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혜왕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더 읽을거리) |
(→참고문헌)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인물정보 | + | {{인물정보 |
− | |사진= | + | |사진= joseon_queen_mid2.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소혜왕후 | |대표명칭=소혜왕후 | ||
|한자표기=昭惠王后 | |한자표기=昭惠王后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 | |본관=청주 | ||
|이칭=인수대비(仁粹大妃) | |이칭=인수대비(仁粹大妃) | ||
+ | |시호=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br/>(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 | ||
+ | |호= | ||
|자= | |자= | ||
− | | | + | |생년=1437 |
− | + | |몰년=1504 | |
− | |||
− | |||
− | |||
− | |||
− | |||
− | | | ||
− | |||
|출생지= | |출생지= | ||
− | |사망지= 창경궁 경춘전 | + | |사망지=[[창경궁 경춘전]] |
− | | | + | |시대=조선 |
− | |배우자= [[ | + | |국적= |
− | | | + | |대표저서=[[어제내훈]] |
− | | | + | |대표직함=세자빈, 왕후, 대비 |
− | |자녀= [[월산대군]], [[조선 성종]] | + | |배우자=[[도원군]] |
− | |전임자= | + | |부=한확 |
− | |후임자= | + | |모=한확 처 남양 홍씨 |
− | | | + | |자녀=[[월산대군]] , [[조선 성종]] |
− | | | + | |전임자= |
+ | |후임자= | ||
+ | |상훈= | ||
+ | |능묘=서오릉 | ||
+ | |성격= | ||
+ | |유형= | ||
}} | }} | ||
==정의== | ==정의== | ||
− | + | [[한확]]의 딸로 [[조선 숙종]]의 어머니이다. | |
==내용== | ==내용== | ||
− | === | + | ===[[소혜왕후]]의 가문 청주한씨=== |
− | + | [[소혜왕후]]의 아버지인 [[한확]]은 자신의 누이가 명나라 성조의 후궁이 되면서 명과의 외교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계유정난]] 때 [[조선 세조|수양대군]]을 도와우의정에 오른다. [[소혜왕후]]의 친정 가문은 아버지가 죽고 난 후에도 [[소혜왕후]]의 아들 [[조선 성종|성종]]이 왕위에 올라 권세를 유지한다. <ref>김희연, 「소혜왕후의 《내훈》저술과 여성교육」,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12쪽.</ref> | |
− | === | + | ===[[소혜왕후]]의 생애=== |
− | ==== | + | ====[[계유정난]]과 [[조선 성종|성종]]의 즉위==== |
− | + | [[소혜왕후]]는 1437년(세종 19) [[한확]]과 홍여방의 딸 남양홍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소혜왕후]]는 [[조선 세조|수양대군(조선 세조)]]의 맏아들 도원군과 혼인하였고 1454년에 [[월산대군]]을 낳았다. 다음해 계유정난으로 시아버지 [[조선 세조|수양대군(조선 세조)]]이 왕위에 오르자, 세자빈이 된다. 1457년(세조 3) 남편 도원군이 죽자 세자 자리는 해양대군([[조선 예종]])에게 가게 된다. [[소혜왕후]]는 둘째아들 [[조선 성종|자을산군]]을 [[한명회]]의 딸과 혼인시키며 세력을 구축해간다. 그 결과 [[조선 예종|예종]]이 죽고 [[조선 성종|자을산군]]이 즉위하게 된다. <ref>김희연, 「소혜왕후의 《내훈》저술과 여성교육」,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2-16쪽.</ref> | |
====수렴청정과 [[갑자사화]]==== | ====수렴청정과 [[갑자사화]]==== | ||
− | [[조선 성종|성종]]이 즉위하자 | + | [[조선 성종|성종]]이 즉위하자 [[소혜왕후]]는 수렴청정을 하게 되고 인수대비라는 칭호를 받는다. 1477년(성종 8) [[정희왕후]], [[소혜왕후]], [[조선 성종|성종]] 등 3명이 왕비 윤씨의 폐위를 논의하였고, 1482년 왕비 윤씨는 폐위되고 사약을 받고 죽는다. 이후 손자 [[조선 연산군|연산군]]에게 왕비 윤씨를 폐비시켰다는 이유로 원망을 받게 된다.<ref>김희연, 「소혜왕후의 《내훈》저술과 여성교육」,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6-17쪽.</ref> [[조선 연산군|연산군]]이 박해([[갑자사화]])를 가하려 하자, 병상에 있던 [[소혜왕후]]가 꾸짖어 연산군이 머리로 들이받았다고 한다. 그 후 얼마 뒤 세상을 떠났다.<ref>최완기,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362 소혜왕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 |
− |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소혜왕후]]의 업적=== | ||
+ | 일찍 남편을 잃은 이후 [[소혜왕후]]는 불교에 의지하였다. [[조선 세조|세조]]의 [[대불정수능엄경|능엄경 언해]]에 참여하였는데, 1471년 [[간경도감]]이 폐지되자 이듬해부터 직접 불경 목판을 수집하여 인쇄하기도 하였다. <ref>김희연, 「소혜왕후의 《내훈》저술과 여성교육」,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0쪽.</ref> | ||
