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옥(문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한글고문서_인물기사]]
+
{{인물정보
 +
|사진=한글팀 일러 조선중년문관.png
 +
|사진출처=
 +
|대표명칭=이옥
 +
|한자표기=李沃
 +
|영문명칭=
 +
|본관=연안(延安)
 +
|이칭=
 +
|시호=
 +
|호=박천(博泉)
 +
|자=문약(文若)
 +
|생년=1641
 +
|몰년=1698
 +
|출생지=
 +
|사망지=
 +
|시대=
 +
|국적=
 +
|대표저서=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
|대표직함=
 +
|배우자=
 +
|부=이관징(李觀徵)
 +
|모=
 +
|자녀=
 +
|전임자=
 +
|후임자=
 +
|상훈=
 +
|능묘=
 +
|성격=
 +
|유형=
 +
}}
 +
==정의==
 +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
==내용==
 +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문약(文若), 호는 박천(博泉)이다. 이창정(李昌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부(師傅) 이심(李襑)이다. 아버지는 [[이관징|이관징(李觀徵)]]이다.<ref>최진옥,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223 이옥]",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활동===
 +
1660년(조선 현종 원년) 즉위증광시(卽位增廣試)에 병과로 급제하고, 사관(史官)을 거쳐 1668년 예조좌랑, 1670년(현종 11) 사간원 정언·사헌부지평이 되었다. 1675년(숙종 원년) [[홍문관]]에 들어갔으며 그 뒤 헌납·이조좌랑·응교·사간·우부승지·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
1678년 [[예송논쟁 | 예송(禮訟)]]에 의하여 시정된 복제(服制)의 고묘(告廟)와 [[송시열 | 송시열(宋時烈)]] 등의 오례주장자(誤禮主張者)의 처벌문제로 논란이 일었다. 남인이 강경파 청남(淸南)과 온건파 탁남(濁南)으로 분열되었다. 이옥은 아버지와 함께 허목(許穆)·윤휴(尹鑴)를 중심으로 한 청남에 속하여 송시열의 극형을 주장하다가, 탁남의 영수 [[허적 | 허적(許積)]] 등의 반대로 삭직되어 북청(北靑)에 유배되었다.
 +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풀려나 승지에 등용되고 경기도관찰사를 거쳐 1692년 예조참판이 되었다. <ref>최진옥,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223 이옥]",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평가===
 +
직간(直諫)을 잘하여 여러 차례 유배당하였으며, 1698년(숙종 24) 영남에서 죽었다. 글씨에 능하고 문명도 높았다. 저서에는 『[[박천집]]』 33권과 『[[역대수성편람|역대수성편람(歷代修省便覽)]]』이 있다.<ref>최진옥,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223 이옥]",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 관계망==
 +
*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149/A14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 [[선독]]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
 +
|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 [[이옥]]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이관징]] || [[이옥]]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선독]] || [[이관징]]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선독]] || [[이옥]]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이동규]] || [[이옥 처 전주 이씨]]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
 +
| [[이옥 처 전주 이씨]] || [[이옥]]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
 +
| [[이옥]] || [[이만부]]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이옥]] || [[이만지]]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이옥]] || [[이만유]]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 [[연안이씨 식산종택]] || A는 B에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
 +
|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최진옥,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223 이옥]",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주석==
 +
<references/>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인물]]

2017년 11월 25일 (토) 00:23 기준 최신판

이옥(李沃)
한글팀 일러 조선중년문관.png
대표명칭 이옥
한자표기 李沃
생몰년 1641-1698
본관 연안(延安)
박천(博泉)
문약(文若)
대표저서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이관징(李觀徵)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내용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문약(文若), 호는 박천(博泉)이다. 이창정(李昌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부(師傅) 이심(李襑)이다. 아버지는 이관징(李觀徵)이다.[1]

활동

1660년(조선 현종 원년) 즉위증광시(卽位增廣試)에 병과로 급제하고, 사관(史官)을 거쳐 1668년 예조좌랑, 1670년(현종 11) 사간원 정언·사헌부지평이 되었다. 1675년(숙종 원년) 홍문관에 들어갔으며 그 뒤 헌납·이조좌랑·응교·사간·우부승지·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1678년 예송(禮訟)에 의하여 시정된 복제(服制)의 고묘(告廟)와 송시열(宋時烈) 등의 오례주장자(誤禮主張者)의 처벌문제로 논란이 일었다. 남인이 강경파 청남(淸南)과 온건파 탁남(濁南)으로 분열되었다. 이옥은 아버지와 함께 허목(許穆)·윤휴(尹鑴)를 중심으로 한 청남에 속하여 송시열의 극형을 주장하다가, 탁남의 영수 허적(許積) 등의 반대로 삭직되어 북청(北靑)에 유배되었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풀려나 승지에 등용되고 경기도관찰사를 거쳐 1692년 예조참판이 되었다. [2]

평가

직간(直諫)을 잘하여 여러 차례 유배당하였으며, 1698년(숙종 24) 영남에서 죽었다. 글씨에 능하고 문명도 높았다. 저서에는 『박천집』 33권과 『역대수성편람(歷代修省便覽)』이 있다.[3]

지식 관계망

  •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선독 A는 B에 포함된다 A dcterms:isPartOf B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이옥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이관징 이옥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선독 이관징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선독 이옥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이동규 이옥 처 전주 이씨 A는 딸 B를 두었다 A ekc:hasDaughter B
이옥 처 전주 이씨 이옥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이옥 이만부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옥 이만지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옥 이만유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연안이씨 식산종택 A는 B에 있었다 A ekc:formerLocation B
이옥이 아들과 서모에게 보낸 편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최진옥, "이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1. 최진옥, "이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최진옥, "이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최진옥, "이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