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군화가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계정보)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단체정보 |
− | | [[종군화가단]] || [[ | + | |사진= 민족팀_일러_화가단체.png |
+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 종군화가단 | ||
+ | |한자표기= 從軍畵家團 | ||
+ | |영문명칭= | ||
+ | |이칭= | ||
+ | |유형= 화가단체 | ||
+ | |창립자= [[김환기]], [[김병기]], [[이마동]], [[박득순]] | ||
+ | |창립시대= 현대 | ||
+ | |창립일= 1950년 | ||
+ | |변경일= | ||
+ | |해체일= | ||
+ | |주요업무= | ||
+ | |담당업무= | ||
+ | |관련기관= | ||
+ | |관련단체= | ||
+ | |소재지= | ||
+ | |웹사이트= | ||
+ | }} | ||
+ | =='''정의'''== | ||
+ | 한국전쟁 당시 국방부의 요청으로 발족한 화가단체이다. | ||
+ | |||
+ | =='''내용'''== | ||
+ | ===한국전쟁중 결성=== | ||
+ | 1951년 [[1.4 후퇴]] 이후 발족된 종군화가단은 국방부 정훈국 소속의 종군화가단과 해군 종군화가단, 공군 종군화가단, 광주 지역을 중심으로 결성된 광주 종군화가단 등 각 군별, 지역별로 분산된 느슨한 조직체였지만 전쟁이 고착화되던 시점에서 수차례 종군화가전을 개최하였고 활발히 전쟁기록화를 제작하였다.<ref>김승익, "[http://www.mhj21.com/sub_read.html?uid=14220§ion=sc153 1950년대 한국미술 속의 전쟁이미지]", 『문화저널21』, 2009년 06월 15일.</ref> | ||
+ | |||
+ | ===종군화가전=== | ||
+ | 종군화가단의 공식적인 활동은 1952년 3월 7일부터 24일까지 부산 대도회 다방에서 열린 제4회 3·1절 기념 종군화가미술전이다. 이후 1952년 5월에는 종군화가단이 주최하는 [[송혜수]], [[장욱진]], [[한묵]]의 '전선 스케치 중간 보고전'이 서울 올림피아 다방에서 열렸다.<ref>정준모,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key=20101108.22019202026 정준모의 한국미술과 부산 <11> 증인으로서의 전쟁미술]", 『국제신문』, 2010년 11월 07일.</ref> | ||
+ | 또한 6·25 개전 두 돌을 맞아 종군미술전을 1952년 7월에 부산 미화당 화랑에서도 열었고, 제6회 종군화가단 전쟁미술전이 1953년 3월 31일부터 4월 9일까지 부산 국제구락부 화랑에서 있었다.<ref>정준모,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key=20101108.22019202026 정준모의 한국미술과 부산 <11> 증인으로서의 전쟁미술]", 『국제신문』, 2010년 11월 07일.</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종군화가단]] || [[김병기]]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종군화가단]] || | + | | [[종군화가단]] || [[김원(화가)]]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종군화가단]] || | + | | [[종군화가단]] || [[김형구]]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종군화가단]] || | + | | [[종군화가단]] || [[김환기]]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종군화가단]] || | + | | [[종군화가단]] || [[문학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종군화가단]] || | + | | [[종군화가단]] || [[박득순]]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종군화가단]] || | + | | [[종군화가단]] || [[박성환]]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종군화가단]] || | + | | [[종군화가단]] || [[손응성]]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종군화가단]] || | + | | [[종군화가단]] || [[이마동]]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종군화가단]] || | + | | [[종군화가단]] || [[이수억]]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종군화가단]] || | + | | [[종군화가단]] || [[장우성]]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
|} | |} | ||
− |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key=20101108.22019202026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종군화가단 김환기 피난열차.jpg | 김환기, 피난열차, 1951, 캔버스에 유채, 37x52, 개인소장<ref>맹수열,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150625&parent_no=32&bbs_id=BBSMSTR_000000000138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종군화가단 이수억 전선야곡.jpg | 이수억, 전선야곡, 1952, 캔버스에 유채, 72.7x60, 개인 소장<ref>맹수열,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150625&parent_no=32&bbs_id=BBSMSTR_000000000138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종군화가단 이중섭 MP.jpg | 이중섭, MP, 1952, 종이에 먹과 색연필, 19x11, 개인소장<ref>맹수열,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150625&parent_no=32&bbs_id=BBSMSTR_000000000138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종군화가단 자유의여신.jpg | 1952년 군복 차림의 화가들이 문교부·보건부가 청사로 쓰던 옛 부산시청에 걸릴 '자유의여신'을 그리고 있다.<ref>윤범모,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808084.html 길을 찾아서(31), 국방부 종군화가단의 활동]", 『한겨레신문』, 2017년 08월 24일.</ref> | ||
