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흥 안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시조)
24번째 줄: 24번째 줄:
 
==내용==
 
==내용==
 
===시조===
 
===시조===
시조는 자미(子美)로 그의 세 아들 영유(永儒)·영린(永麟)·영화(永和)를 파조로 하는 추밀공파(樞密公派;1파)·별장공파(別將公派;2파)·교서공파(校書公派;3파)세 분파로 대별된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2902&cid=40942&categoryId=31639  순흥안씨 (順興安氏)]",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시조는 자미(子美)로 그의 세 아들 영유(永儒)·영린(永麟)·영화(永和)를 파조로 하는 추밀공파(樞密公派;1파)·별장공파(別將公派;2파)·교서공파(校書公派;3파) 세 분파로 대별된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2902&cid=40942&categoryId=31639  순흥안씨 (順興安氏)]",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추밀공파 대표 인물===
 
===추밀공파 대표 인물===
 
안씨의 역사상 대표적 인물이며 [[주자학|주자학(朱子學)]]의 태두인 향(珦)은 추밀공파인 영유의 손자이다. 그는 고려 원종 때 문과에 급제,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을 역임했는데 중국에서 서적을 도입하여 후진을 양성하는 등 유학(儒學)의 진흥에 힘썼다. 향의 아들 우기(于器)는 찬성(贊成)을 지냈고, 손자 목(牧)은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냈다. 향의 후손에서 많은 인물이 나왔는데, 조선시대의 주요인물로는 침(琛)·당(瑭)과 위(瑋)·현(玹)·상(瑺) 3형제가 있다. 침은 세조 때 문과에 급제한 뒤 전라도관찰사·한성부윤·대사헌·경상도 병마절도사 등을 지내고 공조판서를 거쳐 지돈령부사에 이르렀으며, 그의 아들 5형제도 모두 현달하였다. 당은 성종 때 친시문과에 급제한 뒤 중종 때 형조·공조·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좌의정을 지냈으나, 1521년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아들 [[안처겸|처겸(處謙)]]이 처형당할 때 사사(賜死)되었다. 위는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경국대전|경국대전(經國大典)]]』을 찬수하고 호조판서·형조판서를 지냈으며, 군략가로 이름이 높았다. 현은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명종 때 이조판서·우의정·좌의정을 역임했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상은 음악에 조예가 깊어 선조 때 거문고·비파·장고의 악보를 망라하여 『[[금합자보|금합자보(琴合字譜)]]』를 발간하였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2902&cid=40942&categoryId=31639  순흥안씨 (順興安氏)]",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안씨의 역사상 대표적 인물이며 [[주자학|주자학(朱子學)]]의 태두인 향(珦)은 추밀공파인 영유의 손자이다. 그는 고려 원종 때 문과에 급제,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을 역임했는데 중국에서 서적을 도입하여 후진을 양성하는 등 유학(儒學)의 진흥에 힘썼다. 향의 아들 우기(于器)는 찬성(贊成)을 지냈고, 손자 목(牧)은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냈다. 향의 후손에서 많은 인물이 나왔는데, 조선시대의 주요인물로는 침(琛)·당(瑭)과 위(瑋)·현(玹)·상(瑺) 3형제가 있다. 침은 세조 때 문과에 급제한 뒤 전라도관찰사·한성부윤·대사헌·경상도 병마절도사 등을 지내고 공조판서를 거쳐 지돈령부사에 이르렀으며, 그의 아들 5형제도 모두 현달하였다. 당은 성종 때 친시문과에 급제한 뒤 중종 때 형조·공조·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좌의정을 지냈으나, 1521년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아들 [[안처겸|처겸(處謙)]]이 처형당할 때 사사(賜死)되었다. 위는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경국대전|경국대전(經國大典)]]』을 찬수하고 호조판서·형조판서를 지냈으며, 군략가로 이름이 높았다. 현은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명종 때 이조판서·우의정·좌의정을 역임했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상은 음악에 조예가 깊어 선조 때 거문고·비파·장고의 악보를 망라하여 『[[금합자보|금합자보(琴合字譜)]]』를 발간하였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2902&cid=40942&categoryId=31639  순흥안씨 (順興安氏)]",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2017년 11월 23일 (목) 23:46 판