+ | [[조선 성종|성종]]의 유교 교화정책의 일환으로 [[소혜왕후]]가 1475년 『[[어제내훈]]』을 저술하였다. 독실한 불교 신자였음에도 유교적 여성교훈서를 작성한 것은 자신에 대해 신하들이 가진 불만을 잠재우고 유교 교화정책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아들 성종의 통치권 확립과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자 했기 때문이다.<ref>김희연, 「소혜왕후의 《내훈》저술과 여성교육」,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2-23쪽.</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 *'''대불정수능엄경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09/A00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92/A092.htm 어제내훈 지식관계망]'''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소혜왕후]] || [[조선 성종]]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 [[한확]] || [[소혜왕후]]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
+ | |- | ||
+ | | [[한확 처 남양 홍씨]] || [[한확]]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
+ | |- | ||
+ | | [[소혜왕후]] || [[도원군]]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
+ | |- | ||
+ | | [[도원군]] || [[조선 세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 [[정희황후]] || [[조선 세조]]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
+ | |- | ||
+ | | [[조선 성종]] || [[조선 연산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 |- | ||
+ | | [[갑자사화]] || [[소혜왕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어제내훈]] || [[소혜왕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소혜왕후]] || [[대불정수능엄경]]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 | |- | ||
+ | | [[창경궁 경춘전]] ||[[소혜왕후]] || A는 B의 사망지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1462년 || [[소혜왕후]]가 [[대불정수능엄경]]에 참여하였다 | ||
+ | |- | ||
+ | |1737년 || [[소혜왕후]]가 [[어제내훈]]을 저술하였다 | ||
+ | |-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37.5799333 || 126.9900831 || [[소혜왕후]]가 [[창경궁 경춘전]]에서 사망하였다.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 ||
− |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3&cp_code=cp0439&index_id=cp04390148&content_id=cp043901480001&search_left_menu=4 소혜왕후 한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 | *장진영,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8/menu/254?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8&bbIdx=2510&brdType=R | + | **"[https://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3&cp_code=cp0439&index_id=cp04390148&content_id=cp043901480001&search_left_menu=4 소혜왕후 한씨]",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 | **장진영, "[http://www.k-heritage.tv/brd/board/275/L/CATEGORY/328/menu/254?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328&bbIdx=2510&brdType=R 《내훈(內訓)》을 쓰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 ||
+ | |||
+ | [[분류:한글고문서]] | ||
[[분류:인물]] | [[분류:인물]] | ||
− | |||
− |
2017년 11월 25일 (토) 00:11 기준 최신판
소혜왕후(昭惠王后) | |
대표명칭 | 소혜왕후 |
---|---|
한자표기 | 昭惠王后 |
생몰년 | 1437-1504 |
본관 | 청주 |
이칭 | 인수대비(仁粹大妃) |
시호 | 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 (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 |
