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곡원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참고문헌) |
||
106번째 줄: | 106번째 줄: | ||
**문주석, 『歌曲源流 新考』, 지성인, 2011. | **문주석, 『歌曲源流 新考』, 지성인, 2011. | ||
*논문 | *논문 | ||
− | **권순희,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가곡원류(歌曲源流)》(고태진 필사본)의 특성과 계보」, | + | **권순희,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가곡원류(歌曲源流)》(고태진 필사본)의 특성과 계보」, 『古典文學硏究』 50, 한국고전문학회, 2016. |
− | **강경호, 「20세기 초 재편된 《가곡원류》(가람본)의 성격과 시가사적 의미」, | + | **강경호, 「20세기 초 재편된 《가곡원류》(가람본)의 성격과 시가사적 의미」, 『韓民族語文學』 68, 한민족어문학회, 2014.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분류:문헌]] | [[분류:문헌]] | ||
− |
2017년 11월 24일 (금) 14:27 판
가곡원류(歌曲源流) | |
대표명칭 | 가곡원류 |
---|---|
한자표기 | 歌曲源流 |
이칭 | 청구영언, 청구악장, 해동악장, 화원악보 |
저자 | 박효관, 안민영 |
저술시기 | 1876년 |
시대 | 조선 |
목차
정의
1876년 박효관(朴孝寬)과 안민영(安玟英)이 편찬한 가집(歌集)이다.
내용
가곡원류 명칭의 유래
『청구영언』·『해동가요』와 더불어 3대 시조집으로 일컬어진다.보통 '가곡원류'라고 하나, 이것은 이 책의 첫머리에 송나라 오증(吳曾)의 『능개재만록(能改齋謾錄)』에서 '가곡원류'라는 부분을 참고로 인용한 것이 있어서 이것을 잘못 알고 표제명을 '가곡원류'라고 쓴 것으로 추측된다. [1]
가곡원류의 내용 구성
책머리에 『능개재만록』에서 인용한 「가곡원류」에 이어 「논곡지음(論曲之音)」·「각조체격(各調體格)」·「가지풍도형용십오조목(歌之風度形容十五條目)」·「매화점장단(梅花點長短)」·「장고장단점수배포(長鼓長短點數配布)」 등을 수록하였다. 본편은 남창부(男唱部) 665수, 여창부(女唱部) 191수로 총 856수의 시조 작품을 싣고 있다. 작품은 곡조에 따라 우조초중대엽(羽調初中大葉)으로부터 엇편(旕編 : 지르는편즌한닙)에 이르기까지 30항목으로 분류하였다. 곡조를 밝힘에 있어서 대부분 초중대엽·장대엽 등 한자만으로 기록했으나 우조의 두거(頭擧)와 계면조의 중거(中擧) 등 6종은 "존쟈즌한닙·듕허리드는쟈즌한닙" 등 우리말로 풀어 아울러 기록해 놓았다. [2]
가곡원류 속 가곡의 작가들
작가의 신분차이나 연대순 등은 고려하지 않았고, 이름이 알려진 작가와 무명씨의 작품도 곡조에 따라 뒤섞여 있다. 작가가 밝혀진 작품은 끝에 작가의 성명과 함께 간단한 약력을 소개하였다. 고구려의 을파소(乙巴素)에서부터 조선 고종 때의 안민영에 이른다. 작가의 신분계층도 위로는 열성(列聖)에서 명공석사(名公碩士)·기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다루었다. [3]
지식 관계망
- 청구영언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능개재만록 | 가곡원류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가곡원류 | 논곡지음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가곡원류 | 각조체격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가곡원류 | 가지풍도형용십오조목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가곡원류 | 매화점장단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가곡원류 | 장고장단점수배포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가곡원류 | 을파소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가곡원류 | 안민영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가곡원류 | 안민영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가곡원류 | 박효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청구영언 | 3대 시조집 | A는 B에 포함된다 | A edm:isRelatedTo B |
가곡원류 | 3대 시조집 | A는 B에 포함된다 | A edm:isRelatedTo B |
해동가요 | 3대 시조집 | A는 B에 포함된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76년 | 안민영과 박효관이 가곡원류를 저술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정병욱, "가곡원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병욱, "가곡원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병욱, "가곡원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조윤제, 『한국시가의 연구(韓國詩歌의 硏究)』, 을유문화사, 1948.
- 문주석, 『歌曲源流 新考』, 지성인, 2011.
- 논문
- 권순희,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가곡원류(歌曲源流)》(고태진 필사본)의 특성과 계보」, 『古典文學硏究』 50, 한국고전문학회, 2016.
- 강경호, 「20세기 초 재편된 《가곡원류》(가람본)의 성격과 시가사적 의미」, 『韓民族語文學』 68, 한민족어문학회,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