕위 계승을 노린 회안군 이방간이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으나 방원은 이를 진압하고 방간을 유배시켰다. 2월 1일에 하윤의 주청에 따라 방원이 왕세제로 책봉되었다. 약 9개월 후인 1400년 11월 정종의 선위로 조선 제 3대 왕으로 등극하였다.[4]

관제의 정비 : 육조직계제의 실시

즉위 전 도평의사사를 폐지하고 의정부를 설립한 데 이어, 1401년 문하부(門下府)를 혁파하여 이를 의정부에 귀속시켜 의정부서사제를 정립하였다. 1405년에는 이를 개정하여 육조의 기능과 권한을 강화하였다. 육조에 각각 세 개의 속사(屬司)를 설치하고, 의정부·사헌부·사간원·승정원· 한성부 등을 제외한 90여 관아를 육조에 분속시켰다. 1414년에 육조직계제를 시행하여 왕권과 중앙집권을 크게 강화하였다. [5]

한성 재건설 : 창덕궁

즉위 후 조선 태조와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개경에서 한성으로 재천도를 결정하고 1405년에 실행하였다. 그러나 태종은 형제들 간의 피비린내가 밴 경복궁을 마다하고 이궁으로 창덕궁을 건설하였다.경복궁에는 경회루를 새로 짓고 법궁으로 삼았다. [6]

불교와 국가의례 정비

1405년 한양 천도 후 대대적인 불교 개혁에 착수하였다. 국가가 지정한 사원 이외의 사원전(寺院田)과 노비를 환수하여 국가에 귀속시켰다. 불교를 7개의 종파로 축소시켰으며, 1415년에는 연등회를 폐지하였다. 한편으로는 가례를 비롯한 국가 의례를 정비하였다. 이는 세종 대의 『국조오례의』 등으로 계승되었다. [7]

지식 관계망

  • 훈민정음 창제와 그 시험작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선 태종 조선 태조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조선 태종 신의왕후 A는 어머니 B가 있다 A ekc:hasMother B
조선 태종 조선 세종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조선 태종 양녕대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조선 태종 효령대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조선 태종 성녕대군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조선 태종 정순공주 A는 딸 B를 두었다 A ekc:hasDaughter B
조선 태종 경정공주 A는 딸 B를 두었다 A ekc:hasDaughter B
조선 태종 경안공주 A는 딸 B를 두었다 A ekc:hasDaughter B
조선 태종 정선공주 A는 딸 B를 두었다 A ekc:hasDaughter B
조선 정종 조선 태종 A는 형제 B가 있다 A ekc:hasBrother B
조선 태종 원경왕후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조선 태종 김한로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조선 태종 육조직계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창덕궁 조선 태종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경복궁 경회루 조선 태종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정몽주 조선 태종 A는 B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태종 정도전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태종 제1차 왕자의 난 A는 B를 주도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태종 제2차 왕자의 난 A는 B를 주도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용비어천가 조선 태종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83년 조선 태종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1392년 조선 태종정몽주를 살해하였다.
1398년 조선 태종이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정도전, 남은, 이방석, 이방번 등을 죽였다.
1400년 조선 태종이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회안군 이방간을 죽였다.
1400년 조선 태종이 즉위하였다.
1405년 조선 태종창덕궁을 건립하였다.
1414년 조선 태종이 육조직계제를 시행하였다.
1415년 조선 태종이 연등회를 폐지하였다.

주석

  1. 이광렬, "태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이광렬, "태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3. 이광렬, "태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4. 이광렬, "태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5. 이광렬, "태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6. 이광렬, "태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7. 이광렬, "태종(조선) (世宗)",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김경애, 「태종의 집권과 국정운영」,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박홍규·이종두, 「정치가 태종의 사정(私情)과 왕권(王權)」, 『정치사상연구』, Vol.13, No.1, 한국정치사상학회, 2007, 7-30쪽.
    • 심승구, 「조선 태종대 왕권강화와 그 역사적 의미」, 『교양교육연구소 논문집』, Vol.-, No.4, 한국체육대학교, 1999, 75-84쪽.
  • 단행본
    • 정두희, 『왕조의 얼굴 : 조선왕조의 건국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0.
    • 이한우, 『태종, 조선의 길을 열다』, 해냄, 2005.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