사망지 | 창경궁 경춘전 |
시대 | 조선 |
대표저서 | 어제내훈 |
대표직함 | 세자빈, 왕후, 대비 |
배우자 | 도원군 |
부 | 한확 |
모 | 한확 처 남양 홍씨 |
자녀 | 월산대군 , 조선 성종 |
능묘 | 서오릉 |
목차
정의
내용
소혜왕후의 가문 청주한씨
소혜왕후의 아버지인 한확은 자신의 누이가 명나라 성조의 후궁이 되면서 명과의 외교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우의정에 오른다. 소혜왕후의 친정 가문은 아버지가 죽고 난 후에도 소혜왕후의 아들 성종이 왕위에 올라 권세를 유지한다. [1]
소혜왕후의 생애
계유정난과 성종의 즉위
소혜왕후는 1437년(세종 19) 한확과 홍여방의 딸 남양홍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소혜왕후는 수양대군(조선 세조)의 맏아들 도원군과 혼인하였고 1454년에 월산대군을 낳았다. 다음해 계유정난으로 시아버지 수양대군(조선 세조)이 왕위에 오르자, 세자빈이 된다. 1457년(세조 3) 남편 도원군이 죽자 세자 자리는 해양대군(조선 예종)에게 가게 된다. 소혜왕후는 둘째아들 자을산군을 한명회의 딸과 혼인시키며 세력을 구축해간다. 그 결과 예종이 죽고 자을산군이 즉위하게 된다. [2]
수렴청정과 갑자사화
성종이 즉위하자 소혜왕후는 수렴청정을 하게 되고 인수대비라는 칭호를 받는다. 1477년(성종 8) 정희왕후, 소혜왕후, 성종 등 3명이 왕비 윤씨의 폐위를 논의하였고, 1482년 왕비 윤씨는 폐위되고 사약을 받고 죽는다. 이후 손자 연산군에게 왕비 윤씨를 폐비시켰다는 이유로 원망을 받게 된다.[3] 연산군이 박해(갑자사화)를 가하려 하자, 병상에 있던 소혜왕후가 꾸짖어 연산군이 머리로 들이받았다고 한다. 그 후 얼마 뒤 세상을 떠났다.[4]
소혜왕후의 업적
일찍 남편을 잃은 이후 소혜왕후는 불교에 의지하였다. 세조의 능엄경 언해에 참여하였는데, 1471년 간경도감이 폐지되자 이듬해부터 직접 불경 목판을 수집하여 인쇄하기도 하였다. [5] 성종의 유교 교화정책의 일환으로 소혜왕후가 1475년 『어제내훈』을 저술하였다. 독실한 불교 신자였음에도 유교적 여성교훈서를 작성한 것은 자신에 대해 신하들이 가진 불만을 잠재우고 유교 교화정책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아들 성종의 통치권 확립과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자 했기 때문이다.[6]
지식 관계망
- 대불정수능엄경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소혜왕후 | 조선 성종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한확 | 소혜왕후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한확 처 남양 홍씨 | 한확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소혜왕후 | 도원군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도원군 | 조선 세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정희황후 | 조선 세조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조선 성종 | 조선 연산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갑자사화 | 소혜왕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제내훈 | 소혜왕후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소혜왕후 | 대불정수능엄경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창경궁 경춘전 | 소혜왕후 | A는 B의 사망지이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462년 | 소혜왕후가 대불정수능엄경에 참여하였다 |
1737년 | 소혜왕후가 어제내훈을 저술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99333 | 126.9900831 | 소혜왕후가 창경궁 경춘전에서 사망하였다. |
주석
- ↑ 김희연, 「소혜왕후의 《내훈》저술과 여성교육」,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12쪽.
- ↑ 김희연, 「소혜왕후의 《내훈》저술과 여성교육」,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2-16쪽.
- ↑ 김희연, 「소혜왕후의 《내훈》저술과 여성교육」,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6-17쪽.
- ↑ 최완기,
"소혜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희연, 「소혜왕후의 《내훈》저술과 여성교육」,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0쪽.
- ↑ 김희연, 「소혜왕후의 《내훈》저술과 여성교육」,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2-23쪽.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소혜왕후 한씨",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장진영, "《내훈(內訓)》을 쓰다",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 "소혜왕후 한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