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용주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참고문헌)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관련장소= | |관련장소= | ||
|관련물품= | |관련물품= | ||
− | |관련유물유적=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 + | |관련유물유적=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화성 용주사 범종]], [[화성 용주사 금동향료]], [[화성 용주사 청동향로]], [[화성 용주사 상량문]], [[화성 용주사 전적수사본]], [[화성 용주사 병풍]], [[화성 용주사 대웅전후불탱화]], [[화성 용주사 불설부모은중경판]] |
}} | }} | ||
==정의== | ==정의== | ||
− | + | [[조선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경기도 화성에 세운 절이다. | |
+ | |||
==내용== | ==내용== | ||
===[[화성 용주사]]의 창건=== | ===[[화성 용주사]]의 창건=== | ||
− | 본디 | + | 본디 이 자리에는 854(문성왕 16)에 [[염거화상]]이 창건한 갈양사가 있었다. 970년(광종 21)에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수륙재를 개설하는 등 청정하고 이름 높은 도량이었으나 [[병자호란]]때 소실된 후 폐사가 되었다. [[조선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인 [[현륭원]]을 화산으로 옮기면서 절을 다시 일으켜 원찰로 삼았다. 낙성식날 밤 정조가 꿈을 꾸니 용(龍)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여 절 이름을 용주사(龍珠寺)라 했다고 전한다. |
<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531&out_service=Y 용주사(화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ref> | <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531&out_service=Y 용주사(화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ref> | ||
+ | |||
===경내 문화재=== | ===경내 문화재=== | ||
− | [[조선 정조]]는 용주사를 중창할 때 [[ | + | [[조선 정조]]는 용주사를 중창할 때 [[부모은중경|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을 목판에 새겨 보존하도록 명을 내리고 당대 제일의 화가 [[김홍도]]에게 맡겨 아름답게 꾸미도록 했다. 50여 목판과 함께 대웅전 옆 잔디밭에는 10개항에 이르는 부모은중경을 새긴 탑비가 우뚝 서 있다. 대웅전 후불탱화는 김홍도의 지휘로 그려진 걸작이고 정조대왕이 심었다는 대웅전 앞 회양목은 수령이 무려 200여년이 넘는 천연기념물 제264호이다. 범종각의 동종 또한 상원사 동종, 국립경주박물관의 에밀레종 등과 더불어 손꼽히는 걸작으로 역시 국보 제120호이다. <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5531&out_service=Y 용주사(화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21/A02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화성 용주사]] || [[ | + | | [[화성 용주사 청동향로]]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 | |- | ||
− | | [[화성 용주사]] || [[ | + | | [[화성 용주사 전적수사본]]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 | |- | ||
− | | [[ | + | | [[화성 용주사 상량문]]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 | |- | ||
− | | [[ | + | | [[화성 용주사 불설부모은중경판]]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 | |- | ||
− | | [[화성 용주사 | + | | [[화성 용주사 병풍]]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 | |- | ||
− | | [[화성 용주사 | + | | [[화성 용주사 범종]]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 | |- | ||
− | | [[화성 용주사 | + | | [[화성 용주사 대웅전후불탱화]]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 | |- | ||
− | | [[화성 용주사 | + | | [[화성 용주사 금동향로]]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 | |- | ||
− | | [[ | + | | [[사도세자]]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 ||
− | | [[화성 용주사 | + | | [[화성 용주사]] || [[조선 정조]]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 ||
− | | [[ | + | | [[현륭원]] || [[화성 용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A는 B의 언해본이다 || A edm:isDerivativeOf B |
+ | |- | ||
+ |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화성 용주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1790년 || [[조선 정조]]가 [[화성 용주사]]를 중창하였다. |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file:한글팀 화성 용주사 01.JPG|화성 용주사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66번째 줄: | 90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 | *최승관,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7/menu/25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7&bbIdx=2165&brdType=R 용주사]", 감성포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2011년 09월 29일. | + | *최승관,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7/menu/25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7&bbIdx=2165&brdType=R 용주사]", 감성포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 2011년 09월 29일. |
−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분류:문화유산]] | [[분류:문화유산]] | ||
− |
2017년 11월 25일 (토) 00:50 기준 최신판
화성 용주사 (華城 龍珠寺) |
|
대표명칭 | 화성 용주사 |
---|---|
한자표기 | 華城 龍珠寺 |
시대 | 조선 |
관련인물 | 조선 정조, 사도세자 |
관련유물유적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화성 용주사 범종, 화성 용주사 금동향료, 화성 용주사 청동향로, 화성 용주사 상량문, 화성 용주사 전적수사본, 화성 용주사 병풍, 화성 용주사 대웅전후불탱화, 화성 용주사 불설부모은중경판 |
목차
정의
조선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경기도 화성에 세운 절이다.
내용
화성 용주사의 창건
본디 이 자리에는 854(문성왕 16)에 염거화상이 창건한 갈양사가 있었다. 970년(광종 21)에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수륙재를 개설하는 등 청정하고 이름 높은 도량이었으나 병자호란때 소실된 후 폐사가 되었다. 조선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인 현륭원을 화산으로 옮기면서 절을 다시 일으켜 원찰로 삼았다. 낙성식날 밤 정조가 꿈을 꾸니 용(龍)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여 절 이름을 용주사(龍珠寺)라 했다고 전한다. [1]
경내 문화재
조선 정조는 용주사를 중창할 때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을 목판에 새겨 보존하도록 명을 내리고 당대 제일의 화가 김홍도에게 맡겨 아름답게 꾸미도록 했다. 50여 목판과 함께 대웅전 옆 잔디밭에는 10개항에 이르는 부모은중경을 새긴 탑비가 우뚝 서 있다. 대웅전 후불탱화는 김홍도의 지휘로 그려진 걸작이고 정조대왕이 심었다는 대웅전 앞 회양목은 수령이 무려 200여년이 넘는 천연기념물 제264호이다. 범종각의 동종 또한 상원사 동종, 국립경주박물관의 에밀레종 등과 더불어 손꼽히는 걸작으로 역시 국보 제120호이다. [2]
지식 관계망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화성 용주사 청동향로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화성 용주사 전적수사본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화성 용주사 상량문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화성 용주사 불설부모은중경판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화성 용주사 병풍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화성 용주사 범종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화성 용주사 대웅전후불탱화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화성 용주사 금동향로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사도세자 | 화성 용주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화성 용주사 | 조선 정조 | A는 B가 중창하였다 | A ekc:renovator B |
현륭원 | 화성 용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A는 B의 언해본이다 | A edm:isDerivativeOf B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화성 용주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790년 | 조선 정조가 화성 용주사를 중창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최승관, "용주사", 감성포토,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 2011년 09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