+ | </gallery>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웹 자원 | ||
+ | #* 김승익, "[http://www.mhj21.com/sub_read.html?uid=14220§ion=sc153 1950년대 한국미술 속의 전쟁이미지]", 『문화저널21』, 2009년 06월 15일. | ||
+ | #* 정준모,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key=20101108.22019202026 정준모의 한국미술과 부산 <11> 증인으로서의 전쟁미술]", 『국제신문』, 2010년 11월 07일. | ||
+ | #* 윤범모,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808084.html 길을 찾아서(31), 국방부 종군화가단의 활동]", 『한겨레신문』, 2017년 08월 24일. | ||
+ | #* 맹수열,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150625&parent_no=32&bbs_id=BBSMSTR_000000000138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 | ||
+ | |||
+ | ===더 읽을 거리=== | ||
+ | #단행본 | ||
+ | #* 정준모, 『한국미술, 전쟁을 그리다 』, 마로니에북스, 2016. |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 ||
+ | [[분류:민족/교열완료]] |
2017년 11월 24일 (금) 19:05 기준 최신판
종군화가단(從軍畵家團) | |
대표명칭 | 종군화가단 |
---|---|
한자표기 | 從軍畵家團 |
유형 | 화가단체 |
창립자 | 김환기, 김병기, 이마동, 박득순 |
창립시대 | 현대 |
창립일 | 1950년 |
목차
정의
한국전쟁 당시 국방부의 요청으로 발족한 화가단체이다.
내용
한국전쟁중 결성
1951년 1.4 후퇴 이후 발족된 종군화가단은 국방부 정훈국 소속의 종군화가단과 해군 종군화가단, 공군 종군화가단, 광주 지역을 중심으로 결성된 광주 종군화가단 등 각 군별, 지역별로 분산된 느슨한 조직체였지만 전쟁이 고착화되던 시점에서 수차례 종군화가전을 개최하였고 활발히 전쟁기록화를 제작하였다.[1]
종군화가전
종군화가단의 공식적인 활동은 1952년 3월 7일부터 24일까지 부산 대도회 다방에서 열린 제4회 3·1절 기념 종군화가미술전이다. 이후 1952년 5월에는 종군화가단이 주최하는 송혜수, 장욱진, 한묵의 '전선 스케치 중간 보고전'이 서울 올림피아 다방에서 열렸다.[2] 또한 6·25 개전 두 돌을 맞아 종군미술전을 1952년 7월에 부산 미화당 화랑에서도 열었고, 제6회 종군화가단 전쟁미술전이 1953년 3월 31일부터 4월 9일까지 부산 국제구락부 화랑에서 있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종군화가단 | 김병기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종군화가단 | 김원(화가)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종군화가단 | 김형구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종군화가단 | 김환기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종군화가단 | 문학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종군화가단 | 박득순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종군화가단 | 박성환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종군화가단 | 손응성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종군화가단 | 이마동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종군화가단 | 이수억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종군화가단 | 장우성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시각자료
갤러리
김환기, 피난열차, 1951, 캔버스에 유채, 37x52, 개인소장[4]
이수억, 전선야곡, 1952, 캔버스에 유채, 72.7x60, 개인 소장[5]
이중섭, MP, 1952, 종이에 먹과 색연필, 19x11, 개인소장[6]
1952년 군복 차림의 화가들이 문교부·보건부가 청사로 쓰던 옛 부산시청에 걸릴 '자유의여신'을 그리고 있다.[7]
주석
- ↑ 김승익, "1950년대 한국미술 속의 전쟁이미지", 『문화저널21』, 2009년 06월 15일.
- ↑ 정준모, "정준모의 한국미술과 부산 <11> 증인으로서의 전쟁미술", 『국제신문』, 2010년 11월 07일.
- ↑ 정준모, "정준모의 한국미술과 부산 <11> 증인으로서의 전쟁미술", 『국제신문』, 2010년 11월 07일.
- ↑ 맹수열,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
- ↑ 맹수열,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
- ↑ 맹수열,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
- ↑ 윤범모, "길을 찾아서(31), 국방부 종군화가단의 활동", 『한겨레신문』, 2017년 08월 24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김승익, "1950년대 한국미술 속의 전쟁이미지", 『문화저널21』, 2009년 06월 15일.
- 정준모, "정준모의 한국미술과 부산 <11> 증인으로서의 전쟁미술", 『국제신문』, 2010년 11월 07일.
- 윤범모, "길을 찾아서(31), 국방부 종군화가단의 활동", 『한겨레신문』, 2017년 08월 24일.
- 맹수열,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정준모, 『한국미술, 전쟁을 그리다 』, 마로니에북스,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