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신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1번째 줄: 31번째 줄:
 
=='''내용'''==
 
=='''내용'''==
 
신미(信眉)의 아버지는 김훈(金訓)이며, 동생은 유생이면서도 숭불을 주장했던 [[김수온|김수온(金守溫)]]이다. [[보은 법주사|법주사(法住寺)]]에 출가하여 사미(沙彌) 시절에 [[수미|수미(守眉)]]와 함께 대장경을 읽고 율을 익혔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956 신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신미(信眉)의 아버지는 김훈(金訓)이며, 동생은 유생이면서도 숭불을 주장했던 [[김수온|김수온(金守溫)]]이다. [[보은 법주사|법주사(法住寺)]]에 출가하여 사미(沙彌) 시절에 [[수미|수미(守眉)]]와 함께 대장경을 읽고 율을 익혔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956 신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조선 세종|세종]] 말년에 왕을 도와 불사를 중흥시켰으며, [[조선 문종|문종]] 대에는 선교도총섭(禪敎都摠攝)에 임명되었다. [[조선 세조|세조]]는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그를 경애하였고, [[조선 세조|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불교의 중흥을 주관하게 하였으며, 신미는 [[왕사|왕사(王師)]]와 같은 역할을 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956 신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조선 세종|세종]] 말년에 왕을 도와 불사를 중흥시켰으며, [[조선 문종|문종]] 대에는 선교도총섭(禪敎都摠攝)에 임명되었다. [[조선 세조|세조]]는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그를 경애하였고, [[조선 세조|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불교의 중흥을 주관하게 하였으며, 신미는 [[왕사|왕사(王師)]]와 같은 역할을 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956 신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458년([[조선 세조|세조]] 4)에 [[합천 해인사|해인사]]의 대장경을 50부 인쇄할 때 이를 감독하였고, 1461년 왕명에 의해 [[간경도감|간경도감(刊經都監)]]이 설치되자 불전(佛典)의 번역과 간행을 주관하였다.<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1937&cid=50763&categoryId=50784 신미]",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464년 2월 [[조선 세조|세조]]가 [[보은 법주사 복천암|속리산 복천사]]로 행차하였을 때 그곳에서 [[사지|사지(斯智)]]·[[학열|학열(學悅)]]·[[학조|학조(學祖)]] 등과 함께 대설법회(大說法會)를 열었다. 또한 같은 해에 [[평창 상원사|상원사(上院寺)]]로 옮겨 왕에게 상원사의 중창을 건의하였고, 이에 왕은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오대산상원사중창권선문(五臺山上院寺重創勸善文)]]」을 지어 이를 시행하도록 하였다. 특히 [[조선 세조|세조]]는 혜각존자(慧覺尊者)라는 호를 내리고 존경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956 신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458년([[조선 세조|세조]] 4)에 [[합천 해인사|해인사]]의 대장경을 50부 인쇄할 때 이를 감독하였고, 1461년 왕명에 의해 [[간경도감|간경도감(刊經都監)]]이 설치되자 불전(佛典)의 번역과 간행을 주관하였다.<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1937&cid=50763&categoryId=50784 신미]",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464년 2월 [[조선 세조|세조]]가 [[보은 법주사 복천암|속리산 복천사]]로 행차하였을 때 그곳에서 [[사지|사지(斯智)]]·[[학열|학열(學悅)]]·[[학조|학조(學祖)]] 등과 함께 대설법회(大說法會)를 열었다. 또한 같은 해에 [[평창 상원사|상원사(上院寺)]]로 옮겨 왕에게 상원사의 중창을 건의하였고, 이에 왕은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오대산상원사중창권선문(五臺山上院寺重創勸善文)]]」을 지어 이를 시행하도록 하였다. 특히 [[조선 세조|세조]]는 혜각존자(慧覺尊者)라는 호를 내리고 존경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956 신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보은 법주사 복천암|속리산 복천암(福泉庵)]], [[평창 상원사|오대산 상원사(上院寺)]], [[영암 도갑사|월출산 도갑사(道岬寺)]] 등에 머물렀으며,<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1937&cid=50763&categoryId=50784 신미]",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보은 법주사 복천암|복천암]]에는 부도([[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가 남아있다.
  
[[보은 법주사 복천암|속리산 복천암(福泉庵)]], [[평창 상원사|오대산 상원사(上院寺)]], [[영암 도갑사|월출산 도갑사(道岬寺)]] 등에 머물렀으며,<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1937&cid=50763&categoryId=50784 신미]",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보은 법주사 복천암|복천암]]에는 부도([[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가 남아있다.
+
=='''지식 관계망'''==
 +
*'''묘각화상 수미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8/monk_sum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7/A007.htm 월인석보에 관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11/A011.htm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09/A009.htm 대불정수능엄경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58번째 줄: 66번째 줄:
 
| [[월인석보]] || [[신미]]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월인석보]] || [[신미]]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 [[신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
|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 [[신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각주'''==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2017년 11월 24일 (금) 16:25 기준 최신판


신미(信眉)
BHST Monk1.png
대표명칭 신미
한자 信眉
생몰년 ?-?
이칭 혜각존자(慧覺尊者)
성씨 김씨(金氏)
본관 영동(永同)
속명 김수성(金守省)



정의

조선 전기의 승려.

내용

신미(信眉)의 아버지는 김훈(金訓)이며, 동생은 유생이면서도 숭불을 주장했던 김수온(金守溫)이다. 법주사(法住寺)에 출가하여 사미(沙彌) 시절에 수미(守眉)와 함께 대장경을 읽고 율을 익혔다.[1] 세종 말년에 왕을 도와 불사를 중흥시켰으며, 문종 대에는 선교도총섭(禪敎都摠攝)에 임명되었다. 세조는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그를 경애하였고,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불교의 중흥을 주관하게 하였으며, 신미는 왕사(王師)와 같은 역할을 하였다.[2] 1458년(세조 4)에 해인사의 대장경을 50부 인쇄할 때 이를 감독하였고, 1461년 왕명에 의해 간경도감(刊經都監)이 설치되자 불전(佛典)의 번역과 간행을 주관하였다.[3] 1464년 2월 세조속리산 복천사로 행차하였을 때 그곳에서 사지(斯智)·학열(學悅)·학조(學祖) 등과 함께 대설법회(大說法會)를 열었다. 또한 같은 해에 상원사(上院寺)로 옮겨 왕에게 상원사의 중창을 건의하였고, 이에 왕은 「오대산상원사중창권선문(五臺山上院寺重創勸善文)」을 지어 이를 시행하도록 하였다. 특히 세조는 혜각존자(慧覺尊者)라는 호를 내리고 존경하였다.[4] 속리산 복천암(福泉庵), 오대산 상원사(上院寺), 월출산 도갑사(道岬寺) 등에 머물렀으며,[5] 복천암에는 부도(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가 남아있다.

지식 관계망

  • 묘각화상 수미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신미 김수온 A는 형제 B가 있다 A ekc:hasBrother B
신미 수미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신미 보은 법주사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신미 영암 도갑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신미 평창 상원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신미 보은 법주사 복천암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신미 조선 세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월인석보 신미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신미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주석

  1. 김위석, "신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위석, "신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신미",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김위석, "신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신미",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김위석, "신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신미",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