순흥안씨(順興安氏)
대표명칭 순흥안씨
한자표기 順興安氏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榮州市)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중 하나이다.[1]

내용

시조

시조는 자미(子美)로 그의 세 아들 영유(永儒)·영린(永麟)·영화(永和)를 파조로 하는 추밀공파(樞密公派;1파)·별장공파(別將公派;2파)·교서공파(校書公派;3파) 등 세 분파로 대별된다. [2]

추밀공파 대표 인물

안씨의 역사상 대표적 인물이며 주자학(朱子學)의 태두인 향(珦)은 추밀공파인 영유의 손자이다. 그는 고려 원종 때 문과에 급제,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을 역임했는데 중국에서 서적을 도입하여 후진을 양성하는 등 유학(儒學)의 진흥에 힘썼다. 향의 아들 우기(于器)는 찬성(贊成)을 지냈고, 손자 목(牧)은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냈다. 향의 후손에서 많은 인물이 나왔는데, 조선시대의 주요인물로는 침(琛)·당(瑭)과 위(瑋)·현(玹)·상(瑺) 3형제가 있다. 침은 세조 때 문과에 급제한 뒤 전라도관찰사·한성부윤·대사헌·경상도 병마절도사 등을 지내고 공조판서를 거쳐 지돈령부사에 이르렀으며, 그의 아들 5형제도 모두 현달하였다. 당은 성종 때 친시문과에 급제한 뒤 중종 때 형조·공조·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좌의정을 지냈으나, 1521년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아들 처겸(處謙)이 처형당할 때 사사(賜死)되었다. 위는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경국대전(經國大典)』을 찬수하고 호조판서·형조판서를 지냈으며, 군략가로 이름이 높았다. 현은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한 뒤 명종 때 이조판서·우의정·좌의정을 역임했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상은 음악에 조예가 깊어 선조 때 거문고·비파·장고의 악보를 망라하여 『금합자보(琴合字譜)』를 발간하였다. [3]

교서공파 대표 인물

교서공파에서는 고려 말의 명신 축(軸)·보(輔)·즙(輯)의 3형제가 유명하다. 축은 충숙왕 때 원(元)나라 제과(制科)에 급제, 전법판서(典法判書)가 되고, 충목왕 때 첨의찬성사·춘추관감사(春秋館監事)가 되어 충렬·충선·충숙왕조의 실록을 편찬하였다. 보는 공민왕 때 정당문학, 즙은 대제학을 지냈는데, 3형제 중 축의 후손에서 많은 인물이 나왔다. 축의 아들 종원(宗源)은 조선 개국 후 삼사영사(三司領事)에 오르고, 종원의 아들 경공(景恭)은 조선 개국공신으로 태종 때 집현전 대제학이 되었다. 경공의 아들 순(純)과 손자 숭선(崇善)·숭효(崇孝)도 모두 명신으로 유명하며, 숭선의 현손으로 자유(自裕)·명세(名世) 등이 뛰어난 인물들이다. [4]

근세 대표 인물

근세인물로는 1909년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암살한 의사 중근(重根), 선천(宣川)에서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 총독을 암살하려다가 미수에 그친 명근(明根:중근의 사촌동생), 독립운동가이며 교육가인 창호(昌浩) 등이 있다. [5]==지식관계망==

지식 관계망

  • 제례 관련 한글고문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순흥 안씨 기일록(전주이씨 서곡후손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흥 안씨 기일록(경주김씨 직각종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흥 안씨 교서공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흥 안씨 추밀공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추밀공파 향(珦)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흥 안씨 안중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흥 안씨 안명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흥 안씨 안창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순흥안씨 (順興安氏)",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순흥안씨 (順興安氏)",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순흥안씨 (順興安氏)",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순흥안씨 (順興安氏)",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순흥안씨 (順興安氏)",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순흥안씨대종회, 『順興安氏大鑑 : 순흥안씨 역사와 문화 1170-2012』, 순흥안씨대종회, 2012.
    • 안갑준, 『순흥안씨약사』, 한국교재개발, 1992
  • 논문
    • 안예진, 「조선후기 순흥안씨 직장공파의 창원 정착과정과 향촌활동」, 경남대학교 대학원 인문학과 석사학위논문,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