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옹화상어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1363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2)에 [[각련|각련(覺璉)]]이 [[혜근|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의 법어(法語)등을 집록(輯錄)하고 혼수(混修)가 교정하여 간행한 | + | 1363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2)에 [[각련|각련(覺璉)]]이 [[혜근|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의 법어(法語)등을 집록(輯錄)하고 [[혼수|혼수(混修)]]가 교정하여 간행한 1권 1책이다.<ref>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436&cid=41708&categoryId=41711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권두에 [[백문보|백문보(白文寶)]]의 서(序)가 있다. 또 [[혜근|나옹]]이 죽은 뒤 다시 손질하여 1379년([[고려 우왕|우왕]] 5)에 재간했고, 3간본은 1534년([[조선 중종|중종]] 29) 서대사(西臺寺)에서 개판한 것으로 현재 일본에 유출되어 국내에는 전하지 않는다.<ref>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436&cid=41708&categoryId=41711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권두에 [[백문보|백문보(白文寶)]]의 서(序)가 있다. 또 [[혜근|나옹]]이 죽은 뒤 다시 손질하여 1379년([[고려 우왕|우왕]] 5)에 재간했고, 3간본은 1534년([[조선 중종|중종]] 29) 서대사(西臺寺)에서 개판한 것으로 현재 일본에 유출되어 국내에는 전하지 않는다.<ref>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436&cid=41708&categoryId=41711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이 책의 초간본은 일본의 [[구마자와대학|구마자와대학(駒澤大學)]]에, 재간본은 [[삼성미술관 leeum]]과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에 있다.<ref>목정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409 나옹화상어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이 책의 초간본은 일본의 [[구마자와대학|구마자와대학(駒澤大學)]]에, 재간본은 [[삼성미술관 leeum]]과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에 있다.<ref>목정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409 나옹화상어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지식관계망'''== | + | =='''지식 관계망'''== |
− | === | + | *'''나옹 혜근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1/monk_hyegeun.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57번째 줄: | 64번째 줄: | ||
| [[나옹화상어록]] || [[나옹화상가송]] || A는 B와 관련있다 || | | [[나옹화상어록]] || [[나옹화상가송]] || A는 B와 관련있다 || | ||
|- | |- | ||
− | | [[나옹화상어록]] || [[혼수]] || A는 | + | | [[나옹화상어록]] || [[혼수]]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
|- | |- | ||
| [[나옹화상어록]] || [[고려 공민왕]] || A는 B와 관련있다 || | | [[나옹화상어록]] || [[고려 공민왕]] || A는 B와 관련있다 || |
2017년 11월 24일 (금) 18:51 기준 최신판
나옹화상어록(懶翁和尙語錄) | |
대표명칭 | 나옹화상어록 |
---|---|
한자표기 | 懶翁和尙語錄 |
영문명칭 | Naonghwasang eorok |
저자 | 혜근(惠勤) |
편자 | 각련(覺璉), 혼수(混修) |
간행시기 | 1363년 |
간행인 | 혼수(混修) |
시대 | 고려시대 |
수량 | 1권 1책 |
판본 | 목판본 |
소장처 | 구마자와대학(초간본), 삼성미술관 leeum(재간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재간본) |
정의
고려 후기의 승려 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 1320-1376)의 법어집(法語集).
내용
1363년(공민왕 12)에 각련(覺璉)이 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의 법어(法語)등을 집록(輯錄)하고 혼수(混修)가 교정하여 간행한 1권 1책이다.[1]
권두에 백문보(白文寶)의 서(序)가 있다. 또 나옹이 죽은 뒤 다시 손질하여 1379년(우왕 5)에 재간했고, 3간본은 1534년(중종 29) 서대사(西臺寺)에서 개판한 것으로 현재 일본에 유출되어 국내에는 전하지 않는다.[2]
또 1940년에 월정사(月精寺)에서 이종욱(李鍾郁)이 펴낸 활자본 『나옹집(懶翁集)』에는 각련이 집록한 어록과 각굉(覺宏)이 찬한 행장, 각운(覺雲)이 집록한 가송(歌頌) 및 『보제존자삼종가(普濟尊者三種歌)』, 그리고 권상로(權相老)가 편찬한 부록이 함께 실려 있다.[3]
나옹의 상당법어·착어·수문·서장 등 모두 61편을 수록했는데, 「수륙재육도보설(水陸齋六道普說)」과 「입문삼구(入門三句)」·「삼전어(三轉語)」·「공부십절목(工夫十節目)」·「탄세사수(歎世四首)」·「각오선인(覺悟禪人)에게 보임」 등이 유명하다.[4]
이 책의 초간본은 일본의 구마자와대학(駒澤大學)에, 재간본은 삼성미술관 leeum과 규장각에 있다.[5]
지식 관계망
- 나옹 혜근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혜근 | 나옹화상어록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나옹화상어록 | 구마자와대학 | A는 B에 있다 | |
나옹화상어록 | 삼성미술관 leeum | A는 B에 있다 | |
나옹화상어록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있다 | |
나옹화상어록 | 나옹화상가송 | A는 B와 관련있다 | |
나옹화상어록 | 혼수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
나옹화상어록 | 고려 공민왕 | A는 B와 관련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363년 | 나옹화상어록을 간행하였다 |
1379년 | 나옹화상어록을 재간하면서 나옹화상가송과 합본되었다 |
1534년 | 3간본이 서대사(西臺寺)에서 개판되었다 |
1981년 | 나옹화상가송과 함께 보물 제697호로 지정되었다 |
주석
- ↑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목정배, "나옹화상어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목정배, "나옹화상어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나옹화상어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목정배, "나옹화상어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