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창운 초상(군복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초상에 묘사된 모습)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창운 초상(군복본).jpg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창운 초상(군복본).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오세진, "[http://m.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435730 조선 탕평책, 숨은 주역들]",  <html><online style="color:purple">『경기일보』<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0년 10월 11일.
 
|대표명칭= 이창운 초상(군복본)
 
|대표명칭= 이창운 초상(군복본)
 
|한자명칭= 李昌運 肖像
 
|한자명칭= 李昌運 肖像
23번째 줄: 23번째 줄:
  
 
===초상에 묘사된 모습===
 
===초상에 묘사된 모습===
<이창운 초상>은 무인의 복장 중 최고로 차려 입은 [[구군복|구군복(具軍服)]]을 입은 모습으로 [[전모]]를 쓰고 소매 끝에 홍색 비단을 댄 [[동달이]] 위에 [[전복]]을 입고, 푸른색 [[전대]]를 두르고 [[환도]]를 차고 [[등채]]를 들었다. [[등채]]를 든 오른손은 조선 후기 초상화에 그려진 손 중에서도 전체 신체와의 비례, 형태, 입체감 표현 면에서 뛰어나다. 의복과 장식, 지물이 묘사가 매우 세밀하여 18세기 말 초상화의 사실적 묘사의 특징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전모]]에 단 공작새 깃털, [[환도]], [[등채]]의 극히 세밀한 묘사가 특히 돋보인다.<ref>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301쪽.</ref><br/>
+
<이창운 초상>은 무인의 복장 중 최고로 차려 입은 [[백관의 군복|구군복(具軍服)]]을 입은 모습으로 [[전모]]를 쓰고 소매 끝에 홍색 비단을 댄 [[동달이]] 위에 [[전복]]을 입고, 푸른색 [[전대]]를 두르고 [[환도]]를 차고 [[등채]]를 들었다. [[등채]]를 든 오른손은 조선 후기 초상화에 그려진 손 중에서도 전체 신체와의 비례, 형태, 입체감 표현 면에서 뛰어나다. 의복과 장식, 지물이 묘사가 매우 세밀하여 18세기 말 초상화의 사실적 묘사의 특징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전모]]에 단 공작새 깃털, [[환도]], [[등채]]의 극히 세밀한 묘사가 특히 돋보인다.<ref>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301쪽.</ref><br/>
 
얼굴의 생김새나 표현은 [[이창운 초상(단령본)|단령본 초상]]과 거의 동일하다. 안면은 어두운 갈색 선으로 외곽선을 규정하고 자연스러운 발색법으로 입체감있게 표현되었다. 길고 좁은 얼굴형에 온화한 인상이다. 무인이지만 온화한 성격이었다는 [[이창운]]의 성품이 잘 드러나 보인다.
 
얼굴의 생김새나 표현은 [[이창운 초상(단령본)|단령본 초상]]과 거의 동일하다. 안면은 어두운 갈색 선으로 외곽선을 규정하고 자연스러운 발색법으로 입체감있게 표현되었다. 길고 좁은 얼굴형에 온화한 인상이다. 무인이지만 온화한 성격이었다는 [[이창운]]의 성품이 잘 드러나 보인다.
  
37번째 줄: 37번째 줄:
 
| [[이창운 초상(군복본)]]  || [[이창운 초상(단령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창운 초상(군복본)]]  || [[이창운 초상(단령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좌안팔분면]] || [[이창운 초상(군복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백관의 군복]] || [[이창운 초상(군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사모|오사모]] || [[이창운 초상(군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전모]] || [[이창운 초상(군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단령|흑단령]] || [[이창운 초상(군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동달이]] || [[이창운 초상(군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흉배]] || [[이창운 초상(군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전복]] || [[이창운 초상(군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품대|삽금대]] || [[이창운 초상(군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전대]] || [[이창운 초상(군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환도]] || [[이창운 초상(군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등채]] || [[이창운 초상(군복본)]]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
 
|}
 
|}
63번째 줄: 67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창운 초상(군복본).jpg|[[이창운 초상(군복본)]]<ref>오세진, "[http://m.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435730 조선 탕평책, 숨은 주역들]", <html><online style="color:purple">『경기일보』<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0년 10월 11일.</ref>
 +
</gallery>
  
 
=='''주석'''==
 
=='''주석'''==
76번째 줄: 84번째 줄: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인초/검토요청]]
 

2017년 11월 24일 (금) 03:22 기준 최신판


이창운 초상(군복본)
오세진, "조선 탕평책, 숨은 주역들", 『경기일보』online, 작성일: 2010년 10월 11일.
한자명칭 李昌運 肖像
작가 미상
제작시기 1782년
소장처 개인 소장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153×86㎝


정의

조선시대 무신인 이창운(1713∼1791)이 군복을 입은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이창운의 초상화는 현재 관복본과 군복본이 함께 전하는 유일한 예이다. 이 중 군복을 입은 모습을 그린 초상화이다. 관복본 초상화와 얼굴 모습은 물론이고 안면 표현법이 거의 동일해 1782년 관복본 초상화 제작 당시에 함께 그려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
<이창운 초상>은 조선 후기에 동일한 대상 인물을 각기 다른 복식으로 그려냈던 당대의 풍조를 반영한다.[2] 아울러 근대기 이전 군복을 입고 그려진 초상화로는 매우 드문 예로 주목되는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이창운 초상>은 무인의 복장 중 최고로 차려 입은 구군복(具軍服)을 입은 모습으로 전모를 쓰고 소매 끝에 홍색 비단을 댄 동달이 위에 전복을 입고, 푸른색 전대를 두르고 환도를 차고 등채를 들었다. 등채를 든 오른손은 조선 후기 초상화에 그려진 손 중에서도 전체 신체와의 비례, 형태, 입체감 표현 면에서 뛰어나다. 의복과 장식, 지물이 묘사가 매우 세밀하여 18세기 말 초상화의 사실적 묘사의 특징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전모에 단 공작새 깃털, 환도, 등채의 극히 세밀한 묘사가 특히 돋보인다.[3]
얼굴의 생김새나 표현은 단령본 초상과 거의 동일하다. 안면은 어두운 갈색 선으로 외곽선을 규정하고 자연스러운 발색법으로 입체감있게 표현되었다. 길고 좁은 얼굴형에 온화한 인상이다. 무인이지만 온화한 성격이었다는 이창운의 성품이 잘 드러나 보인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창운 초상(군복본)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이창운 초상(군복본) 이창운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창운 초상(군복본) 이창운 초상(단령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백관의 군복 이창운 초상(군복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전모 이창운 초상(군복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동달이 이창운 초상(군복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전복 이창운 초상(군복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전대 이창운 초상(군복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환도 이창운 초상(군복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등채 이창운 초상(군복본)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82년 이창운 초상(군복본)이 제작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301쪽.
  2.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99쪽.
  3.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301쪽.
  4. 오세진, "조선 탕평책, 숨은 주역들", 『경기일보』online, 작성일: 2010년 10월 11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301쪽.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9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