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익현 초상(춘산영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계정보)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역사인물초상화 | {{역사인물초상화 |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최익현 초상(춘산영당).jpg |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최익현 초상(춘산영당).jp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김종석,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7900&brdType=R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13호)]",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 |
|대표명칭=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대표명칭=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
|한자명칭= 崔益鉉 肖像 | |한자명칭= 崔益鉉 肖像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문화재지정사항= | |문화재지정사항= | ||
|유형=[[초상]] | |유형=[[초상]] | ||
− | |크기(세로×가로)= | + | |크기(세로×가로)= 105.2x54.6cm |
|필드수= | |필드수= | ||
}} | }} | ||
78번째 줄: | 78번째 줄: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 1911년 4월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이 제작되었다. |
|- | |- | ||
|} | |} | ||
86번째 줄: | 86번째 줄: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 + | | 34.957749 || 126.977884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은 [[화순 춘산영당]]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최익현 초상(춘산영당).jpg|[[최익현 초상(춘산영당)]]<ref>김종석, "[http://www.k-heritage.tv/brd/board/276/L/menu/259?bbIdx=7900&brdType=R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13호)]", 작가갤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채널』<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문화재재단.</ref>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102번째 줄: | 106번째 줄: | ||
# 단행본 | # 단행본 | ||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 ||
− | # | + |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
− | #* | + | # 전시도록 |
+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초상화]][[분류:문헌]][[분류:문화유산]] | ||
− |
2017년 11월 23일 (목) 22:53 기준 최신판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
한자명칭 | 崔益鉉 肖像 |
---|---|
작가 | 채용신 |
제작시기 | 1911년 4월 |
소장처 | 화순 춘산영당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105.2x54.6cm |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 우국지사인 최익현(1833~1906)의 모습을 그린 어진.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최익현의 초상화는 여러 점이 전해오는데 그중 국립중앙박물관본, 충남 청양 모덕사본, 경기 포천 채산사본 등 채용신이 그린 것들이 유명하다. 그 외에 심의 초상화로 춘산영당본 등이 전한다.
화순 춘산영당의 <최익현 초상>은 채용신이 1911년 4월에 그린 작품으로, 순창에서 의병 활동을 하다가 최익현과 함께 잡혀간 12의사 중의 한사람인 문달환(文達煥)에게 그려준 것이다. 문달환이 1927년에 화순에 춘산영당을 짓고 초상을 봉안하였다. <최익현 초상>의 배접된 뒷면의 오른쪽 하단에 ‘신해하사월상한종이품행정산군수채용신사(辛亥夏四月上澣從二品行定山郡守蔡龍臣寫)’ 라는 묵서가 있어 1911년 4월에 채용신이 그렸음을 알 수 있다.[1]
춘산영당의 <최익현 초상>은 그 초상이 사후 최익현의 문도들에 의하여 제작되어 봉안되는 사례 중 하나로 주목된다. 뛰어난 초상화가였던 채용신이 그린 것으로 그 묘사와 필치가 뛰어난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최익현 초상>은 정면을 향하여 앉은 전신상이다. 심의를 입고 복건을 착용한 채 소매 깃에 감추어진 두 손을 무릎 위에 놓고 화문석위에 꿇어앉아 있다. 화면에는 화문석 이외에는 아무런 배경 묘사가 없고, 얼굴에 비해 신체를 크게 묘사하여 최익현의 몸체가 장대한 느낌을 준다.
복건을 높이 쓴 얼굴은 어두운 황색으로 처리하고, 눈이 퀭하게 들어간 모습은 병색이 완연하게 보여 대마도에서 단식을 하던 만년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익현의 눈매는 형형한 모습으로 강한 정신을 가진 지사의 모습을 잘 나타내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최익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화순 춘산영당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문달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익현 | 문달환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화순 춘산영당 | 문달환 | A는 B가 건립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문달환 초상(반신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문달환 초상(전신상1)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문달환 초상(전신상2)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문달환 초상(반신상) | 문달환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문달환 초상(전신상1) | 문달환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문달환 초상(전신상2) | 문달환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문달환 초상(반신상)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문달환 초상(전신상1)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문달환 초상(전신상2) | 채용신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문달환 초상(반신상) | 화순 춘산영당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문달환 초상(전신상1) | 화순 춘산영당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심의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복건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11년 4월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이 제작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4.957749 | 126.977884 | 최익현 초상(춘산영당)은 화순 춘산영당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최익현 초상(춘산영당)[2]
주석
- ↑ 김진아, 『蔡龍臣筆 崔益鉉 肖像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31-32쪽.
- ↑ 김종석,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13호)",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조선미, "최익현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