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봉 안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내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1번째 줄: 21번째 줄:
 
}}
 
}}
 
=='''정의'''==
 
=='''정의'''==
학봉 [[김성일]]의 안경과 안경집으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안경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
학봉 [[김성일]]의 안경과 안경집이다.
  
 
=='''내용'''==
 
=='''내용'''==
[[김성일|김성일(金誠一, 1538-1593)]]안경과 안경집으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안경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대모(거북이 등껍질)로 안경태를 만들었고, 경첩을 가운데에 달아 반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었다. 안경 다리는 없으며, 대신 안경태에 구멍을 내가 끈을 달아 귀에 걸도록 되어 있다. 안경집에 안경을 반으로 접어 넣어 보관했으며, 안경집은 옆으로 비껴서 열 수 있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시권(試券)』, 2015, 163쪽.</ref>안경집은 피나무로 제작되었으며 겉면은 옻칠을 하고 놋쇠로된 배꼽장식을 달았다. 이는 우리나라의 공예품 제작방식과 동일하다. 렌즈는 수정을 가공하여 만든 것이다. 이규경의 『[[오주서종박물고변]]』에서 수정을 이용하여 안경을 만든다고 하고 있음<ref>윤을요, 「조선시대 안경과 안경집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123쪽.</ref> 을 보아 김성일의 안경과 안경집은 조선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안경을 통해 임진왜란 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안경을 제작하고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
[[김성일|김성일(金誠一, 1538-1593)]]이 사용하던 안경과 안경집으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안경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대모(거북이 등껍질)로 안경테를 만들었고, 경첩을 가운데에 달아 반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었다. 안경다리는 없으며, 대신 안경테에 구멍을 내어 끈을 달아 귀에 걸도록 되어 있다. 안경을 반으로 접어 안경집에 넣어 보관했으며, 안경집은 옆으로 비껴서 열 수 있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시권(試券)』, 2015, 163쪽.</ref>안경집은 피나무로 제작되었으며 겉면은 옻칠을 하고 놋쇠로된 배꼽장식을 달았다. 이는 우리나라의 공예품 제작방식과 동일하다. 렌즈는 수정을 가공하여 만든 것이다. 이규경의 『[[오주서종박물고변]]』에서 수정을 이용하여 안경을 만든다고 하고 있는 것으로<ref>윤을요, 「조선시대 안경과 안경집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123쪽.</ref> 을 보아 김성일의 안경과 안경집은 조선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안경을 통해 임진왜란 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안경을 제작하고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
 
<!--
 
===조선시대 안경의 의미===
 
===조선시대 안경의 의미===
41번째 줄: 41번째 줄:
 
신하들은 왕의 앞에서는 허락없이 안경을 착용할 수 없었고 민간에서도 젊은사람은 나이든 사람 앞에서 안경을 착용할 수 없었다.<ref>김보람, 「한국의 안경 문화와 안경 디자인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7쪽.</ref> 이와 관련해 재미있는 일화가 전해져온다. [[김택영]]의 역사서 『[[한사경]]』에 나오는 조병구의 일화이다. [[헌종]]의 외삼촌인 [[조병구|조병구(趙秉龜, 1801-1845)]]는 안경을 쓴 채로 헌종과 마주쳤고 헌종에게 크게 혼이 났다. 그 이후 조병구는 여동생인 [[신정왕후]]를 만나러 간 자리에서 안경을 쓴 채로 헌종과 마주쳤다. 결국 그는 극도의 불안감과 압박감으로 인해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이렇게 당시에 안경은 권위의 상징으로 여겨졌고 자신보다 지위나 연령이 높은 사람 앞에서 안경을 쓰는 것이 엄격히 금지됬다. 특히 신하가 왕 앞에서 안경을 쓰는 것은 대역죄였다.<ref>"[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4614658351105940019 '헌종의 남자' 조병구, 안경 하나로 목숨 잃게 된 사연은? (서프라이즈)]", 『티브이데일리』, 2016년 4월 24일.</ref> 그러나 안경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19세기에는 하층민까지 안경을 쓸 정도로 대중화되었다. 처음에는 안경쓰는 것을 부끄러이 여겨 도포자락에 넣어 다녔지만, 점차 안경이 유행하면서 안경집을 허리춤에 매달아 다니게 되었다. 이에 맞춰 안경집도 자수, 상어가죽 등으로 고급스럽고 화려하게 변화해갔다.<ref>김보람, 「한국의 안경 문화와 안경 디자인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9-50쪽.</ref>
 
