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주세붕 초상(반신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주세붕 초상(반신상).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주세붕 초상(반...)
 
 
2번째 줄: 2번째 줄:
 
{{역사인물초상화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주세붕 초상(반신상).jpg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주세붕 초상(반신상).jpg
|사진출처=
+
|사진출처= 선비의신바람,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PA9Q&articleno=153&categoryId=2&regdt=20100406132035 보물 제717호 주세붕 초상]", 문화유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 - 영주선비이야기』<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0년 04월 06일.
 
|대표명칭= 주세붕 초상(반신상)
 
|대표명칭= 주세붕 초상(반신상)
 
|한자명칭= 周世鵬 肖像
 
|한자명칭= 周世鵬 肖像
64번째 줄: 64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주세붕 초상(반신상).jpg|[[주세붕 초상(반신상)]]<ref>선비의신바람,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PA9Q&articleno=153&categoryId=2&regdt=20100406132035 보물 제717호 주세붕 초상]", 문화유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다음 블로그 - 영주선비이야기』<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0년 04월 06일.</ref>
 +
</gallery>
  
 
=='''주석'''==
 
=='''주석'''==
74번째 줄: 78번째 줄: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분류:역인초/검토요청]]
 

2017년 11월 24일 (금) 01:57 기준 최신판


주세붕 초상(반신상)
선비의신바람, "보물 제717호 주세붕 초상", 문화유산, 『다음 블로그 - 영주선비이야기』online, 작성일: 2010년 04월 06일.
한자명칭 周世鵬 肖像
작가 미상
소장처 영주 소수서원
문화재지정사항 보물 제717호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72.9×55.1㎝


정의

조선시대 문신, 학자인 주세붕(1495∼1554)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주세붕 초상>은 백운동 서원, 즉 현재의 소수서원을 건립한 주세붕관복을 입은 모습을 그린 반신상으로 소수서원에 전래되어왔다.
그림의 제작연대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전체적인 양식과 색이 많이 바래고, 화면이 훼손된 상태로 미루어 볼 때 상당히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얼굴 표현은 1536년에 그려진 보물 제872호 〈이현보 초상〉과 비슷하다. 따라서 주세붕이 살아있을 때 또는 죽은 지 얼마 안 되는 16세기 후반 경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초상화를 기초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전신상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호랑이 가죽이 덮인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상반신은 소수서원의 초상화와 거의 동일한 도상을 보여준다.[1]
현재 남아있는 16세기의 초상화가 대부분 공신도상인데 비해 소수서원의 주세붕 초상화는 인물의 개성을 강조한 반신상 초상화로서 희귀하고 중요한 자료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주세붕 초상>는 오사모단령을 입은 관복차림에 화면의 왼편을 향해 살짝 몸을 튼 자세의 반신상으로 그려졌다.
오사모는 높이가 낮고 양쪽 날개 부분에는 별다른 문양이 없다. 둥글게 파인 단령 사이로는 속에 받쳐 입은 흰 옷의 깃이 낮게 삐져나와 물결치듯 보인다. 무늬가 없는 관복은 풍성하게 묘사했고 옷주름은 간략하게 처리했다. 풍만한 몸체에 비해 목이 아주 짧은 모습이다.
얼굴은 선으로만 간략하게 묘사했다. 큰 눈, 뭉툭한 코, 두툼한 입술에 부처님처럼 큰 귀, 덥수룩한 수염이 개성적이다. 색이 바래고 박락이 많이 되어 화면 상태가 석 좋지 않은데도 큰 눈의 동그란 눈동자에서 나오는 총기가 생생하여 매우 인상적이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세붕 초상(반신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주세붕 초상(반신상) 주세붕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주세붕 초상(반신상) 영주 소수서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주세붕 초상(반신상) 이현보 초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세붕 초상(반신상) 주세붕 초상(전신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오사모 주세붕 초상(반신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단령 주세붕 초상(반신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81년 3월 18일 주세붕 초상(반신상)이 보물 제717호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9255590 128.5801940 주세붕 초상(반신상)영주 소수서원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조인수, "주세붕 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435쪽.
  3. 선비의신바람, "보물 제717호 주세붕 초상", 문화유산, 『다음 블로그 - 영주선비이야기』online, 작성일: 2010년 04월 06일.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1.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II』 국립중앙박물관,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