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몽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지식관계망)
40번째 줄: 40번째 줄: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
*'''논개와 계월향과 김응서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27/E02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2017년 11월 24일 (금) 13:11 판

유몽인(柳夢寅)
대표명칭 유몽인
한자표기 柳夢寅
생몰년 1559년(명종 14)-1623년(인조 1)
본관 고흥(高興)
시호 의정(義貞)
어우당(於于堂), 간재(艮齋), 묵호자(默好子)
응문(應文)
시대 조선
유탱(柳樘)
민의(閔禕)의 딸
자녀 유약(柳瀹)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문학가.

내용

유의(柳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간 유충관(柳忠寬)이다. 아버지는 주부(主簿) 유탱(柳樘)이며, 어머니는 참봉 민의(閔禕)의 딸이다.[1]

1582년(선조 15) 진사가 되고, 1589년 증광문과에 장원하였다. 1593년 세자시강원문학(世子侍講院文學)이 되어 왕세자에게 글을 가르쳤다. 성혼(成渾)의 문인이기도 한 유몽인은 스승의 교훈을 거역하다 파문당하여 성혼이 죽은 뒤에 그를 모욕하는 글을 써서 비난을 받았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벼슬을 내놓고 전전하다가 역모로 몰려 아들 유약(柳瀹)과 함께 사형되었는데, 정조 때 신원되어 이조판서로 추증되고, 홍양의 운곡사(雲谷祠), 고산(高山)의 삼현영당(三賢影堂)에 제향되었다. 『어우야담(於于野譚)·『어우집(於于集)』 등의 문집을 남겼으며, 전서·예서·해서·초서 등 글씨에도 뛰어났다.[2]


지식관계망

  • 논개와 계월향과 김응서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유탱 유몽인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유몽인 유약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유몽인 성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유몽인 고흥 운곡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유몽인 완주 삼현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어우야담 유몽인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어우집 유몽인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주석

  1. 조계찬, "유몽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유몽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조계찬, "유몽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유몽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