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관계망)
42번째 줄: 42번째 줄:
 
|출처=최연식,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III,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22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출처=최연식,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III,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22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그래프 삽입"
+
*'''낭혜화상 무염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50/monk_muyeom.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2017년 11월 24일 (금) 13:59 판

김범청(金範淸)
대표명칭 김범청
한자표기 金範淸
영문명칭 Kim Beom-cheong
생몰년 ?-?
자녀 무염(無染)



정의

신라 하대의 귀족.

내용

태종 무열왕의 7대손으로, 낭혜화상(朗慧和尙) 무염(無染)의 아버지다. 증조부 때까지만 해도 장상(將相)을 역임한 귀족가문이었지만, 아버지 때에 와서 진골 관등의 최하위인 대아찬(大阿飡)으로 떨어졌고, 자신에 이르러서는 육두품으로 강등되었다.[1]

그의 족강(族降)은 왕위쟁탈전과 관련한 것으로 여겨진다. 즉 무열왕계의 마지막 임금인 혜공왕이 내물왕계인 선덕왕에게 시해되자, 무열왕의 직계손인 김헌창(金憲昌)이 이에 반발하여 난을 일으켰는데, 범청이 그 난에 동조했기 때문에 취해진 것으로 보인다.[2]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聖住寺郎慧和尙白月葆光塔碑)에 실려 있는 범청과 관련한 득난(得難) 등의 기록은 족강에 관한 신라 사회 최초의 기사로 알려져 있다.[3]

Quote-left.png (대사의) 법호(法號)는 무염(無染)으로 달마대사의 10대 법손(法孫)이 된다. 속성(俗姓)은 김씨(金氏)로 태종무열왕이 8대조이시다. 할아버지는 주천(周川)으로 골품(骨品)은 진골이고 한찬(韓粲)[4]을 지냈으며, 고조부와 증조부는 모두 조정에서는 재상, 나가서는 장수를 지내 집집에 널리 알려졌다. 아버지는 범청(範淸)으로 골품이 진골에서 한 등급 떨어져서 득난(得難)[5]이 되었다. Quote-right.png
출처: 최연식,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III,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 관계망

  • 낭혜화상 무염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범청 무염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성주산문 무염 A는 B가 개창하였다 A ekc:founder B
신라 태종무열왕 김범청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무염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김범청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mentions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범청",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김복순, "김범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복순, "김범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신라시대의 5관등 대아찬. "득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신라시대 신분계층의 하나. 일반적으로 신라 골품제에서 득난을 육두품의 별칭으로 이해하고 있다. "득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김복순, "김범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범청",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선사들의 신분과 단월세력", 신편한국사,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