신하들은 왕의 앞에서는 허락없이 안경을 착용할 수 없었고 민간에서도 젊은사람은 나이든 사람 앞에서 안경을 착용할 수 없었다.<ref>김보람, 「한국의 안경 문화와 안경 디자인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7쪽.</ref> 이와 관련해 재미있는 일화가 전해져온다. [[김택영]]의 역사서 『[[한사경]]』에 나오는 조병구의 일화이다. [[헌종]]의 외삼촌인 [[조병구|조병구(趙秉龜, 1801-1845)]]는 안경을 쓴 채로 헌종과 마주쳤고 헌종에게 크게 혼이 났다. 그 이후 조병구는 여동생인 [[신정왕후]]를 만나러 간 자리에서 안경을 쓴 채로 헌종과 마주쳤다. 결국 그는 극도의 불안감과 압박감으로 인해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이렇게 당시에 안경은 권위의 상징으로 여겨졌고 자신보다 지위나 연령이 높은 사람 앞에서 안경을 쓰는 것이 엄격히 금지됬다. 특히 신하가 왕 앞에서 안경을 쓰는 것은 대역죄였다.<ref>"[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4614658351105940019 '헌종의 남자' 조병구, 안경 하나로 목숨 잃게 된 사연은? (서프라이즈)]", 『티브이데일리』, 2016년 4월 24일.</ref> 그러나 안경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19세기에는 하층민까지 안경을 쓸 정도로 대중화되었다. 처음에는 안경쓰는 것을 부끄러이 여겨 도포자락에 넣어 다녔지만, 점차 안경이 유행하면서 안경집을 허리춤에 매달아 다니게 되었다. 이에 맞춰 안경집도 자수, 상어가죽 등으로 고급스럽고 화려하게 변화해갔다.<ref>김보람, 「한국의 안경 문화와 안경 디자인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9-50쪽.</ref>
 
-->
 
-->
 
 
{{연계자원정보
 
{{연계자원정보
 
|연계자원1=[[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
 
|연계자원1=[[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
49번째 줄: 48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학봉 김성일가의 한글 고문서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1/A2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64번째 줄: 69번째 줄: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PAGENAME}} || 안경 || A는 B에 포함된다 ||
+
| [[학봉 안경]] || 안경 || A는 B에 포함된다 ||
 
|-
 
|-
| [[김성일]] || {{PAGENAME}} || A는 B를 사용하였다 ||
+
| [[김성일]] || [[학봉 안경]] || A는 B를 사용하였다 ||
 
|-
 
|-
| {{PAGENAME}} || [[의성김씨 학봉종택]] || A는 B에 소장되었다 ||  
+
| [[학봉 안경]] || [[의성김씨 학봉종택]] || A는 B에 소장되었다 ||  
 
|-
 
|-
 
| [[이시원]] || 송서상서경조이상사부연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이시원]] || 송서상서경조이상사부연 || A는 B를 저술하였다 ||
84번째 줄: 89번째 줄:
 
|}
 
|}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16세기 후반 || [[김성일]]이 '''{{PAGENAME}}'''을 사용하였다.
+
| 16세기 후반 || [[김성일]]이 '''[[학봉 안경]]'''을 사용하였다.
 
|-
 
|-
 
|}
 
|}
97번째 줄: 101번째 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36.609771 || 128.669643 || [[의성김씨 학봉종택]]에 '''{{PAGENAME}}'''이 소장되어 있다
+
|36.609771 || 128.669643 || [[의성김씨 학봉종택]]에 '''[[학봉 안경]]'''이 소장되어 있다
 
|-
 
|-
 
|}
 
|}
118번째 줄: 122번째 줄:
 
[[분류:한글고문서]]
 
[[분류:한글고문서]]
 
[[분류:문화유산]]
 
[[분류:문화유산]]
[[분류:이혜영]]
 

2017년 11월 24일 (금) 22:43 기준 최신판

학봉 안경
(鶴峰 眼鏡)
디지털 스토리텔링팀 직접 촬영
대표명칭 학봉 안경
한자표기 鶴峰 眼鏡
이칭 김성일 안경
유형 장신구
시대 16세기 후반
소장처 의성김씨 학봉종택
수량 1개
관련인물 김성일
관련단체 의성 김씨
관련유물유적 의성김씨 학봉종택


정의

학봉 김성일의 안경과 안경집이다.

내용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이 사용하던 안경과 안경집으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안경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대모(거북이 등껍질)로 안경테를 만들었고, 경첩을 가운데에 달아 반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었다. 안경다리는 없으며, 대신 안경테에 구멍을 내어 끈을 달아 귀에 걸도록 되어 있다. 안경을 반으로 접어 안경집에 넣어 보관했으며, 안경집은 옆으로 비껴서 열 수 있었다.[1]안경집은 피나무로 제작되었으며 겉면은 옻칠을 하고 놋쇠로된 배꼽장식을 달았다. 이는 우리나라의 공예품 제작방식과 동일하다. 렌즈는 수정을 가공하여 만든 것이다. 이규경의 『오주서종박물고변』에서 수정을 이용하여 안경을 만든다고 하고 있는 것으로[2] 을 보아 김성일의 안경과 안경집은 조선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안경을 통해 임진왜란 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안경을 제작하고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연계 자원 보러 가기
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


지식 관계망

  • 학봉 김성일가의 한글 고문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학봉 안경 안경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김성일 학봉 안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학봉 안경 의성김씨 학봉종택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세기 후반 김성일학봉 안경을 사용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609771 128.669643 의성김씨 학봉종택학봉 안경이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영상

  • 역사채널e : 두 개의 눈(게시일:2013.01.04.)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시권(試券)』, 2015, 163쪽.
  2. 윤을요, 「조선시대 안경과 안경집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123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금복현, 『옛 안경과 안경집』, 대원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