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학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단체정보 | {{단체정보 | ||
− | |사진= | + | |사진= official_group.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강화학파 | |대표명칭=강화학파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 | 조선 후기에 정제두(鄭齊斗)를 중심으로 강화도에서 양명학(陽明學)을 공부하였던 유파를 일컫는 말이다.<ref>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역사용어사전』, | |
+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ref> | ||
=='''내용'''== | =='''내용'''== | ||
===강화학파의 형성=== | ===강화학파의 형성=== | ||
강화학파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양명학자인 [[정제두 | 하곡 정제두(霞谷 鄭齊斗)]]와 [[이광려]] 등을 주축으로 한 학파를 이르는 말이다. | 강화학파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양명학자인 [[정제두 | 하곡 정제두(霞谷 鄭齊斗)]]와 [[이광려]] 등을 주축으로 한 학파를 이르는 말이다. | ||
− | [[정제두]]는 강화도를 거점으로 학문을 닦고 연구하면서 저술을 남겼다. 그의 학문이 확립된 이후 그 아들인 [[정후일 | 정후일(政厚一)]]과 그의 문인인 [[이광명 | 이광명(李匡鳴)]], [[이광려 | 이광려(李匡呂)]]등에게 전승되었다. 이후 | + | [[정제두]]는 강화도를 거점으로 학문을 닦고 연구하면서 저술을 남겼다. 그의 학문이 확립된 이후 그 아들인 [[정후일 | 정후일(政厚一)]]과 그의 문인인 [[이광명 | 이광명(李匡鳴)]], [[이광려 | 이광려(李匡呂)]]등에게 전승되었다. 이후 가학(家學)으로 전승되었는데, 이와 같이 정제두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학통을 '하곡학', '강화학', '강화양명학', '강화하곡학', 등으로 부르고 이러한 학문을 연구하는 학자를 강화학파라고 하였다.<ref>천병돈, 「강화학파의 형성과 사상적 계보」, 『인천학연구』7,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7, 3쪽.</ref> |
===학문적 특징=== | ===학문적 특징=== | ||
33번째 줄: | 34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언문지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15/A01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2017년 11월 23일 (목) 18:08 기준 최신판
강화학파(江華學派) | |
대표명칭 | 강화학파 |
---|---|
한자표기 | 江華學派 |
창립자 | 정제두 |
창립시대 | 조선 |
정의
조선 후기에 정제두(鄭齊斗)를 중심으로 강화도에서 양명학(陽明學)을 공부하였던 유파를 일컫는 말이다.[1]
내용
강화학파의 형성
강화학파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양명학자인 하곡 정제두(霞谷 鄭齊斗)와 이광려 등을 주축으로 한 학파를 이르는 말이다. 정제두는 강화도를 거점으로 학문을 닦고 연구하면서 저술을 남겼다. 그의 학문이 확립된 이후 그 아들인 정후일(政厚一)과 그의 문인인 이광명(李匡鳴), 이광려(李匡呂)등에게 전승되었다. 이후 가학(家學)으로 전승되었는데, 이와 같이 정제두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학통을 '하곡학', '강화학', '강화양명학', '강화하곡학', 등으로 부르고 이러한 학문을 연구하는 학자를 강화학파라고 하였다.[2]
학문적 특징
학술의 내용으로 보면, 그들은 정제두 이래로 양명학을 수용하고 도교와 불교까지 섭렵하고자 했고, 이학(理學:유학)보다는 한학(漢學)을 연구하고 동시에 국학(國學)을 일으켰다. 양명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했을 뿐만 아니라, 고증학(考證學)의 방법론을 주체적으로 소화했으며, 훈민정음연구·국어학·국사학·서법(書法)·문자학·문헌학 분야에서 탁월한 논저들을 남겼다.[3]
강화학파의 학자들
서법에 이광사(李匡師), 국사학에 이긍익(李肯翊)과 황현(黃玹), 한학(漢學)에 신작(申綽), 훈민정음연구에 유희(柳喜), 문자학에 남정화(南廷和), 문헌학에 남극관(南克寬) 등 오늘날 국학 분야에서 거론되는 선구자들 가운데 많은 이들이 이 학맥에 속한다. 홍양호(洪良浩)나 이종휘(李種徽)같은 학자들도 이들과 직접 관련이 있다.[4]
지식 관계망
- 언문지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강화학파 | 정제두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정제두 | 이광사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강화학파 | 유희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언문지 | 유희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강화학파 | 임금익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강화학파 | 황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강화학파 | 신작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강화학파 | 이광사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강화학파 | 남정화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강화학파 | 남극관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주석
- ↑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역사용어사전』,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 ↑ 천병돈, 「강화학파의 형성과 사상적 계보」, 『인천학연구』7,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7, 3쪽.
- ↑ 심경호, "강화학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심경호, "강화학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한국양명학회, 『강화 양명학파의 위상과 현대적 의미』, 한국양명학회, 2004.
- 논문
- 이우진, 「강화학파 형성담론의 재구성」, 『陽明學』 Vol.33, 한국양명학회, 2012.
- 최재목, 「江華 陽明學派 연구의 방향과 과제」, 『陽明學』Vol.12, 한국걍명학회, 2004.
- 박연수, 「강화 하곡학파의 ‘實學’ 사상」, 『儒學硏究』 Vol.14,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06.