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법주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사찰사지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보은 법주사 |영문명칭= |한자=報恩 法住寺 |이칭=속리사(俗離寺) |지정번호=사적 제503호 |지정...) |
(→관계정보)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소유자= | |소유자= | ||
|관리자= | |관리자= | ||
− | |교구정보= | + | |교구정보=대한불교조계종 |
|건립시기= | |건립시기= | ||
|창건자= | |창건자=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에 있는 사찰. | |
=='''내용'''== | =='''내용'''== | ||
+ | 553년([[신라 진흥왕|진흥왕]] 14)에 의신(義信)이 창건하였고, 776년([[신라 혜공왕|혜공왕]] 12)에 [[진표|진표(眞表)]]가 중창하였다. 이후 법주사는 [[진표]]와 [[영심|영심(永深)]] 등 그의 제자들에 의하여 미륵신앙의 중심 도량이 됨으로써 대찰의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1101년([[고려 숙종|숙종]] 6)에는 [[고려 숙종|숙종]]이 그의 아우 [[의천|대각국사(大覺國師)]]를 위하여 인왕경회(仁王經會)를 이 절에서 베풀었는데 당시 3만 명의 승려들이 모였다. 1281년([[고려 충렬왕|충렬왕]] 7) 왕이 절에 행차하여 산호전(珊瑚殿)에 배향하였고, 뒤이어 [[고려 충숙왕|충숙왕]]도 절을 다녀갔다. 1363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2)에는 [[고려 공민왕|공민왕이]] 절에 들렀다가 [[양산 통도사|통도사(通度寺)]]에 사신을 보내 부처님의 사리 1과를 법주사에 봉안하도록 하였다.<ref>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716 보은 법주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조선시대에는 [[조선 태조|태조]]가 상환암(上歡庵)에서 기도하였고, [[조선 세조|세조]]는 병을 요양하기 위하여 복천암(福泉庵)에 와서 3일 동안 법회를 열기도 하였다. [[임진왜란]]으로 전소된 것을 1605년([[조선 선조|선조]] 38)부터 1626년([[조선 인조|인조]] 4)에 걸쳐 [[유정|유정(惟政)]]이 팔상전을 중건하였다. 1624년([[조선 인조|인조]] 2)에도 [[각성|각성(覺性)]]이 중창하였으며, 그 뒤 수차례의 중건·중수를 거쳤다. 1851년([[조선 철종|철종]] 2) 영의정 [[권돈인|권돈인(權敦仁)]]의 주선으로 국가적 규모의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1872년([[조선 고종|고종]] 9) 지금의 청동대불 자리에 있었던 2층의 용화보전이 헐렸다. 1974년 정부의 지원으로 대대적 중수가 있었으며, 그 뒤 1990년 청동미륵상을 중수하고 그 좌대 아래 지하에 성보전시관인 용화전을 지으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ref>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716 보은 법주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 | =='''지식관계망'''== | ||
+ | *'''보은 법주사와 관련 있는 수미와 신미의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18/monk_sum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보은 법주사]] || [[진표]] || A는 B가 중건하였다 || | + | | [[보은 법주사]] || [[진표]]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 ||
+ | | [[보은 법주사]] || [[유정]]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 | ||
+ | | [[보은 법주사]] || [[각성]]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
+ | |- | ||
+ | | [[보우(고려)]] || [[보은 법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학일]] || [[보은 법주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수미]] || [[보은 법주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신미]] || [[보은 법주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
|- | |- | ||
− | | [[ | + | | [[신미]] || [[보은 법주사 복천암]]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 | |- | ||
− | | [[ | + | | [[일선]] || [[보은 법주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보은 법주사]] || [[각성]] || A는 B가 중건하였다 || |
|- | |- | ||
− | | [[원당]] || [[보은 법주사]] || A는 B를 포함한다 || | + | | [[보은 법주사]] || [[영빈이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삼십육사]] || [[보은 법주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원당]] || [[보은 법주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52번째 줄: | 72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장충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716 보은 법주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1018&cid=40942&categoryId=33541 보은 법주사]",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사찰]] | [[분류:사찰]] | ||
− | [[분류:승탑/ | + | [[분류:승탑/검토요청!]] |
2017년 11월 24일 (금) 03:41 기준 최신판
보은 법주사 (報恩 法住寺) |
|
대표명칭 | 보은 법주사 |
---|---|
한자 | 報恩 法住寺 |
이칭 | 속리사(俗離寺) |
주소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
문화재 지정번호 | 사적 제503호 |
문화재 지정일 | 2009년 12월 21일 |
교구정보 | 대한불교조계종 |
|
정의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에 있는 사찰.
내용
553년(진흥왕 14)에 의신(義信)이 창건하였고, 776년(혜공왕 12)에 진표(眞表)가 중창하였다. 이후 법주사는 진표와 영심(永深) 등 그의 제자들에 의하여 미륵신앙의 중심 도량이 됨으로써 대찰의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1101년(숙종 6)에는 숙종이 그의 아우 대각국사(大覺國師)를 위하여 인왕경회(仁王經會)를 이 절에서 베풀었는데 당시 3만 명의 승려들이 모였다. 1281년(충렬왕 7) 왕이 절에 행차하여 산호전(珊瑚殿)에 배향하였고, 뒤이어 충숙왕도 절을 다녀갔다. 1363년(공민왕 12)에는 공민왕이 절에 들렀다가 통도사(通度寺)에 사신을 보내 부처님의 사리 1과를 법주사에 봉안하도록 하였다.[1]
조선시대에는 태조가 상환암(上歡庵)에서 기도하였고, 세조는 병을 요양하기 위하여 복천암(福泉庵)에 와서 3일 동안 법회를 열기도 하였다. 임진왜란으로 전소된 것을 1605년(선조 38)부터 1626년(인조 4)에 걸쳐 유정(惟政)이 팔상전을 중건하였다. 1624년(인조 2)에도 각성(覺性)이 중창하였으며, 그 뒤 수차례의 중건·중수를 거쳤다. 1851년(철종 2) 영의정 권돈인(權敦仁)의 주선으로 국가적 규모의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1872년(고종 9) 지금의 청동대불 자리에 있었던 2층의 용화보전이 헐렸다. 1974년 정부의 지원으로 대대적 중수가 있었으며, 그 뒤 1990년 청동미륵상을 중수하고 그 좌대 아래 지하에 성보전시관인 용화전을 지으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2]
지식관계망
- 보은 법주사와 관련 있는 수미와 신미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보은 법주사 | 진표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보은 법주사 | 유정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보은 법주사 | 각성 | A는 B가 중건하였다 | A ekc:renovator B |
보우(고려) | 보은 법주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학일 | 보은 법주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수미 | 보은 법주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신미 | 보은 법주사 | A는 B에서 출가하였다 | |
신미 | 보은 법주사 복천암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일선 | 보은 법주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보은 법주사 | 각성 | A는 B가 중건하였다 | |
보은 법주사 | 영빈이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삼십육사 | 보은 법주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원당 | 보은 법주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시각자료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